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협력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Status Analysis for Advancement iNto Agricultural Sector in Central Asia (중앙아시아 농업분야 진출을 위한 현황분석 -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중심으로 -)

  • Park, Dong-Jin;Jo, Sung-Ju;Park, Jeong-Woon;Sa, Soo-Jin;Hong, Jung-Sik;Lee, D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 /
    • v.30 no.4
    • /
    • pp.328-338
    • /
    • 2018
  • Central Asia (Uzbekistan, Kazakhstan, Kyrgyzstan) is a hot and arid continental climate, with most areas (68%) consisting of barren vegetation, desert, and meadows. The main agricultural areas for crop production include irrigated farmland, non-irrigated farmland, grassland, prairie and mountain. We are experiencing climate change with recent climate variability increasing. Agriculture is one of major economic sectors and provides a means of livings for the rural population of Central Asia, especially the poor. In the past two decades, Central Asia has experienced a high population growth rate, with Kazakhstan at 16.8%, Uzbekistan at 34.5% and Kyrgyzstan at 28.4%. As a major industry, Kazakhstan has the largest share of exports of agricultural products followed by petroleum, mineral resources, steel, and chemicals. Uzbekistan is the fifth largest cotton exporter as well as the sixth largest cotton producer in the world. Kyrgyzstan exports ores, stones, cultured pearls, and minerals. These three countries are rich in mineral resources, agricultural products, and energy resources. However, not only do they have difficulties in economic development due to the weakness of logistics and industrial infrastructure, but they also have imperceptible cooperation and investment among countries due to insufficient research and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national outlook, economic indicators, major agricultural products, import and export status, and agricultural technology cooperation status, and study how Korean agricultural industry advances into these countries through SWOT analysis. Through this,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basic data of Central Asian studies and cooperation and investment in agriculture in each country.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cooperative exchange and investment in these countries, we will prepare a Central Asia logistics hub for the rapidly changing interKorean railroad era.

동서 농산물 협력체계 구축 방안

  • Lee, Sang-Hak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1-16
    • /
    • 1998
  • 경남 및 전남지방은 산업에 있어서 농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지역이다. 두 지방의 농업의 특성은 큰 차이는 없으나, 전남 지역이 농가인구, 호당 경지면적이 넓다. 영농 형태별로는 전남 지역이 수도, 전작의 비중이 크며, 경남지역은 과수, 채소, 화훼, 축산 등 소득작목의 비중이 높다. 농업기반에 대하여 보면, 농업진흥 지역비율은 경남 53.7%, 전남 64.8%이며 수리답율은 81.9% 76.1%, 경지정리율은 76.1%, 68.4%로 경남지역이 유리한 기반을 갖고 있다. 작목별 특화도를 보면 경남 지역은 맥류, 서류, 앙파, 마늘, 감, 화훼류 등이 높으며, 전남 지역은 맥류,두류, 마늘, 양파, 감, 참깨 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내 수급현황을 보면 경남지역은 미곡, 두류, 무, 배추, 고추,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이 부족하며, 서류, 마늘, 양파, 배 등이 과잉이고, 전남지역은 대부분이 과잉이며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이 부족하다. 지역간 농업협력은 상호 과부족인 농산물의 교역이나 비교우위가 있는 작목에 특화함으로써 서로 이익을 누리는 방안과 타 지역이나 해외 진출에 있어서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빙안으로서는 무엇보다 양 지역농업 및 농민에 대한 상호 이해가 이뤄져야 하며, 이를 전제로, 지역별 비교우위가 분명한 품목에 대하여 상호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상호 교역을 지원하며, 농산물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가격파동을 예방하기 위하여 계획생산, 계획 유통이 불가피한 만큼 농협, 농민단체, 지방정부간의 농업정보의 공유와 조정 채널을 구축하고, 지역간 직거래 활성화하고 서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농산물 장터 등 장소와 기회를 제공하며, 해외수출 시장 개척을 위한 공동 노력, 농업기술의 상호 교류 등이 필요하다.

  • PDF

The Blue Ocean Strategy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Convergence - Focused on the Scenario Planning of the 'Vertical Farm' in Gyeonggi Province - (기술융합화에 따른 농업분야 블루오션 전략 - 경기도 '식물공장(Vertical Farm)' 시나리오플래닝을 중심으로 -)

  • Lee, Won-Il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4
    • /
    • pp.983-999
    • /
    • 2011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strategy consulting of the 'Vertical Farm' for the blue ocean of Gyeonggi agricultural industry. The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both theoretical study and related qualitative study approaches. particularly, 'scenario planning' as a foresight method was used for the strategy formulation of the Vertical Farm. The major determinants for the success of the formation of the Vertical Far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nhancement of research capability and the Relational Capability of the research institutions. In terms of the needs of times, this study regarding the strategy for the formation of the Vertical Farm is anticipated to be a good reference for the R&D organizations and technology cluster participants in coming years.

  • PDF

특집 II : 농업전망 2012 - 축산업 생산액 18조 2,430억원 전망

  • 한국사료협회
    • 사료
    • /
    • s.55
    • /
    • pp.18-22
    • /
    • 2012
  • '농업전망 2012'가 지난 2월 2일 농업계 관련 인사와 농업인 등 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롯데호텔 크리스탈 볼룸에서 개최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최로 올해 15회째를 맞는 농업전망2012는 '도농상생을 위한 농업 농촌 가치의 재발견'이란 대 주제 아래, 제1부 세계 경제와 한국 농업 전망, 제2부 글로벌 시대의 도농 상생과 협력, 제3부 산업별 주요 전망과 이슈로 나눠 주제발표와 질의응답으로 진행됐다. 이날 '농업전망 2012'는 도시와 농촌이 함께 성장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글로벌 시대 한국 농업농촌이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주요내용을 요약 정리했다.

  • PDF

Networks of Rural Youth Education and Training in Asia (아시아 농촌 청소년 교육과 훈련의 연결망)

  • 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9 no.1
    • /
    • pp.131-145
    • /
    • 2002
  • 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

  • PDF

일본의 유기농업 기준과 유기.친환경농업 체제 구축을 위한 민간의 노력

  • 도큐에미치야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1.10a
    • /
    • pp.228-235
    • /
    • 2001
  • 먼저 한국의 친환경농업과 유기농업이 놀라울 정도로 발전한데 대해 커다란 존경을 표한다. 특히 한국 유기농업의 본산지라고 할 수 있는 양평에서 이번 학회가 개최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양평군이 이처럼 친환경농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것은 도시의 소비자들과 농민들이 서로 협력하여 이루어진 결과라고 들고 있다. 일본의 농민들과 소비자들은 한국의 경험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으리라 믿는다. 한일 양국은 많은 면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친환경농업과 유기농업 발전을 위해 우리의 지식과 경험을 서로 교환하고 싶다. 나는 이 논문에서 일본이 유기농업과 친환경농업을 어떻게 발전시켜왔으며 공식적인 유기규격을 제정하기 위하여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앞으로 유기농업과 친환경농업 발전을 위하여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같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of the FAO/ASFA Database (FAO의 ASFA 데이터베이스 국제협력 및 정보서비스 연구)

  • 한종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0.08a
    • /
    • pp.125-128
    • /
    • 2000
  • 국제식량농업기구(FAO)에서는 해양수산분야 학문의 효율적인 연구활동 제고를 위하여 ASFA 데이터베이스의 세계적인 공동 협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ASFA DB의 국제상호협력 활동을 고찰하고 이와 유사한 타분야의 AGRIS, CARIS, INIS의 현황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ASFA에서 제공되는 정보서비스에 대한 조사와 한국 자료입력센터의 지정과 역할 그리고 기대효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