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생활경험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3초

농촌노인들의 생활세계와 농촌 커뮤니티에서의 삶의 의미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Life-world and the Meaning of Life Experiences of Older People in Rural Communities)

  • 윤성은;한경혜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767-793
    • /
    • 2011
  • 본 연구는 농촌노인들의 구체적인 삶의 경험과 그러한 삶의 맥락으로서 농촌공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농촌마을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세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살펴보고, 커뮤니티의 지리적·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농촌노인들의 생활경험이 어떻게 구현되며 이러한 경험이 이들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마을을 분석단위로 하여 전라북도 순창군에 있는 2개의 농촌마을을 사례마을로 선정하고, 문화기술지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사례마을에서 연구자가 약 두 달 동안 기거하면서 마을노인들의 일상생활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마을 노인들에게 농촌 커뮤니티는 오랫동안 지속되는 농업노동과 사회적 역할 및 지위, 일생의 동행자로서 친구·이웃 등의 사회관계, 가족과 커뮤니티 차원에서 이룩한 업적과 소중한 순간들에 대한 기억 등이 포괄적으로 존재하는 생활세계로서, 삶의 연속성을 제공하고 자아를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풍부한 의미의 원천을 가진 공간이었다. 사례마을 노인들에게 이러한 농촌 커뮤니티에서 노년을 보내는 것은 노동의 주체로서 자립성과 생산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의 물리적·사회적 환경에 대한 친숙함을 바탕으로 통제력을 가지고 커뮤니티 공간을 전유하며, 가족과 이웃, 커뮤니티 등 다층적 관계에서 기여하는 주체로 살아감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함의들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농촌의 녹지공간 제공기능 인식과 농촌방문 경험 분석

  • 김영;김은자;안윤수;이상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64-164
    • /
    • 2004
  • 농촌의 녹지공간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여 휴식과 휴양을 즐기거나, 개개인이 자아를 발견하고 재창조하는 장소로 농촌이 있음으로 발생되는 논, 밭, 목야, 과수원, 산림, 마을숲, 하천, 호수 등을 말한다. 이러한 농촌의 녹지공간은 심리적으로 인간이 아름다운 경관을 보고 즐길 수 있는 마음을 가지게 하며, 환경 보전적으로 지역의 생태계를 보전하고 미기후를 조절하기도 한다. (중략)

  • PDF

농촌생활 장기변화 연구 - 대구${\cdot}$낙동강권역 4마을을 중심으로-

  • 고정숙;이한기;박은식;조록환;조영숙;황대용;강경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3년도 제16차 학술대회
    • /
    • pp.155.1-156
    • /
    • 2003
  • 우리 나라가 본격적인 국가개발계획을 추진한 이래 지난 40여 년간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의 영향으로 농촌인구의 급격한 도시 유입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도시지역은 비대해지고 농촌지역은 과소화되는 등 농촌 내외의 상황변화에 따라 일반적으로 변화의 속도가 늦은 농촌사회도 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농촌의 변화에 대한 미시적이고 횡단적인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장기적이고 생활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93∼2002년까지 10년 동안 대구ㆍ낙동강권역의 사례지역인 대구시 달성군 다사면 이천리(도시근교), 경북 상주시 사벌면 원흥3리(평야지), 의성군 봉양면 사력1리(중간지), 문경시 동로면 생달1리(산간지) 4마을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농촌생활의 장기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2000년대 바람직한 농촌 미래상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루어졌다.

  • PDF

농촌가정의 의사소통, 재무관리행동, 가정생활만족 - Deacom & Firebaugh의 체계적 접근법의 적용 - (Communication Financial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Rural Family : Application of the Deacon & Firebaugh Model)

  • 조미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3호
    • /
    • pp.156-169
    • /
    • 1995
  • 본 연구는 체계론에 근거하여 농촌가정의 의사소통효율성, 재무관리행동, 가정생활 만족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체계론에 의해 제시된 개념적 틀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의사소통효율성에 직접효과를 미친 변수는 경제문제 경험도와 경제적 상승감이었다. 재정관리행동에는 경제문제 경험도, 경제적 기대감, 의사소통효율성이 직접효과를 미쳤고, 경제문제경험도는 의사소통효율성을 통한 간접효과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경제문제경험도, 경제적 상승감, 경제적 기대감, 의사소통효율성, 재무관리행동의 변수가 산출요소인 가정생활만족에 직접적인 효과를 보였고, 이중 재무관리행동을 제외한 4개 변수 모두 재무관리행동을 통한 간접효과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의 농촌생활개선사업의 특징과 동향 - 에티오피아를 위한 제언 - (A Review of Trends and Tasks of Korea's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s - Lessons for Ethiopia -)

  • 가모 베렛켓 로바;최윤지;최정신;손주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4호
    • /
    • pp.265-280
    • /
    • 2022
  • 농촌 생활 개선은 대부분의 개발도상국 정부의 주요 정책 관심사로 남아 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들은 농촌개발정책을 시행하면서 농업생산성과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한국의 농촌생활 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되는 주요 과제를 파악하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에티오피아의 농촌개발 노력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자료는 한국에서의 집중적인 문헌 검토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생성되었다. 일반적으로 두 나라와 특히 그들의 시골 지역은 가난했고 처음에는 거의 비슷했다. 1960년대 이후 한국 농촌의 상황이 급변한 반면 에티오피아 농촌은 아직 큰 개선을 경험하지 못했다. 에티오피아에서 다양한 농촌 개발 노력이 이루어졌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다른 정치 정권이 시행한 변덕스러운 정책들이 농촌 부문의 저조한 실적을 뒷받침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나타난다. 또한 우리 정부의 농촌개발정책은 처음부터 농촌생활 개선권뿐만 아니라 농업생산기반 개선에도 동등한 비중을 두고 있었지만, 에티오피아 농촌개발정책은 오히려 농촌생활 개선의 측면을 소홀히 하였다. 농업가공, 농촌관광, 비농업 고용기회를 통한 농촌경제 다변화는 우리나라의 농촌개발정책에서도 또 다른 우선분야였지만 에티오피오티아의 농촌개발정책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우리는 에티오피아가 농촌 생활 개선 노력에 적응할 수 있는 몇 가지 교훈을 제안한다.

농촌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 (Awareness to the Experience of Rural Married Migrant Women's Life in Korea)

  • 이현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1호
    • /
    • pp.71-103
    • /
    • 2013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와 인천에 거주하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활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이주여성들의 절반이상은 자신들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으며, 남편과의 만족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학습지도이며, 자녀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은 기초 교과지도, 자녀교육의 문제해결 방법으로 방과 후 학교교육 활성화와 언어소통으로 나타났다. 한국생활에서 힘든 점은 언어문제이며, 차별받은 장소는 공공장소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가장 필요한 도움은 언어소통, 자녀교육, 지역사회 적응의 문제가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주 참여하는 모임이나 활동은 종교단체, 모국친구 모임이며, 어려울 때 의논하는 사람은 한국인, 모국인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농촌지역 결혼이주 여성들이 지역사회와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여 자녀들을 잘 양육할 수 있는 기틀을 지역사회와 한국사회는 제도적으로 잘 마련하며 또한 기초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 어려움에 관한 질적(CQR)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Multicultural Families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fficulties Life in Korea)

  • 이현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1호
    • /
    • pp.143-176
    • /
    • 2014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들의 한국생활 경험의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에 거주하며 다문화 가정을 이룬 여성결혼이주자 8명을 선택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3개의 범주에서 12개 영역 및 그에 따른 49개의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을 하였다. 여성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에서 심리 정서적 경험의 어려움에서 배우자와 관계, 시댁과의 관계, 의사소통 문제, 표현의 어려움, 정서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사회 경제적 경험의 어려움은 차별적 시선, 경제적 어려움, 다문화가정으로서 위축감, 생활 관습 문화 차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을 대처하는 과정으로는 자조모임, 다문화프로그램 참여, 지역사회체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다문화 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이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 서비스와 지역사회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농촌생활경험에 따른 귀촌자의 귀촌방식 및 주택마련 - 충북지역 귀촌자를 중심으로 - (The Patterns of Return and Getting Housing of Returners-to-village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of Rural life - Focused on Returners-to-village in Chungbuk Area -)

  • 박경옥;이상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43-15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data for proposing the housing environment support policy, fit for returners-to-village. For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d the patterns of returners-to-village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of rural life, and their ways of settlement like planning and getting land and house. The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by 91 persons who were living in Chungbuk area, and were analyzed chi-analysis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xperience of rural life, preparation of settlement and construction. The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ir pattern of return according to experience, the period for getting house,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of house siz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turners showed differentiated tendency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of rural life, in their age, family life cycle, education level and income source after return. The experience of rural life explained the purpose of return and the living pattern after return. Direct experience group was mostly occupational farmer; indirect experience group mostly pursued good health & green life; non experience group mostly pursued green life. Second, the experience of rural life also explained differentiated tendency of returning preparation. In raising money, direct experience group mostly raised it privately but indirect or non experience group mostly used bank loan. Third, the returners mostly constructed new houses; non experience group almost constructed newly, but there were cases to utilize existing or vacant house in direct experience group, and indirect experience group favored existing house or remodeling of vacant house.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 인식과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Husband's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 조해선;류진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1호
    • /
    • pp.265-29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 인식과 경험을 있는 그대로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결혼생활과 안정적 농촌사회 적응능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 13명을 심층면접한 결과를 현상학적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착하고 따뜻한 남자', '그냥 별 생각 없었음', '깨끗하고 멋있게 보이는 사람', '아내를 고생 안 시키는 남자', '가사는 내 몫이 아닌 남편 몫', '독립된 가정 꾸리기', '자식에 대한 책임감이 강함' 이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들은 국제결혼을 하면서 남편의 역할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막연하게 잘 사는 한류의 나라 한국에 대한 동경과 함께 그에 대한 기대가 남편에 대한 기대로 이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문화에 대한 사전 조사와 이해가 부족하여 자신의 출신국에 존재하는 사회분위기 및 가족과 부부문화가 한국에도 존재할 것이라고 여기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마음이 좋고 잘 해줌', '나에게 맞춤', '무책임과 무관심', '마음을iv 기댈 수 없음', '집안 일 별로 안함', '시댁과의 중간역할', '아이와 부모, 친척 먼저 챙김', '술과 도박, 폭력을 함'이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은 남편역할에 대한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지각하는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