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의 변화

Search Result 1,182,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Evaluation and analysis of future flood probabilities in rural watershed based on probability theory (확률론 기반 농촌 유역의 미래 홍수 확률 평가 및 분석)

  • Kwak, Jihye;Lee, Hyunji;Kim, Jihye;Jun, Sang Min;Kim, Seokhyeon;Kim, Sina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87-187
    • /
    • 2022
  • 우리나라의 농촌 유역은 크게 1) 상류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 2) 저수지 방류부, 3) 저수지 하류하천, 4) 하류 농업 지대로 구성된다. 이들 모두 유역의 홍수·침수와 연관되어 있으나 각각의 설계 빈도가 서로 달라 일시에 수용 가능한 수자원의 양이 상이하다. 예컨대 극한 강우가 발생한 경우 PMP를 고려하여 설계된 저수지에서는 유입 홍수량이 통제될 수 있으나 50-200년 빈도로 설계된 하류하천에서는 측면 유입량 때문에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역의 홍수 확률을 산출할 때에는 유역 구성지역별 홍수 확률을 산정한 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농촌유역의 경우 하류하천 및 농경지의 설계 빈도 기준이 도시에 비해 낮아 유역 구성요소 간 처리 가능한 수자원 양의 차이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 유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편,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 강우 사상의 빈도가 잦아짐에 따라 유역 내 홍수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농촌 유역의 홍수 발생 여부 파악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MIP 6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의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기상산출물을 농촌 유역에 적용함으로써 미래 농촌 유역의 홍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CMIP 6의 GCM 산출 기상자료의 시간 단위는 24시간 혹은 3시간으로 시간적 해상도가 낮으므로 유역 홍수 모의를 위하여 GCM 산출물의 시간 분해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RC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모형을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상자료에 적용함으로써 강우 자료의 시간 분해를 수행하고, 시간 분해 결과물을 활용하여 농촌 유역의 미래 홍수 확률을 산정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농촌 유역의 홍수 확률 산정 기법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f modular architecture for rural housing (농촌 주택을 위한 모듈러 건축에 관한 연구)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41-44
    • /
    • 2009
  • 기존의 농촌주택에 대한 연구에서도 농촌주택의 기능이 도시주택과는 달리 주거생활과 농업 생산 활동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계획되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고려되지 않은 점이 있다. 현대에 와서는 농촌은 젊은층의 이농에 따른 농촌 인구의 고령화와 기계화 그리고 경작 면적에 있어서는 대규모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거주 인구의 성격 변화에 따라 농촌 주택도 그 형태와 기능의 변화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방안의 하나로 모듈러 건축의 적용을 살펴보았다. 18세기 이후 철의 본격적인 사용과 더불어 발달한 공업화는 건축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끼쳤다. 생산의 효율성에 입각한 건축의 공업화는 현재까지 다양한 시도가 잇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를 정리하고 현재 우리 농촌에 요구되는 모듈러 건축의 특성과 그 적용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PDF

농촌 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마을테마 개발 사례 -군산, 산청 농촌전통테마마을을 대상으로-

  • 김혜민;조순재;나장원;최혜성;이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8-178
    • /
    • 2004
  • 현재 국민의 여가활동 패턴변화와 주5일 근무제 도입 등으로 전통문화, 자연체험 기회제공의 장으로서 농촌이 재인식되고 있으며,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농촌진흥청) 등 농촌지역 부존자원의 잠재서비스 개발ㆍ연출 및 농촌마을만이 가진 다양한 가치 발굴, 이를 자원으로 활용한 마을 활성화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이 추진되고 있다. 이때 농촌마을 부존자원의 다양한 부가가치 개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이자 공동체 활성화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략)

  • PDF

집중탐구 -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 [농업전망 2019] 개최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189
    • /
    • pp.22-27
    • /
    • 2019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1월 23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농업 농촌의 가치와 기회, 그리고 미래'라는 대주제로 '농업전망 2019' 대회를 개최했다. 총 3부로 나눠 진행된 이날 농업전망 2019에선 1부 '2019년 농정 방향과 한국농업 미래', 2부 '농업 농촌의 가치와 기회를 향한 농정의 핵심이정표', 3부 '산업별 중장기 미래' 등의 주요 농정이슈와 과제를 발표했다. 김창길 농경연 원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올해도 농경연은 농업 농촌이 변화하는 대내외 환경에 대응하고 가치와 기회를 찾아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 내용 중 가금산업-오리관련 이슈와 오리 및 오리고기 사육동향과 수급동향을 정리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