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지역개발

Search Result 98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f Current Status and Activities of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Rural Areas in Korea (한국의 농촌지역에서의 보건진료원 현황 및 활동분석연구)

  • Kim, Jin-S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5 no.2
    • /
    • pp.343-352
    • /
    • 2000
  • 한국의 농촌 보건의료 문제를 해결 하기위하여 일차보건의료가 도입되었으며 일차보건의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보건진료원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목적은 보건진료원의 일반현황과 보건진료원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활동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있다. 분석방법은 사회조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조사는 1998년 7월과 11월기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보건진료원 전원에게 송부하여 스스로 작성하게 하였다. 1880명의 보건진료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1663명의 응답자가 작성한 설문지가 최종분석되었으므로 분석율은 88.5%였다. 분석결과 보건진료원의 일반현황으로 광역사의 보건진료원 평균 연령은 39.7세이며 시지역 보건진료원의 연령이 군지역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총근무기간도 시지역의 보건진료원의 12.4년-13.6년으로 농촌지역보다 걸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건진료원의 평균 관할 인구수는 901명이었다. 보건진료소 관할지역의 노인인구 및 만성질환자의 분포가 매우 높았다. 보건진료소로부터 민간의료기관이 위치한 거리는 시지역 (7.1-11.3km) 보다 농촌지역이 12.1km로서 지리적 접근성이 시지역보다 낫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건수분석결과 월평균 가정방문수는 평균 47.8건, 일평균 내소자수는 14.1건 및 일평균 전화상담은 5.2건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활동수준은 40세이상이 4세 이하보다 월평균 가정방문수와 일평균 내소자수가 많았으며 통계적요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경력이 많을수록 일평균가정 방문수 및 전화상담 건수가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무조건에 대한 만족도는 80%정도로 높았다. 연구결과 보건진료원의 활동지역내 노인인구 및 만성질환자의 비율이 높고 민간의료기관의 지리적 접근성도 낮고, 관할인구규모가 적어서 인구규모를 늘리고 노인 및 만성질환자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며 농촌지역주민의 건강관리자로서 보건진료원의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PDF

Factors Influencing Effects of Korea's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 on Quality of Life of Rural Women (한국의 농촌 생활개선사업이 농촌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 Bereket Roba Gamo;Yoon-Ji Choi;Jung-Shin Choi;Joo-Lee So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30 no.4
    • /
    • pp.243-257
    • /
    • 2023
  •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s (RLIPs) have been implemented with a central goa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rural life and promoting rural welfare and cultural life. However, different factors may influence the effect of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s on rural communities or househol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perceived effects of RLIPs on quality of life of rural women in South Korea. We used a mixed research design to generate data for this study.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311 rural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RLIPs and also conducted a focus group discussion. We analyzed the quantitativ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predicted effects of RLIPs on quality of life of rural women. Our study finds that age, type of residence in the community, leadership experience, level of education, community satisfact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fluenced respondents' perceived effects of RLIPs. The results imply that the benefits of a development intervention could not be uniformly reaped by residents of a community.

Networks of Rural Youth Education and Training in Asia (아시아 농촌 청소년 교육과 훈련의 연결망)

  • 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9 no.1
    • /
    • pp.131-145
    • /
    • 2002
  • 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

  • PDF

Situation of Community Forest Resource Management in Vietnam (베트남의 지역사회 산림자원 관리 상황)

  • Bui, The-Hung;Nguyen, Quang-Dung;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1 no.1
    • /
    • pp.209-216
    • /
    • 2004
  • 베트남은 국토의 3/4이 고산지대이며 1천만ha의 산림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비효율적인 산림관리로 인해 산림의 규모와 질이 점차적으로 악화되어 왔다. 국가기관이 관리하는 대규모산림과 개인소유의 산림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는 반면, 지역사회가 관리하는 고산지대의 산림은 제대로 관리되지 뭇하고 있다. 이 연구는 베트남 지역사회 산림관리의 실제와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지역사회에 의한 산림관리는 새로운 제도라기 보다는 이미 지역주민에 의해 개발되어진 전통적인 관리방식으로 1955년 토지개혁 이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지역사회산림은 지역에 적합한 지식과 제도에 따라 관리됨으로 산림의 보호와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었음에도 여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산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물리적, 제도적 여건의 많은 변화속에서 지역사회 산림의 회복과 관리를 위해서 지속적인 실험과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농촌관광의 접근성 개선 및 마케팅 전략

  • 황대용;박은식;고정숙;조록환;조영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0-246
    • /
    • 2004
  • 2002년 농가소득은 도시근로자가구소득에 비하여 73.0%로 불과하고 매년 그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또한 농외소득의 비중이 53.9%로 일본 87.0%, 대만 79.5%, 미국 94.7% 등에 비해 그 비중이 매우 낮아 농외소득원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구나 인구 3천명 이하 면수가 1990년 152개 지역에서 2000년에는 447개로 증가하는 등 농촌지역에 인적이 끊어지고 있는 곳이 증가하여 어떻게 지역을 유지해 나갈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중략)

  • PDF

농촌관광의 접근성 개선 및 마케팅전략

  • 황대용;박은식;고정숙;조록환;조영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7-125
    • /
    • 2004
  • 2002년 농가소득은 도시근로자가구소득에 대비하여 73.0%에 불과하고 매년 그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또한 농외소득의 비중이 53.9%로 일본 87.0%, 대만 79.5%, 미국 94.7% 등에 비해 그 비중이 매우 낮아 농외소득원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구나 인구 3천명 이하 면수가 1990년 152개 지역에서 2000년에는 447개로 증가하는 등 농촌지역에 인적이 끊어지고 있는 곳이 증가하여 어떻게 지역을 유지해 나갈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