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자원

Search Result 79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농촌전원개발을 촉구함

  • 정성계
    • 전기의세계
    • /
    • v.23 no.2
    • /
    • pp.4-6
    • /
    • 1974
  • 본고에서는 현재와 같은 자원내쇼낼리즘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를 극복하고, 국내의 부존천연자원을 최대한으로 총동원하여 개발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입각하여, 농촌산재의 극소수력, 풍력자원을 개발하고, 이와 아울러 저수지, 양수개발시설등을 병용함으로서 경제적이고 신뢰성있는 전력을 농촌에 공급하여 이로써 농촌의 전화, 기계화, 수리화, 치수효과를 도모하고 새마을 운동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한다는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농촌전원개발은 또 과학기술의 발전과 농촌소득증대, 농촌노동력의 효과적 이용등의 견지에서 다목적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자원조사 및 개발을 하루 속히 실현할 것을 촉구하고 기대한다.

  • PDF

Historical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Character of Pumpkin and Squash Genetic Resources (Cucurbita spp.) Reserved in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농업유전자원센터 호박속 자원의 구분 및 특성)

  • Eunae Yoo;Gyu-Taek Cho;Do Yoon Hyun;Kyung Jun Lee;Ik Jang;Jungyoon Yi;Seungbum Lee;SeongHoon Kim;Sookyeong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39-39
    • /
    • 2020
  • 호박(Cucurbita spp.)은 박과 호박속 식물로 원산지는 열대 남아메리카로 추정되며 1년생 혹은 다년생 초본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다. 호박은 비타민A와 비타민C가 풍부하고 이뇨작용 효과가 탁월해 피부를 좋게 하고 부기를 빼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한 호박속 자원의 내력과 형태적인 특성을 그룹화하여 자원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한 호박속 등록자원은 총 5종(C.pepo, C. moschata, C.maxima, C.argyrosperma, C .ficifolia) 1,640자원으로 주요 원산지는 한국 589자원(35.9%), 미국 122자원(7.4%), 러시아 79자원(4.8%), 멕시코 49자원(4.2%), 터키 56자원(3.4%)이었으며 국내 원산의 경우 강원도에서 수집된 자원이 66자원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1,640 자원 중 재래종은 733자원(44.7%)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육성품종이 133자원(8%)으로 많았다. 생장형이 조사 된 301자원 대부분이 덩굴성이며 준왜성 16자원, 왜성 14자원이 있었다. 호박은 과실 모양과 색, 잎 모양, 줄기 모양 등 생육 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조사 되었으며 과경 등 몇 가지 특징은 완벽하지 않지만 종(species)을 구분하는 간이적인 지표로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흰가루병 저항성 자원은 조사 된 1,170 자원 중 우리나라 재래종인 참호박(IT104575)을 포함한 7자원이 조사되었다. 293개 자원의 과실당도는 2.2~15.4brix까지 다양했으며 당도 12brix 이상 자원은 IT200650을 포함하여 6자원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호박속 자원의 내력 및 생육 특성은 육종소재의 기초 정보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자원 내력정보의 보완, 형질과 기능성 물질 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소재의 기초 정보로서 활용의 가치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Rural Tourism Resources through a Card Sorting Test -Focused on Rural Amenity Resources Database- (카드분류법을 통한 농촌관광자원 유형 분류 -농촌어메니티자원 DB를 중심으로-)

  • Kang, Young Eun;Park, Mee Jeong;Kim, Sang Bum;Kim, Eun Ja
    •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 /
    • v.6 no.2
    • /
    • pp.63-71
    • /
    • 2012
  • As the interest in rural tourism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late 1990s, the research associated with rural tourism has increased, including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of rural tourism resources. The research classifying these resources has proved useful to many other studies. Although su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they have expressed only experts' perspectives and been supported by statistics, without reflecting on users' opinions. Give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classify rural tourism resources by focusing on the rural activities for tourists who use those tourism resources. To achieve this, each study participant proceeded to collect tourism resources by using a rural amenity resources database, and a card sorting test was conducted. Thirty-two people who had previously gone sightseeing in the rural areas were chosen as participants in the card sorting test. After the card sorting test was complete, the results were reviewed by experts. These results yielded six categories: doing nature activities, eating and cooking local dishes, putting up (overnight stays), going sightseeing/appreciating the landscape, enjoying leisure activities, and doing artistic activities. In the doing nature activities category, there were four subcategories: experiencing local resources, experiencing nature, experiencing tradition, and harves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tourists who visit rural areas. Thus, the classification of rural tourism resources developed by this study will be widely used to establish the framework or contents of websites, applications, and so on, for promoting rural tourism resources and local resources.

Evaluation of Morphological Traits in Eggplant germplasm (가지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

  • Seungbum Lee;Kyung Jun Lee;Gyu-Taek Cho;Ik Jang;Eunae Yoo;Sookyeong Lee;SeongHoon Kim;Do Yoon Hy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41-41
    • /
    • 2020
  • 가지(Solanum melongena L..)는 가지과 식물로 인도 동부가 원산지로 추정이 되며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전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가지는 다른 과채에 비해 비타민 함량은 낮으나 무기질과 폴리페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항균, 항암,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수집된 가지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가지 자원은 필리핀 78자원, 영국 78자원, 중국 45자원, 한국 12자원 등 16개 국가에서 수집된 459자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지 유전자원의 생육 특성은 반직립형 437자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립형 15자원, 수평형 7자원으로 조사되었다. 하배축의 안토시아닌은 301자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줄기 안토시아닌 축적은 258자원에서 조사되었다. 가시의 여부는 줄기에 31자원, 잎에 30자원이 조사되었으며 IT189682는 특이적으로 줄기에서만 가시가 조사되었다. 화색의 경우 흰색 31자원, 자주 207자원, 연자주 217자원, 흰자주 4자원으로 조사되었으며 꽃의 크기는 중간이 340자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큰 꽃 28자원, 작은 꽃 1자원(IT136568)으로 조사되었다. 과실의 형태는 원형 77자원, 타원형 27자원, 난형 31자원, 서양배형 57자원 곤봉형 88자원, 원통형 84자원, 긴원통형 95자원으로 다양하게 조사되었으며 과실 성숙색은 녹색 94자원, 흰색 16자원, 녹자주 67자원, 백자주 21자원, 자주 240자원, 주황 8자원, 노랑 13자원으로 조사되었다. 과실의 길이는 1.4(IT283605) ~ 40.5cm(K003875)로 평균 17.4cm였으며 두께는 0.7(IT283605) ~ 13.7cm(K162043)으로 평균 5.6cm 조사되었다. 본 실험에서 조사된 가지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은 가지 선발에 있어 기초 정보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추가적으로 농업형질, 기능성 물질 분석등의 가지 육종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평가 및 선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Morphological Traits in Perilla frutescens Germplasm (들깨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

  • Do Yoon Hyun;Kyung Jun Lee;Gyu-Taek Cho;Seungbum Lee;Ik Jang;Eunae Yoo;Sookyeong Lee;SeongHoon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40-40
    • /
    • 2020
  • 들깨(Perilla frutescens L.)는 꿀풀과 1년생 초본으로 한국, 중국 등의 동부 아시아가 원산지로 식용, 약용 및 공업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들깨는 우리나라에서 오랜시간 재배해 왔으나 체계적인 연구기간이 짧아, 다른 유료작물에 비해 육성품종이 적고 유전자원의 체계적인 수집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외국에서는 들깨와 근연종을 이용하여 색소 및 정유성분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식용으로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들깨 육종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유전자원 확보와 이를 정리 보존하여 우량한 육종재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집한 들깨 44자원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들깨 자원은 경북 수집 10자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북 8자원, 경남 7자원, 강원과 경기에서 각각 6자원, 충남 3자원, 전남과 충북에서 각각 2자원이었다. 화색은 들깨 44자원 모두 흰색이었으며 줄기색은 연녹색이 29자원, 녹색 9자원, 자주색 4자원으로 조사되었다. 잎의 앞면은 녹색 27자원, 연녹색 10자원, 진녹색 7자원이었으며 뒷면색은 녹색 26자원, 연녹색 18자원으로 조사되었다. 잎의 모양은 장타원형 21자원, 피침형 15자원, 심장형 7자원이었으며 잎의 모용은 23자원이 적음, 14자원이 보통, 6자원이 많게 조사되었다. 잎의 길이는 35자원이 15.1cm이상으로 조사되었고 잎넓이는 11.1cm이상인 자원이 37자원으로 조사되었다. 종피색은 갈색이 28자원, 회색이 6자원, 암갈색이 3자원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실험에서 조사된 들깨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은 들깨 선발에 있어 기초 정보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추가적으로 농업형질, 기능성 물질 분석등의 들깨 육종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평가 및 선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Morphological Traits in Cucumber Germplasm (오이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

  • Ik Jang;Kyung Jun Lee;Do Yoon Hyun;Seungbum Lee;Eunae Yoo;Sookyeong Lee;SeongHoon Kim;Gyu-Taek C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42-42
    • /
    • 2020
  • 오이(Cucumis sativa L.)는 1년생 초본의 덩굴성 박과 작물로 미숙한 과실을 다양한 식품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 오이는 시설재배기술 확립으로 연중 생산과 공급이 가능하나 내병성 품종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오이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이를 위한 다양한 오이 자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오이 180자원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육종 소재로 활용하는데 있어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오이 자원의 원산지는 조지아 98자원, 한국 37자원, 중국 28자원, 우즈베키스탄 17자원이었다. 오이 180자원은 모두 덩굴손을 가졌으며 자웅동주로 조사되었다. 착과습성은 주지형 83자원, 주지 및 측지형 97자원으로 조사되었고 절화당 자화수는 175자원이 2개로 조사되었으며 5자원은 1개로 조사되었다. 과형은 장원형 87자원, 단원형 92자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과선단좁은형이 1자원 조사되었다. 과기부형태는 평평한 형태 83자원, 휘어진 형태 94자원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오목한 형태 1자원, 뽀족한 형태 2자원이 조사되었다. 과선단의 형태는 평평한 형태 148자원, 휘어지 형태 32자원으로 조사되었다. 오이 유전자원의 개화기는 60~80일로 평균 66.1일 이었으며 과실 성숙기는 33~68일로 평균 49.6일이었다. 국가별로 개화기는 62.4일(중국)~68.5일(한국), 과실성숙기는 48.3일(중국,조지아)~54.1일(우즈베키스탄)로 조사되었다. 본 실험에서 조사된 오이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은 오이 선발에 있어 기초 정보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추가적으로 농업형질, 내병성, 기능성 분석등의 오이 육종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자원 평가 및 선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

Planning of Exhibit Halls in Rural Tourism Villages Applying Experience Factor(4Es) Theory (체험요소(4Es) 이론을 적용한 농촌마을의 테마전시관 계획 연구)

  • Lee, Jeung Won;Kim, Eun Ja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9 no.4
    • /
    • pp.1067-1094
    • /
    • 2012
  • Building of exhibit halls in rural area has been a new trend with increasing investments in rural development. Exhibit hall can be an effective way to specialize rural village with amenity resources which is now in a flood of agritourism. However, most of exhibit halls being operated by rural villages have similar display on similar themes and are poorly managed. To aggressively promote rural amenity resources in villages and make visitors satisfy through their experiences, this research reviewed experience economy theory of Pine and Gilmore(1998) and derived planning guidelines of rural theme exhibit hall applying experiential factors(Educational, Esthetic, Escapist, and Entertainment experiences). Finally, we applied these planning guidelines to a site, Igil village which is located in Cheorwon County, Gangwon-do, with a theme of a red-crowned crane for ver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