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 구조물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 study on proposal of design aqueduct be considered for rural landscape on Agricultural Hydraulic Structures (농촌경관을 고려한 수로교 디자인 방안 연구)

  • Kim, Meyong-Won;Kim, Kwan-Ho;Cho, Young-Kw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013-1016
    • /
    • 2008
  • The demands of urban people for rural natural environments will increase but poor and low level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delay the development of green tourism villages as an attractive green tour destina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are to offered a rural landscape improvement simulation of a aqueduct and designing that to meet the needs of the community.

  • PDF

Development of component modules and linkage methods for flood and inundation simulation in agricultural watersheds (농촌유역 홍수·침수 모의 요소별 모듈 및 연계 기술 개발)

  • Kim, Jihye;Lee, Sunghack;Cho, Jaepil;Jun, Sang-Min;Kwak, Jihy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29-329
    • /
    • 2021
  • 우리나라의 농촌유역은 일반적으로 상류의 농업용저수지와 하류의 배수장을 통해 홍수조절이 이루어지며, 각 농업수리구조물의 운영이 유역의 홍수 및 침수 발생에 큰 영향을 끼친다. 농촌유역의 홍수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농업수리구조물의 통합적 운영이 필요하나 현실에서 이를 시험 운영하기 위해서는 시간적·경제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농촌유역 내 농업수리구조물을 연계한 통합 해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다양한 구조물 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홍수 위험을 예측하고 효율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수리구조물을 연계한 홍수·침수 모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농촌유역에서 홍수·침수 모의를 위한 요소별 모듈을 구성하고, 각 모듈의 연계 기술을 개발하였다. 홍수·침수 해석 모듈은 농업용저수지 상류 유역에서부터 하류 하천 및 농경지까지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강우 분석 모듈, 강우-유출 모듈, 저수지 운영 모듈, 하천 수위 모듈, 농경지 배수 모듈의 5가지로 구성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통해 기초자료를 저장하고 모듈 간의 입출력 과정을 처리하였다. 강우 분석, 강우-유출, 농경지 배수 모듈은 python 코드를 기반으로 자체적으로 구축하였으며, 기존의 모형 (FARD, HEC-HMS, GATE2018)들과 비교한 결과 거의 동일한 모의 결과를 나타냈다. 저수지 운영 모듈과 하천 수위 모듈은 각각 미 공병단의 HEC-5, HEC-RAS 모형을 CLI (Command Line Interface) 방식으로 외부 구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전체 모듈 간의 연계에는 python 라이브러리인 Dask를 적용하여 대량의 데이터에 대한 병렬 처리 구조를 갖춤으로써 다양한 기상자료와 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반복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홍수·침수 모의 요소별 모듈과 연계 기술을 기반으로, 농업수리구조물의 연계 운영을 통합적으로 모의함으로써 홍수 대비를 위한 효율적인 구조물 운영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water circulation in agricultural watershed based on SWMM model (SWMM 모델 기반 농업유역 물순환 특성 분석)

  • Kim, Ha-Young;Nam, Won-Ho;Mun, Young-Sik;Kim, Jonggun;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5-195
    • /
    • 2021
  • 최근 기후변화, 과도한 지하수 이용 등으로 유역 환경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하천의 건천화, 지표유출량 증가, 증발산량 감소 등 물순환 구조가 왜곡되고 있다. 물순환 과정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모의 요소와 해석 기법도 다르다. 따라서 지속가능하고 건전화된 물순환을 위해 해당 유역의 물순환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유역은 논, 용·배수로, 농업용 저수지가 존재하며, 종합적인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위해 농촌용수 요소별 해석 기술 및 모듈 개발, 모델링 기법 등을 이용하여 농촌수자원의 체계적·과학적 해석 및 관리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흥업저수지를 대상으로 농촌용수의 물순환 과정을 정립하였으며, 저수지 시점부·말단부, 농업용 저수지, 저수지 유역으로 구분하여 물순환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순환 모의 요소로 저수지 수위, 유역 유출량, 수로부 공급량 및 배수량, 회귀수량 등으로 선정하였으며, 수로 네트워크 기반의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물순환 해석 기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모의 요소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SWMM 모형과 모니터링을 비교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농촌지역 특성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촌수자원의 안정적인 공급과 국가 청정 수자원 확보를 위한 통합 물관리 정책을 실현하는데 기초 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Multi-span Greenhouse with Venlo-type Roof According to Bracing Installation (가새 설치에 따른 벤로형 지붕 연동온실의 구조성능 평가)

  • Shin, Hyun Ho;Choi, Man Kwon;Cho, Myeong Whan;Kim, Jin Hyun;Seo, Tae Cheol;Lee, Choung Kuen;Kim, Seung Yu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1 no.4
    • /
    • pp.438-443
    • /
    • 2022
  • In this study, the lateral loading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structural performance of multi-span plastic greenhouse through full-scale experiment and numerical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lateral stiffness and stress, we installed 9 displacement sensors and 19 strain gauge sensors on the specimen, respectively, and load of l mm per minute was applied until the specimen failure.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full-scale experiment and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of a multi-span greenhouse with venlo-type roof according to bracing installation,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the lateral stiffness of the structure. By installing a brace system, the lateral stiffness measured near the side elevation of the specimen increased by up 44%. As the bracing joint used in the field did not secure sufficient rigidity, the external force could not be transmitted to the entire structure prop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racing construction method and design standards in order for a greenhouse to which bracing applied to have sufficient performance.

Survey on the status of discarded structures for securing continuity of the river aquatic ecosystem - Focus on Wangsukcheon in the Han river area (하천 수생태계 연속성 확보를 위한 용도폐기 구조물 현황 조사-한강권역 왕숙천 수계 중심으로)

  • Lee, Sang-Hoon;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7-447
    • /
    • 2021
  • 인간이 농업 등으로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하천에 인위적으로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들 구조물은 대부분이 농업용 보로 과거 농업중심의 사회에서 논과 밭 등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하지만 농촌의 도시화 및 농지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농업용 보는 사용량이 감소하였으며, 최근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많은 보들이 용도폐기 되었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매년 용도폐기된 구조물을 확인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리스트를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의 용도폐기 된 보 중 한강권역 왕숙천 수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폐기보에 대한 위치 확인을 위하여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제공받은 폐기보 현황자료(보명 및 하천명, 주소)를 바탕으로 우리가람길라잡이, 국가어도정보시스템, 웹지도 등을 활용하여 위치 및 존재 여부 파악하였으며, 현장조사를 위하여 위치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현장조사가 용이하도록 별도의 웹자료를 구축하였다. 현장조사는 구조물의 주변의 토지이용현황, 구조물의 존재여부, 구조물의 규모 실측(길이/높이/폭 등), 어도의 유무, 바닥보호공의 유무, 구조물 훼손 정도 등을 파악하였다. 왕숙천 수계의 보는 왕숙천 본류구간에는 4개의 폐기보가 있으며, 용암천은 9개, 사능천은 2개 학림천은 1개로 총 16개의 폐기보가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 PDF

A Study on Structural reinforcement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Seismic Performance of Masonry Buildings in rural areas (농촌지역의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성능 개선을 위한 구조적 보강법 제안에 관한 연구)

  • Lee, Deog-Yong;Kim, Il-J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5 no.4
    • /
    • pp.51-58
    • /
    • 2013
  • This study Masonry Buildings in rural areas, due to the lateral load resistance for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is proposed. Some of the proposed methods for reinforcement directly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to evaluate the change in frequency. The results for the following: This paper has the object of investigating natural frequencies of opening thick plates on Pasternak foundation by means of finite element method and providing Kinematic design data for mat of building structures. In this paper, vibration analysis of rectangular opening thick plate is done by use of Serendipity finite element with 8 nodes by considering shearing strain of plate. It is shown that natrural frequencies depend on not only Winkler foundation parameter but also shear foundation parameter, opening position.

Evaluation of regulating gate impact in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using coupled SWAT-CFD models (유역-전산유체역학 연계 모형을 이용한 농촌 소유역 하류의 제수문 영향 평가)

  • Kim, Dong Hyeon;;Kim, Da-Yun;Jang, T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3-473
    • /
    • 2021
  • 새만금 유역의 하류 평야지대는 농업 관개 및 배수가 제수문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상류 축산밀집시설에 따라 농업 비점오염원 유입이 수계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의 하류 제수문을 대상으로 유역 모형과 전산유체역학 모형을 이용하여 유입, 유출 그리고 오염원 등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은 유역 모형으로 수문순환 및 비점오염원을 모의하기 위해 개발한 모형이다.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는 구조물을 설계하고 유체, 기체 등의 역학을 모의할 수 있다.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농촌 소유역을 대상으로 하류 제수문 위치를 출구로 지정하여 수문을 모의하고 그 결과자료는 CFD에 입력할 수 있다. CFD는 하류 제수문 구조물을 설계하고 SWAT 모형의 수문자료를 입력하여 제수문의 유입 및 유출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SWAT 모형 구축을 위해 2015-2018년까지 기상, 수위, 유량 관측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보정기간과 검증기간은 각 2년이며, 모형 성능 검증에 사용한 적합성 평가 지수는 R2 (Determine coefficient), RMSE (Root mean square error), 그리고 NSE (Nash-sutcliffe efficiency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모형의 보정은 SWAT-CUP 자동보정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모형의 보정지수는 NSE를 사용하였고, 1,000회 반복 수행을 통해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였다. CFD 모형은 제수문의 실제 규격을 바탕으로 동일한 구조를 고려하였으며, 수문조작을 고려하여 유입 및 유출을 모의하였다. 본 연구는 유역차원과 구조물 차원의 모델링을 연계하는 것으로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급격히 변화하는 유역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제수문 시설을 관리하는 기관에서도 합리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ehavior Analysis of Block Type Wall Constructed for Maintaining the Slope Stability of Rural Structure (농촌건축물 사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블록식 옹벽의 거동분석)

  • Shin, Bangwoong;Oh, Sewook;Kwon, Youngche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2 no.2
    • /
    • pp.115-126
    • /
    • 2000
  • Retaining walls are used to prevent excessive movement of retained soils. Typical retaining walls include gravity,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earth and tie-back. However, from a practical viewpoint there are still drawbacks among these often constructed retaining walls. New types of retaining walls constructed with precast concrete blocks are proposed. This type of retaining wall is incorporates each blocks interconnected with adjacent block by connecting unit to build up a flexible retaining-wall system. This paper focus to behavior characteristics includes de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lateral earth pressure by loading tests and FEM analysis. For model tests, a 1/10 scale reduce models are manufactured include unevenness part, drainage hole and connecting unit and steel wire used to connect each blocks with adjacent block. To simulate the real retaining walls closely, uneven parts are interconnected each other and the construction type of blocks and wall front inclination are va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individual block and the location of maximum deformation of wall as increasing surcharging. Additionally, PENTAGON3D, which solve the geotechnical and other problem, used for verifying and comparing with model tests.

  • PDF

Effects of Width, Edge and Side Height of Single-span Vinyl-house on Structural Safety (단동온실의 폭, 동고 및 측고가 구조안전에 미치는 영향)

  • 이석건;이종원;이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51
    • /
    • 2003
  • 아연도금 파이프 단동비닐하우스의 면적은 국내 원예시설면적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나, 시공의 용이성과 시공비의 저렴함으로 인하여 구조물로서의 공학적 설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온실형태는 지역농협이나 작목반 등에서 보유하고 있는 성형활대에 따라 결정이 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단동비닐하우스는 매년 태풍 및 폭설 등의 기상재해로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2001년말 농촌진흥청에서는 농가지도형 비닐하우스 모델을 10가지를 제안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Structure and Planning of Landscape in Village (마을의 경관구조 및 경관계획에 관한 연구)

  • Chong, Geon-Chai;Ku, Gae-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9 no.1
    • /
    • pp.1-8
    • /
    • 2007
  • This study is on landscape design of existing rural village focused on for improvement of community. It's so one of serious problems in landscape in almost rural area of the nation. For the finding clue of landscape design of village view through this study, we surveyed 1 village located in Sangju city. By surveying landscape design factor of village, we can propose design method and a few results as follow; Firstly, the structure of village landscape has five principle factors. The five factors of landscape are history and culture, housing and building, natur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design. Secondly, color existing of housings is to contain a primary color on roof which is not in harmony. Nevertheless, we can also find the reform measure and the possibility because of the knowledge of village peo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