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의 산업화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 and Efficiency Analysis of 6th Industrialization (6차 산업화 영향요인 및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Son, Sang-Chul;Lee, Seung-Hee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5 no.2
    • /
    • pp.7-16
    • /
    • 2017
  •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which promotes the virtuous cycle of creating new value with through the convergence integration of agriculture and contributing to the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etc.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mplication for the efficiency, vitalization of domestic 6th industrialization per regions Analysis is use of the "2015~2016 Food Agriculture 6th Industrialization Basic Reality Survey Research" report data. As an analytical method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Tobit model were used for results.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hypothesis test. First,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identify improve income growth and increase efficiency, Second, Efficiency influence factor analysis shows have a minus (-) relation that yearly rural population increase rate, and secondary industry participation rate. Third, 6th industrialization recognition of the business is plus(+) relation influenced. Through this research, There may be a limit of research data and qualitative factor etc, explanatory power, but it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objective implication was drawn for the enhancement of the 6th industrialization per regions.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Utilizing the Technology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농업의 6차 산업화)

  • Jung, Jin-Sup;Khoe, Kyung-Il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5
    • /
    • pp.211-21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strategic directions of Korean agriculture in the future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successful cases leading to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by utiliz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To do this, we surveyed the key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amined successful cases of the US, Korea and China. As results of these case studies, we recognized that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could play important roles in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suggested meaningful strategic implications using ABCD model.

Intensification and Spatial Concentration of Protected Horticulture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Focused on Cultivation under Structure of Oriental Melons (농업의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설원예농업의 집약화와 공간적 집중화: 참외농업 시설재배를 중심으로)

  • Jang, Youngj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273-288
    • /
    • 2018
  • The protected horticulture sector was evaluated as achieving the highest level of agricultural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field of Korea oriental melon farming, where cultivation under structure has advanced through its long history, with the focus on intensification and concentration of agriculture. From the 1970's, the oriental melon farming labor were replaced by capital due to the increase of dependence on input industries and the decrease in labor input, thus intensification improved the productivity. Through the development, Seongju-gun of Gyeongsangbuk-do, experienced faster growth of cultiva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gained a competitive edge in productivity which led to the spatial concentration as well as the concentration of farms. In this restructuring process of oriental melon farming, spatial inequality intensified throughout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as the existing farming spaces underwent a dynamic shift.

Contract Farming of Potatoes for Confectionery Raw Materials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Potato Farming in Contract Area: Focusing on Haean-myeon, Yanggu-gun, Gangwon-do (제과용 원료 감자의 계약생산과 계약지역 감자 농업의 산업화: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을 중심으로 )

  • Hyeonjeong Lee;Youngjin Ja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4
    • /
    • pp.451-468
    • /
    • 2022
  • Leading enterprises in contract farming are in control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influence the structure of the agricultural system in contract area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ract farming of potatoes for manufacturing chips, which uses a high proportion of domestic raw materials,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ract farming between confectionery company 𐩒 and potato farms in Haean-myeon, Yanggu-gun, Gangwon-do.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impact of contract farming on local agri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ntracting companies ensured the quality of potatoes and smooth agricultural operations by first preferentially selecting farmhouses with land that is easy to work with and then supplying the necessary agricultural machinery to promote the intensification of their work. In addition, contracting companies influenced the centralization of the agriculture sector by selecting farmhouses capable of contracting over a certain scale and guaranteeing them sales channels and the specialization of potato farming in contract areas, mainly through the supply of processing varieties and the spread of cultivation technology.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se three dimensions of contract farming promoted the industrialization of local agriculture.

지속가능한 낙농산업의 길 - 낙농체험목장 10년, 명(明)과 암(暗)

  • An, Hui-Gyeong
    • 월간낙농육우
    • /
    • v.35 no.8
    • /
    • pp.144-149
    • /
    • 2015
  • 정부가 농업농촌정책의 기조로 삼고 이번 정부가 국정과제로 채택하며 농업의 미래로 간주되고 있는 6차 산업화. 6차 산업화를 강조하며 미래 농업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성공적인 6차 산업 모델로 낙농체험목장이 각광받고 있다. 정부 주도적인 사업이 아닌 민간 주도적인 사업으로 낙농진흥회라는 준정부기관이 사업주체로 있기는 하지만 농가들이 주도적으로 사업을 진행,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낙농체험목장이 낙농진흥회 인증으로 첫 사업을 시작한 이후 10년이 흘렀다. 2004년 1개로 시작된 낙농체험목장은 전국 30여개 인증목장으로 양적 성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5,000호가 넘는 목장에서 오직 30여개만 낙농체험목장으로 인증을 받았다는 점, 미래를 고민하며 낙농체험목장을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목장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낙농체험목장은 새로운 전기를 맞아야 한다. 낙농체험목장 10년, 미래를 준비하는 '한국형 체험목장'을 고민해 보고 명과 암을 살펴본다.

  • PDF

6차산업에서의 고객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환경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Byeon, Ji-Yu;Lee, Sang-Gon;Gang, Sun-B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35-40
    • /
    • 2018
  • 인간의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위협하고 있는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오염 문제는 글로벌 경쟁시대의 기업 경영에 있어 강력한 제재요인 중 하나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환경문제가 중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데, 특히 인류생존에 필수적인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농업분야는 더욱 깊은 연관성을 갖는다. 정부는 이러한 농업분야에 대하여 도시와 농촌 간 소득 불균형이나 농촌인구 노령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성장산업으로 발전시키고자 6차산업화 인증 제도를 시행 중에 있으며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된다. 또한 최근 기업의 환경을 포함하는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려는 소비자의 특성 변화에 따라 6차산업화 인증을 받은 기업들도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업 활동의 근간이 되는 소비자 니즈에 더욱 집중할 필요성이 제기되므로 기업의 새로운 성장 방안으로써 고객과 환경에 집중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 나가야 할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차산업화 인증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 간 관계에서 환경지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 고객지향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환경지향성은 정(+)의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즉, 6차산업화 인증기업이 경영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변화와 기업이 수행해야 할 사회적 책임을 명확히 인식하여, 소비자 니즈기반의 환경보존과 같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공유하려는 친환경 지향적인 새로운 혁신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 나가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건강과 자연농업-제210호

  • Korea Organic Farming Association
    • THE HEALTH and ORGANIC FARMING
    • /
    • no.210
    • /
    • pp.1-12
    • /
    • 2005
  • 을유년유기농설계를 실천적으로 수립하자/친환경유기농산물의 나노산업화에 앞장서자!!/맛 좋은 쌀 생산방법/쌀겨를 이용한 제초효과/유기농업의 기초/현직 병원장도 깜짝 놀랐던 유기농산물의 치료 호전효과! !/제주도 친환경유기농산물한마당장터 성료/친환경유기농산물 소비.유통의 활성화 방안/금수강산 비료는 어떠한 비료인가?/순환농업의 지역별 유형/국제기준에 의한 유기농산물 생산기술/에너지순환과 토양 관리/딸기 흰가루병의 방제대책/가축분뇨 퇴비 품질기준 및 퇴비화 악취 저감기법/유기재배 쌀과 일반재배 쌀의 품질 특성 연구/은으로 짓는 농사

  • PDF

인물포커스 : 민승규 농촌진흥청청장 - 농업과 농촌의 아름다운 내일을 실현 하겠다

  • Kim, Su-Yeong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2 no.10
    • /
    • pp.90-91
    • /
    • 2010
  • 8.8 개각에 따른 차관급 인사가 지난 8월 13일 있었다. 이에 따라 민승규 전 농식품부 제1차관이 농촌진흥청 청장으로 임명되어 농진청의 새로운 기수 역할을 맡게 됐다. 그는 농식품부 제1차관 재임시에 품목단체 중심의 경영화사업, 농업의 수출산업화, 산지유통활성화 등에 힘썼다. 농업의 아이디어 뱅크라고 불릴 정도로 뛰어난 기획력을 인정받고 있는 민승규 신임 농진청장으로 부터 농촌진흥청의 미래와 운영방안에 대해 들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