• 제목/요약/키워드: 농촌 활성화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4초

농업의 6차 산업 활성화를 위한 통합지원 플랫폼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Integrated Support Platform for 6th industrial of Agricultural)

  • 김홍근;이명배;사라스와디 시바마니;조용윤;신창선;박장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3-115
    • /
    • 2015
  • 최근 ICT/loT 기술들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노동 집약적인 농업 분야에도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지만, 대내외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농업/농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른 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1차 산업을 중심으로 2차, 3차 산업과 연계 또는 융복합하여 영세 규묘의 지역 농가들 및 업체들의 클러스터화를 통해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 시킬 수 있는 6차 산업화를 지원할 수 있는 통합 지원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통합 지원 플랫폼은 육묘의 품질 관리 단계에서 최종 소비자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이다. 육묘, 생산, 가공, 유통/수출, 체험/관광, 판매, 소비에 이르는 전체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연결하고, 통합 운영/관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식품에 대한 신뢰도 및 지역 농가 및 지역 농촌의 경제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농촌지역 노-노돌봄 활성화를 위한 핸드북 개발 (Development of the Handbook for Revitalization of Elderly-elderly Care in the Rural Area)

  • 채혜선;윤순덕;박공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5권1호
    • /
    • pp.1-21
    • /
    • 200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gure out the results of proceeding research, to establish the recipients and service contents, and to develop handbook for elderly-elderly care in the rural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ecipients of services were contained to healthy elderly from troubles elderly, solitude elderly, and old couple in the community. The range of the services by elderly-elderly carer were moral support, everyday life support and outside activity support. The handbook listed four areas of services including first meeting and observing, mind care, everyday life care, and outside activity care, and then described contents of 47 situations. The handbook will be great help to the rural elderly if it is given to participants of elderly-elderly care program along with the hall for the aged. Fur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reflect feedbacks from rural area, and to make series to bring elderly carer up to date consistently.

  • PDF

온천건축의 특징에 관한 고찰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ot Spring in Rural Korea)

  • 정종태;최만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2호
    • /
    • pp.281-313
    • /
    • 2011
  • 67.82% of domestic hot springs are in rural areas.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statistics, 2010) Most of hot spring's facilities are aging and inability to accommodate the current changes of leisure patterns. So, a decrease of the number of visitor to the hot spring resulted in economic decline of rural areas. Hot spring has been studied, but Architecture of Hot Springs has never been interested in and research. Therefore, Nation architecture of Hot spring and foreign architecture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ot spring in rural areas was identify. The architecture of Hot spring type of foreign and images are routinely burned, the organic form and old-fashioned adrift. However, our country found in Hot spring architecturally and daily life had any features. Thus, the country's hot springs spa area for construction of the architecture design should be characterized. And, through institutional guidelines and deliberations should be provided in the right direction.

하동 삼신마을 신농촌개발사업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ster Plan of New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of Sam-Sin Village in Hadong)

  • 김강섭;김석규;이상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79-92
    • /
    • 2002
  • Internationally Present-day, the paradigm in rural community is changing to continually prospering rural community. So, it's time to provide the vision of new rura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plan which can revitalize the rural area and improve the living standards of the inhabitants. The rang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Sam-Sin village in Hadong and from Feb. 2002 to May 2002. We arranged the outline of 'new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and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e of the village by spot survey. Through the study, we suggest green-tea which can increase the life quality of inhabitants and achieve the prosperity of the village at the same time.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realize the Green Tourism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village caused by green-tea cultural festival.

  • PDF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Method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 김강섭;전택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9-66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change and contents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by literature review. And this paper analyzes the results and problems of rural village in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method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Based on this study, mainly three results can be drawn as follows ; first,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must establish sustainability and locality to main direction of project. Second, this project demand new system and role of local government. And the third, this project are performed by residents, and an educational program and public information to inspir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re necessary.

  • PDF

농촌마을만들기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ural Community Design)

  • 최효승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39-50
    • /
    • 2005
  • This study is result of interview and investigation into three rural communities progressing Rural activity, and points to be considered before promoting policy 1) Resident participation taking a lot of time, need to sustainable education and chance of personal experience, as well as stage of working plan and performance must be a serious consideration about resident opinions. 2) Until placing operation and management on the right track, experts and administrators will be help aspects of software and finance. 3)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train rural activity experts, and educate business persons. 4) Through checking a process, each community improve, supplement, will work out the next support system.

  • PDF

농촌지역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지역사회투자활동과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농촌사랑국민운동본부의 1사1촌 운동을 사례로 (A Study on the Revitalizing Community through Corporate Community Investment: In Case of 1 Company - 1 Village Campaign)

  • 김재현;장주연;이효정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1-224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지역사회공헌프로그램인 1사1촌 자매결연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매결연의 교류현황을 살펴보고, 1사1촌 자매결연활동을 주관하는 중간지원조직으로서의 농촌사랑국민운동본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은 농촌 지역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1사1촌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으며, 일손돕기와 같은 단순교류 활동이나 농산물 직거래 활동이 주요 교류활동으로 나타났다. 농촌사랑국민운동본부의 역할에 대한평가는 자매결연 초기에 필요한 정보제공 및 중개기능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결연 이후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네트워크 및 교류촉진 기능은 낮게 평가되었다. 향후 1사1촌 자매결연 운동이 보다 실질적인 지역사회투자활동으로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농촌마을과 기업의 중개 및 중재기능을 보완하고 마을과 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또한 기업 및 농산촌 마을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협의회를 구축하고 학습 및 교류 기회를 제공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이밖에 농촌의 사회, 경제 문화, 환경의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농촌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용적인 솔루션을 개발하여 지역경제활성화 및 고용창출의 효과를 극대화시켜야 할 것이다.

  • PDF

농촌 재생을 위한 농업유산 지정 효과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esignation of Agricultural Heritage for Rural Regeneration)

  • 도지윤;정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4호
    • /
    • pp.214-229
    • /
    • 2023
  • 본 연구는 농업·농촌유산을 활용한 농촌 재생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농업유산과 관련 제도를 통해 발생하는 지역사회 효과 검토와 해외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지역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농업유산 지정을 통해 유산의 가치 및 보전에 관한 인식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추후 발생할 인구 고령화 등 사회문제에 대비할 수 있는 지역의 보전·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민 인식은 농업유산 지정에 대하여 대부분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나, 경제적인 부분에서는 인식이 다소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재생 방안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효과측정 모델을 적용한 결과 제도의 목적에 부합하는 보전·관리 효과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자체와 주민협의체 등의 사업에 따라 효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재생 방안 마련 시 목표 지향적인 대안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해외 사례를 통한 농촌 재생 방안을 살펴본 결과 대규모의 개발보다는 다양한 문화·자연 자원과 주변 지역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농업유산 지역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현재 흐름에 걸맞은 다양한 관점으로 농업·농촌유산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주민 인식뿐만 아니라 전문가 설문 등 지역의 지정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함께 고찰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농업인이 활용하는 전자상거래 형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Behavior of Farmers Being Used Electronic Commerce)

  • 조남준;이종호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8년도 연합학회학술대회
    • /
    • pp.73-85
    • /
    • 2008
  • FTA 시대를 살고 있는 대한민국의 농업인은 무한경쟁시대를 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농촌에 살고 있는 농업인은 부유하게 살수 없는 것인가? 라는 주제로 정보활용능력이 탁월한 전문가들이 운영하는 기존의 쇼핑몰 위주의 전자상거래 방법론과는 다르게 농촌에 살고 있는 농업인들이 활용하여 성공한 전자상거래 사례 형태를 분석한 논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를 활용하고 있는 농업인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전자상거래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농업인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방안과 전략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