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적특성

Search Result 1,97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valuation of Agro-Climatic Index Using Multi-Model Ensemble Downscaled Climate Prediction of CMIP5 (상세화된 CMIP5 기후변화전망의 다중모델앙상블 접근에 의한 농업기후지수 평가)

  • Chung, Uran;Cho, Jaepil;Lee, Eun-Je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7 no.2
    • /
    • pp.108-125
    • /
    • 2015
  • The agro-climatic index is one of the ways to assess the climate resources of particular agricultural areas on the prosp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it can be a key indicator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by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different and various farming techniques and practicalities to estimate the growth and yield of crops from the climate resources such as air temperature, solar radiation, and precipitation. However, the agro-climate index can always be changed since the index is not the absolute. Recently, many studies which consider uncertainty of future climate change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using multi-model ensemble (MME) approach by developing and improving dynamic and statistical downscaling of Global Climate Model (GCM) output. In this study, the agro-climatic index of Korean Peninsula, such as growing degree day based on $5^{\circ}C$, plant period based on $5^{\circ}C$, crop period based on $10^{\circ}C$, and frost free day were calculated for assessment of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and uncertainties of the indic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downscaled historical (1976-2005) and near future (2011-2040) RCP climate sceneries of AR5 were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index. The result showed four agro-climatic indices calculated by nine individual GCMs as well as MME agreed with agro-climatic indices which were calculated by the observed data. It was confirmed that MME, as well as each individual GCM emulated well on past climate in the four major Rivers of South Korea (Han, Nakdong, Geum, and Seumjin and Yeoungsan). However, spatial downscaling still needs further improvement since the agro-climatic indices of some individual GCMs showed different variations with the observed indices at the change of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our Rivers. The four agro-climatic indice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expected to increase in nine individual GCMs and MME in future climate scenarios. The differences and uncertainties of the agro-climatic indices have not been reduced on the unlimited coupling of multi-model ensembles. Further research is still required although the differences started to improve when combining of three or four individual GCMs in the study. The agro-climatic indices which were derived and evaluated in the study will be the baseline for the assessment of agro-climatic abnormal indices and agro-productivity indices of the next research work.

Estimation of net water consumption considering water use pattern for upland crops of Jeju Island (제주도 밭작물 용수이용 특성을 고려한 순물소모량 산정)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55-455
    • /
    • 2015
  • 농업용수 수요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계측 및 추정방법에 따라 사용수량을 직접 계측하는 방법, 대표작물의 단위수량으로 추정하는 방법, 증발산 이론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농업지역에서의 계측자료가 충분하지 못하고, 자연조건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농업용수 특성상 증발산 이론에 의한 수요량 추정기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필요수량 개념의 접근법이 과거로부터 많이 활용되어 왔다. 이 방법은 경작지 내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량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수지나 관정 등의 시설용량 결정 및 계획 수립을 위해 활용되는 방법으로서, 1965년도 처음 수립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에 적용되어 왔으며, 제주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에서도 적용되었다. 또 다른 접근법으로서 유역에서의 물수지 관점에서 경작지 내 물 사용에 의해 감소되는 하천 수량을 산정함으로써 순물소모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물수지 분석은 장래의 용수수요와 기준년의 자연유량을 비교함으로써 향후의 안정적 용수수급을 계획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낙동강유역 하구조사 기술보고서에서 처음 순물소모량 개념을 도입하여 수요량을 추정하였으며, 이후 제3차 수자원장기종합계획(1991-2011), 21세기를 바라보는 수자원전망(1993) 등에서 이 방법을 통해 미래의 용수수급 전망을 분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의 수자원 부존량 해석 및 장래 용수 이용에 따른 수자원의 과부족 해석, 수자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목적으로 순물소모량 개념을 적용하였다. 제주도는 경지면적 중 밭의 비율이 99%이상이며, 대부분 관정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 또는 점적관개에 의해 용수량을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 지질 특성 및 밭작물 관개특성을 고려하여 제주도 지역에 적합한 순물소모량 산정식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대표작물(감귤, 콩 등)에 대한 순물소모량을 산정하였다.

  • PDF

Runoff simulation from paddy field using three-dimensional CFD and law of similarity (3차원 CFD와 상사법칙을 이용한 논에서의 유출 모의)

  • Shin, Sat-Byeol;Jun, Sang Min;Choi, Wo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2-292
    • /
    • 2016
  • 논의 배수특성 분석은 물꼬 크기 및 개소수, 배수로 구성, 규모, 경사, 재질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 인자들의 영향으로 인해 일반적인 유역의 홍수량 산정을 위해 사용되는 수문학적 홍수추적 방법의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논에서의 유출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수리학적 홍수추적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며,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1차원과 2차원의 수치 해석 기법으로 논의 유출 특성을 분석해왔다. 3차원 수치 해석 기법을 적용할 경우 1차원과 2차원에서 볼 수 없는 유동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유출 모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3차원 해석은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논에 적용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사법칙은 주로 실험의 스케일을 줄이기 위해 적용되어 왔다. 정확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3차원 모델링에 상사법칙을 적용할 경우, 모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 해석 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여 논에서의 유출을 모의하고,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모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의 대상으로 40m x 100m의 논 포장을 구성하였으며, 강우 및 관개에 따른 유출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는 실측치 및 기존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리학적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조건을 변화시켜가며 유출을 모의하였고, 모의 조건 및 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논에서의 유출 모의의 정확성을 향상 시켜, 홍수 발생 시 농경지의 침수 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utoma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Its Development and Prospect (농업기계(農業機械) 자동화(自動化)의 발전(發展)과 전망(展望))

  • Ryu, K.H.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2 no.1
    • /
    • pp.53-62
    • /
    • 1987
  • Automa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is a high technology needed to increase work capacity and accuracy, to save agricultural resources and energy, to solve labor shortage, and to improve operator's comfort and safe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industry, automa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will be progressed fast, and eventually will lead to no-operator machines or agricultural robots. Automation should be promoted step by step without increasing the cost of farming, excluding rural labor forces, decreasing labor volition, and losing human nature. In order to achieve rational automa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ils and crops, to develop sensors, controllers and robo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recommended that the present trends to directly automatize the individual machinery be changed to the development of a harmonious automation system for overall farming.

  • PDF

Development of A Drying Unit of Agricultural Wastes (농업폐기물 건조장치 개발)

  • Song, Dae Bin;Lim, Ki Hyeon;Jung, Dae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5-115
    • /
    • 2017
  • 2013년 국내 시설(비닐, 유리 온실)에서 재배되는 토마토, 풋고추, 파프리카의 생산량은 총 632,315 톤으로 잎, 줄기 등 발생되는 부산물은 수확량의 약 30%에 해당되는 189,695 톤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노지에 방치 유실되거나, 소각 처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단순 폐기되는 농업폐기물을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건조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100 kg/hr인 실험실용 건조기를 제작하였다. 경상남도 진주시 농업기술원 온실에서 재배되는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 가지, 고추 등의 부산물을 실험원료로 사용하였다. 원료성상, 원료이송방식, 송풍량, 건조온도, 건조시간에 따른 부산물 건조특성을 파악하였다. 원료를 비교적 짧게 절단하고 열풍이 배출되는 다공판위를 견인형 컨베어로 이송시키는 형태의 경우 건조실험 결과 세절된 원료에서 추출된 내부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어 원료들 사이의 공극을 채워 건조공기가 원료층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특히 $100^{\circ}C$ 이상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 원료표면에 잔류하는 유출 수분이 건조되면서 막을 형성하여 내부 원료들은 전혀 건조가 되지 못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원료내부의 공극형성 불량으로 국부적으로 공기가 통과되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급격한 건조가 진행되고 공급된 건조공기 대부분이 이 부분으로 유출되어 효과적인 건조가 전혀 진행되지 못하였다. 피건조물 사이의 공극형성을 위해 원료를 절단하지 않고 수행한 건조실험 결과 건조 풍량 및 온도에 따라 건조속도 및 처리용량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송풍량과 압력을 증가 시킨 건조 결과로 건조 상하층 간 불균일 건조 해소 및 건조속도, 건조능력에서 연구목표 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건조공기온도 $150^{\circ}C$ 이하에서 풍량을 증가시켜서 원하는 건조작업 수행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New Short Stem, Lodging Resistance and High Yielding Peanut "Charmpyeong" (단경 내도복 다수성 땅콩 품종 "참평")

  • Pae, Suk Bok;Cheong, Young-Keun;Shim, Kang-Bo;Hwang, Chung-Dong;Lee, Myung-Hee;Jung, Chan-Sik;Kang, Churl-Whan;Park, Keum-Yong;Park, Chung-Bean;Choi, Gyu-Hwan;Lee, Jae-Chul;Kim, In-Jae;Kim, Je-Kyu
    •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 /
    • v.40 no.2
    • /
    • pp.168-172
    • /
    • 2008
  • A new peanut variety "Charmpyeong" (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in Milyang in 2007. It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the high-yielding cultivar "Shindaekwang" and the very short stem cultivar "ICGV94216". This Virginia plant typed "Charmpyeong" has 33 cm stem height and 18 branch number Each pod with ellipse-shaped large kernel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100 seed weight was 88 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This variety also showed more resistant to web blotch compared with check one. Especially it has resistance to lodging until harvesting owing to short stem.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Charmpyeong" was outyielded than check variety by 13% with 4.35 MT/ha for grain.

Drying Characteristics of Winter Barley for Silage and Hay (사일리지 및 건초 생산을 위한 답리작 맥류의 건조 특성)

  • 박경규;나규동;김혁주;하유신;홍동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28-233
    • /
    • 1999
  • 소와 같은 반추위동물은 사료 중 섬유질의 양과 질이 적당하였을 때 건물섭취량과 에너지 섭취량이 최고에 달하고 반추위내의 발효가 정상이 되어 유지방율이 유지 또는 향상되고 분만 후의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양질의 조사료에 의한 충분한 섬유질의 공급은 낙농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조사료 급여비가 40%를 넘지 못하고 국내산 조사료의 생산이 부족하여 다량의 사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양질의 조사료 확보에 대한 축산 농가의 요구는 절대적이라 하겠다. (중략)

  • PDF

Mechanical Properties of Tomato and Oriental melon (토마토 및 참외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M.S;Jung, H.M;Seo, R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74-281
    • /
    • 1999
  • 청과물은 품종, 재배기술, 환경의 요인 등에 영향을 받아 품질, 형상, 색택, 병충해의 상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농산물의 다양한 상품성이 결정된다. 또한 수확, 저장, 포장. 수송, 상하차 등 유통과정에서의 취급여하에 따라 기계적으로 손상을 받음은 물론 유통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호흡 및 증산작용 등 생리적 작용으로 부패 및 변질이 진행되어 유통과정 중 농산물의 품질저하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나, 이에 대한 관심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중략)

  • PDF

An Experiment Study on Spraying Characteristics of Swirl Disc Type Nozzles (디스크형 노즐의 분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곽현환;이중용;김영주;장금송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90-96
    • /
    • 2003
  • 약액의 분무입경, 분무각, 분무량은 방제의 효율성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로서, 노즐의 형상 설계는 이러한 요소를 결정하는 것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분무가 되어야 하는 배부식 방제기에서 노즐의 역할은 더욱 커지는데, 노즐의 성능 향상은 분무를 원활하게 하여 농약 사용량을 줄이고, 또한 무화 압력을 낮추어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며, 에너지 절감 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 (중략)

  • PDF

Spray and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Electrostatics Nozzle for Spraying Agricultural Chemicals (정전대전 농약살포용 노즐의 분무 및 부착특성)

  • 강태경;이동현;이채식;김충길;노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156-161
    • /
    • 2003
  • 농약과 방제기가 개발되면서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넓은 면적의 작물을 병과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수확량이 대폭 늘어나고 농사도 안정적으로 지을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방제작업이 손쉽게 되었으나 농약을 필요량보다 적게 뿌릴 경우 병해충을 충분히 방제할 수 없고, 많이 뿌릴 경우 비용과 환경오염을 증가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에 부닥치게 되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제기로 농약을 살포할 경우 노출된 작물의 잎에서는 농약이 흘러내리는 반면 수관내부에 감추어진 잎이나 병해충이 주로 발생되는 잎 뒷면은 농약 부착이 미흡하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