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개발

Search Result 2,39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Analysis on the Change Factor Based on the Industrial GRDP of 5 Gun in Chungcheongnam-do (충청남도 5개 군의 GRDP 변화요인 분석)

  • Kim, Jung Tae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9 no.4
    • /
    • pp.1041-1066
    • /
    • 2012
  •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change factor of the industry in rural area. As the regional economy is consist of variety industry in local Revitalization of Rural Economy should consider the growth factor of industry. Analytical method is Shift-Share analysis, analysis data is used GRDP of the 5 target area. Analysis is showed that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s leading position. but Farm population decreased rapidly underway. Side work farmer and industry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inhibitory of 5 Gun is the weakness of the internal factor. especially Competition component is than industry-Mixed component. and the Growth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s external factor. To improve the regional economy, 5 Gun must improve the fault. and the growth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should promote the consumption of local products to as the local food system.

Study of Reconstruction Priorities of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저수지 재개발 우선순위결정 고찰)

  • Kim, Hae-Do;Lee, Kwang-Ya;Kim, Su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13-619
    • /
    • 2009
  • 과거의 용수개발은 단위시설 또는 단위사업별 중심의 양적 확대개발 위주로 추진하여 수리시설간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용수공급체계가 미흡하였다. 수리시설의 양적 확대개발 위주의 추진결과 '03년도 총 수리시설수인 68,018개소 중 관개면적 50ha이상의 주 수원공은 1,888개소로서 전체수리시설의 2.8%를 차지하여 비합리적인 공급불균형 현상이 발생하여 체계적인 급수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의 공급체계는 논 용수중심에서 식생활 변화로 인한 밭작물 수요증가로 용수이용 패턴이 변하고 있다. 더욱이 농촌지역의 생활환경 개선이 요구됨에 따라 생활용수, 공업용수, 환경용수 등 농촌지역에 과거와는 다른 형태의 용수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농촌지역의 수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환경파괴 및 적지부족 등의 이유로 신규 수자원개발이 불가능한 사회여건이 지속되어 있어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어 균형적인 농촌발전과 건전한 농촌지역조성을 위해서는 새로운 대안이 제시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농업용저수지 재개발에 대하여 사업의 우선순위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 문헌을 고찰하면 개발우선순위는 과학적 논리보다는 정치적, 사회적 논리가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의사결정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정책결정자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논리에 따라 사업개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개발 의사결정에 필요한 지형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지수화 하는 방법을 고찰하였고, 우선순위를 산정에 필요한 수치지도, 저수지 관련 자료의 작성과 지형정보(GIS)를 구축하였다. 우선순위 대상저수지의 선정은 기존문헌과 수계 및 용량 등을 고찰하여 79개로 우선 선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