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지역 정보화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초

농촌지역정보망 구성방안

  • 위오기;이규대
    • 디지털콘텐츠
    • /
    • 9호통권16호
    • /
    • pp.21-30
    • /
    • 1994
  • 이 글은 '93 통신학술과제로 수행된 "농산물유통개선을 위한 정보망 구성방안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농촌정보화에 중점을 두어 재구성한 것이다.

  • PDF

농촌지역정보망 구성방안(Ⅳ)

  • 위오기;이규대
    • 디지털콘텐츠
    • /
    • 12호통권19호
    • /
    • pp.22-38
    • /
    • 1994
  • 이 글은 '93 통신학술과제로 수행된 "농산물 유통개선을 위한 정보망 구성방안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농촌정보화에 중점을 두어 재구성한 것이다.

  • PDF

농촌지역정보망 구성방안(Ⅱ)

  • 위오기;이규대
    • 디지털콘텐츠
    • /
    • 10호통권17호
    • /
    • pp.22-33
    • /
    • 1994
  • 이 글은 '93통신학술과제로 수행된 농산물 유통개선을 위한 정보망 구성방안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농촌정보화에 중점을 두어 재 구성한 것이다.

  • PDF

${\cdot}$농간 격차해소를 위한 'u-농촌' 모델 연구;지역혁신체계적 관점에서 (A Study on the ' u-Village' Model for Development Divide Closure between City and Village)

  • 고영삼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41
    • /
    • 2007
  • 최근 도농간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림어촌의 발전을 위한 전향적 모색이 요구되고 있는바, 이 글은 u-IT 및 지역혁신체계의 개념을 통하여 이들 지역의 발전모델을 구성하려는 의도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지역혁신체계의 개념, 농어촌 대상 정부정책, u-IT 적용 기술, 농어촌정보화정책 동을 점검하고서, 지역혁신적 u-농촌의 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 PDF

지역별 여성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관한 비교연구

  • 김경미;최윤지;안영미;심화섭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60-160
    • /
    • 2004
  • 도로 등 새로운 교통망의 개통, 정보화 인프라의 진전 등은 농업환경의 변화 못지 않게 농촌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또한 변화를 수용하고 잘 적응하게 하기 위한 가장 좋은 도구로 교육이 강조되어왔다. 그러나 농촌사회의 절반을 차지하며 농업생산의 주요 노동력인 여성농업인의 경우, 교육 프로그램이 매우 많으나 산만하게 제공되고 있어 교육효과를 제대로 내지 못하고 있다는 일부 비판이 있음에도(김영옥ㆍ김이선, 1999) 사실상 수요자 입장에서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중략)

  • PDF

정보통신기술과 농촌 경제: 한국과 일본 정보화마을의 사례 연구 (Can Information Technology Revive Rural Economies?: The Cases of E-villages in Korea and Japan)

  • 허우긍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28-742
    • /
    • 2008
  • 농촌의 부흥을 위하여 정보통신기술에 거는 기대가 크고, 정보화 사업이 도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의 보급만으로는 농촌의 경제가 활성화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이 논문은 농촌의 정보화사업에 대한 이런 쟁점을 가리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의 정보화 마을과 일본의 무라(촌(村))를 대상으로, 해당 마을의 홈페이지에서는 어떤 수익모델들을 채택하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은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고객들은 얼마나 자주 이용하고 있는지, 또 수익은 얼마나 창출되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익모델의 활용과 성과가 전반적으로 기대에 못 미쳤으며, 한국보다는 일본 사례에서 그 성과가 다소 나은 것으로 밝혀졌다. 수익모델의 활용과 성과가 이처럼 미흡한 것은 운영자들의 경험 부족과 농촌 인력의 한계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결과는 농어촌의 정보화에 정보통신기술의 보급 못지 않게 인적 자원도 중요함을 부각시켰다.

농어민의 정보격차와 소득수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Divide of Farmers and Fishermen)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13-20
    • /
    • 2018
  • 도시와 농촌이라는 지역적 차이는 여러 가지 다양한 차이를 빚어낸다. 도시와 농촌간에는 경제적 격차, 문화 격차 등등 다양한 차이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정보에 접근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서도 도시와 농촌지역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소외계층 중에서도 특히 정보격차 수준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더 심각하다고 여겨지는 농어민그룹을 대상으로 정보격차와 소득격차간의 관계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즉, 농어민들의 정보격차현상이 소득격차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매년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농어민들의 정보화수준과 소득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농어민들의 정보화수준과 가구소득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그 회귀계수 추세가 양(+)으로 나타나 농어민들에 대한 정보화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부의 다양한 정보화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호남 장수지역의 산업 연계와 혁신 네트워크 (Industrial and Innovation Networks of the Long-live Area of Honam Region)

  • 박삼옥;송경언;정은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8-95
    • /
    • 2005
  • 호남 장수지역 경제활동의 산업연계와 혁신네트워크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지식정보화 시대의 이상적인 고령사회에 대비한 새로운 지역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장수지역 중의 하나인 전라북도의 순창군과 전라남도의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등의 대표적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산업 연계에 있어 원료구입과 노동력이용은 해당 군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제조업과 농업 및 관광업간 연계와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판매가 활성화되고 있었다. 그리고 혁신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지식정보화시대에 가상혁신클러스터의 형성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농촌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지식기반경제의 지역혁신체계 개념을 이용해 지역의 자원 및 전통지식과 밀접한 혁신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강원.제주 장수지역에 있어 서비스기능의 생산연계와 혁신네트워크 -호남 장수지역과의 비교- (Production and Innovation Networks of Services in the Long-live Area of Gangwon.Jeju - In Comparison with Honam Region -)

  • 송경언;정은진;박삼옥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7-122
    • /
    • 2006
  • 생산활동으로서의 서비스기능 가운데 관광기능과 연구 지원기능의 생산연계와 혁신네트워크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지식정보화 시대의 이상적인 고령사회에 대비한 농촌지역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강원도와 제주도의 장수지역이고, 이와 비교를 위해 전주 광주와 호남지방 4개군이 조사되었으며, 조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농촌지역의 서비스기능은 지방자치 실시에 따라 지역 산업을 기반으로 활성화되고 있고, 혁신주체간의 네트워크가 서비스기능의 혁신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혁신주체간 네트워크는 관광기능과 연구 지원기능에 따라, 각 기능별로는 공간계층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지식정보화 시대의 농촌지역 발전방향은 지역혁신 체계 구축을 위하여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가상혁신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농업 정보화에 대한 인식 변화 빅데이터 연구: 코로나19 확산의 농어촌 정보화 인식 변화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 임선영;이종태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13권1호
    • /
    • pp.41-56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확산을 기점으로 농어촌 정보화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인식과 연관 키워드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농어촌 지역에 대해 외부에서 인식하는 IT Savvy 수준을 간접적으로 이해하고자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농어촌 정보화와의 관련 키워드로 코로나19 이후 농촌 지역 학생들의 대입이나 교육과 같이 비대면으로 인한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비대면 상황에서 경제적, 사회적인 약점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우선 추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농어촌 지역의 정보화와 관련된 키워드의 감성 분석 결과, 농어촌 정보화의 IT Savvy 성과, 즉 농어촌 지역의 디지털 격차 감소, IT활용 역량 개선 등에 대한 외부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정보화 관련 정책이 코로나19 확산에 긍정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농어촌 정보화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는 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농어촌 거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 조사 자료를 확보하기 어려운 시점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에게 한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한계에 따라 불가피하게 빅데이터 툴을 활용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할 수 밖에 없다. 향후에는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고 다각적인 학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