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생태환경프로그램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디지털농업화에 따른 농업경영체의 기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정부지원정책 프로그램 활용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Choe, Seon-Ju;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97-203
    • /
    • 2021
  •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변화와 식량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농업화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농촌에서의 노령화에 따른 노동력부족은 스마트팜을 비롯한 디지털농업화를 더욱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고 농업이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많은 변화와 정책적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진털농업화에 따른 농업경영체의 기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를 정부지원정책 프로그램 활용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경영체의 디지털기술혁신지향성, 운용혁신지향성, 생태계건강지향성, 기업가정신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불확실한 환경 하에서 정부의 프로그램 중에서 재정적지원과 기술개발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기업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Agricultural Ecological Environment Programs (농업생태환경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 Lee, Kwan-Ryul;NamGung, Yeo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8 no.1
    • /
    • pp.1-1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gricultural Ecological Environment Program, the first agri-environmental policy in Korea. To this end, as Janghyeon in Boryeong City and Hwaam in Cheongyang County were set up as experimental group. And similar to these villages nearby, Hwangryong in Boryeong and Gideok in Cheongyang have been set up as the control group.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farms' level and structure of awarenes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gricultural Ecological Environment Program improved the awareness of safe agricultural product cultivation and agricultural ecological environment stabilize. However, the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rural community has not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arms clearly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safe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ion, the agricultural ecological environment stabilize, and the formation of rural communit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agricultural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gram was confused on the recognition of three things or did not recognize them. To summarized, the future agri-environmental policy can be grafted onto regional development policy. So, the areas of agri-environmental policy should include both agriculture and rural. In addition, the scientific discipline and movement approach should be all used also in the method of approach.

Development of QAPEX Module using Open Source GIS (오픈 소스 기반의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QAPEX 모듈 개발)

  • Koo, Ja Young;Lee, Seo Ro;Choi, Soon Kun;Lim, Kyou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5-175
    • /
    • 2017
  • Agricultural Policy/Environmental eXtender Model(APEX)는 전 농장 또는 소규모 유역 관리에 활용하고자 개발된 모형이다. APEX는 사용자들을 고려하고 다양한 형태로 개발하였다.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쉽도록 윈도우 인터페이스 형태의 WinAPEX 모듈을 개발하기도 하였으며, ArcGIS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다양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ArcAPEX 모듈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WinAPEX 모듈은 유역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ArcGIS 프로그램은 유료의 라이센스라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APEX 모형을 GNU General Public License 기반의 Open Sourc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인 Quantum GIS(QGIS)와 연계하여 QAPEX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QAPEX 모듈은 오픈소스 기반의 QGIS 프로그램과 APEX 모형을 이용하여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유역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QGIS는 사용자간의 정보 및 자료 공유에 용이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QAPEX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정보 공유로 인해 원활하고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election of Indicator Plant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gri-environmental Conservation Program: On the Rice Paddy Fields in South Korea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지표식물 선정: 논 생태계를 대상으로)

  • Kim, Myung-Hyun;Kim, Min-Kyeong;Choi, Soon-Kun;Eo, Jinu;Yeob, So-Jin;Bang, Jeong H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40 no.3
    • /
    • pp.169-178
    • /
    • 2021
  • BACKGROU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s promoting agri-e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 to induce farmers to participate in agricultural environment improvement and conservation activities. However, assessment tool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plant indicators in order to efficiently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gri-e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 promo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ETHODS AND RES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five regions (Hampyeong, Boryeong, Mungyeong, Hongseong, and Sangju) participating in the agri-eo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 In each region, twenty paddy fields were investigated (ten paddy fields included in the program and ten paddy fields not included in the program). A total of 231 taxa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in the paddy fields that were included in the agri-e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 and a total of 177 taxa were identified in the paddy fields that were not included. The average species number occurred on each field was 55.8 taxa in the fields included in the program, and 35.0 taxa in the fields not included in the program. The difference in occurring plants between two groups was found to be more higher in perennial plants than in annual plants. We selected the six groups as indicator plants through five criteria such as perennial plants and broadly occurring species, etc.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gri-e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 Taraxacum spp., Ixeris spp., Viola spp., Platago spp., Calystegia spp., and rare and endagered species.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calculated using these indicator plants and the total number of plants speci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agro-ecological environment by using indicator plants. The selected indicator plants can be effectively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jects such as agri-environmental conservation programs in the futur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acroinvertebrates in an agricultural paddy field and irrigation pond ecosystems in a farmer's practice manual on the village of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 (농업 환경보전 프로그램 대상마을의 논과 둠벙 생태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포 특성)

  • I-Chan Shin;Seung-Hyun Lee;Young-Mi Lee;Ji-Young Yoon;Sung-Jun Hong;Hyun-Jo Yoon;Sang-Goo Park;Eun-Jung H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0 no.2
    • /
    • pp.148-156
    • /
    • 2022
  • Ecological occupation in irrigation ponds is a well-acknowledged fact that is essential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agricultural ecosystem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ecological functions and relationship between a paddy field and irrigation using macroinvertebrates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addy fiel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munit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acroinvertebrates in an agricultural paddy field and irrigation pond ecosystem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cological function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addy field. Macroinvertebrate sampling was conducted from May to September in an agricultural paddy field and irrigation pond in an environment-friendly paddy field in Boryeong city. We conducted a study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using macroinvertebrate species analysis, such as Functional Feeding Groups (FFGs), Habitat Oriented Groups (HOGs), rarefaction curve, and a two-way dendrogram. A total of 37 species of macroinvertebrates in 28 families, 13 orders were collected study during the period of the investigation. Dominant taxa of macroinvertebrates included Coleoptera, Hemiptera, and Odonata. In terms of FFGs, predators and gathering collector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70%, in relation to HOGs, and climbers and swimmers occupied more than 50% from both the paddy field and irrigation pond. With respect to the rarefaction curve, the irrigation pond (July) was high as E (S, 141)=18 species, while the paddy field (May) was comparatively low as E (S, 141)=9 species. In conclusion, our results revealed that macroinvertebrates, such as Notonecta triguttata, Peltodytes intermedius, Appasus major, Laccotrephes japonensis, Appasus japonicus, Sigara substriata, Enochrus simulans, and Sternolophus rufipes, were used as a habitat and spawning ground in both paddy field and irrigation pond. The irrigation pond appears to be a very important spawning ground for macroinvertebrates.

Analyzing Soundness of Paldang Watershed Considering to Water Quantity and Water Quality (수량과 수질 지표를 연계한 팔당유역 건전성 평가)

  • Park, Su Hee;Kim, Da Ye;Maeng, Se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43-143
    • /
    • 2020
  • 수도권에 용수를 공급하는 팔당유역은 경제, 사회, 환경적으로 매우 중요한 공공의 자산이며, 이러한 자산을 누리는 데에 이어 국민 모두가 공평한 혜택을 받을 필요가 있다. 수량과 수질의 만족도는 곧 지역민들의 복지이며, 복지는 삶의 질을 높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팔당유역에서는 인간의 개발행위로 인해 하천과 생태계의 지속적인 훼손과 방치가 발생하며, 팔당유역에 대한 수도권과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문화적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수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유역 건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팔당유역 수량과 수질의 평가지표에 대한 과거 10년 동안의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SPSS를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이용해 가중치를 산정한 후 각 하천에 대한 유역 건전성 지수산정과 등급평가를 하여 표준유역 규모의 하천 변화 정도에 대한 상세평가를 통해 지역별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량에 대한 기초자료는 TANK모형을 통해 자연유출량을 산정 후 관측유량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수질에 대한 기초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수집하였다. 기초자료를 기반으로 왜곡된 자료의 정규성 확보 및 표준화를 수행하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적합성 검토를 통해 최종지표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표를 주성분 분석에 의한 가중치, 엔트로피에 의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비교 후 최종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유역 건전성의 최종평가를 위해 가중치와 지표를 이용하여 지수산정 및 등급화를 실시하였다. 유역 건전성의 등급화를 통해 연도별 하천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하천의 가치 보전과 개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기초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정부지원 R&D 프로그램의 성과평가 체계에 대한 사례 비교연구

  • Lee, Jeong-Dong;Hwang, Jeong-Ha;Park, Chan-Su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158-175
    • /
    • 2005
  • 정부지원 R&D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는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정부투자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동시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부 R&B 프로그램의 성과평가에 대한 체계를 비교분석함으로서 올바른 성과평가의 틀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각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기에 앞서 성과평가와 관련한 일반적인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R&D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가 갖추어야 할 이론적인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R&D 프로그램의 성과평가를 위해서는 R&D 활동 자체가 혁신시스템 안에서 수행되고, 집행과정에서 그 효과가 증폭되어 혁신시스템을 변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정책평가 이론 외에도 혁신시스템 이론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혁신시스템적 사고방식하에서 올바른 성과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평가기준으로 서 제시되는 적합성, 효율성, 효과성의 각각에 대해 혁신시스템적 기여도에 대한 고려가 충실히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혁신시스템의 모든 요소들을 포함하는지, 환경적인요인을 고려했는지, 혁신 요소들 간에 형성된 네트워크에 대해 충분한 고찰을 하고 있는지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실증연구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모두 반영되었는가에 초점을 맞춰 각 국가 별 R&D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해외와 국내의 주요 R&D 프로그램으로 비교적 성과평가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사례들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평가에 대한 평가, 즉 메타평가를 통해 각 프로그램의 성과평가가 가지는 특성을 밝히고 이들을 비교하여 적절한시사점 이 도출하였다. 이들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면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혁신시스템을 고려한 성과평가의 일반적인 모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추후에 진행될 R&D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평가에서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일반 모형을 응용함으로써 조금 더 체계화된 성과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결과 관점간 가중치의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현행 평가제도는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검증결과 관점간 가중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에서 연구회별 관점의 가중치와 소속 연구기관별 관점의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일부 연구기관에서는 연구회의 가중치와달리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기관평가제도는 일부 연구기관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서 유효한 평가제도로 볼 수 없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출연연구기관의 기관평가지표에 대한 각 지표별 가중치와 지표 문항 개선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본다.로 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환경현안에 대한 정치경제적 접근을 외면하지 말고 교과서 저작의 소재로 삼을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환경관리주의'와 '녹색소비'에 머물러 있는 '환경 지식교육'과 실천을 한단계 진전시키는 작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후 10년의 환경교육은 바로 '생태적 합리성'과 '환경정의'라는 두 '화두'에 터하여 세워져야 한다.배액에서 약해를 보였으나,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50 ${\sim}$ 100배액 어디에서도 액해를 보이지 않았다. 별도로 적용한 시험에서, 토마토의 경우에도 25% 야자지방산 비누 50 ${\sim}$ 100배액 모두 약해를 발생하지 않았으나, 오이에서는 25% 야자지방산 비누 100배액에도 약해를 나타내었다. 12. 이상의 결과, 천연지방산을 이용하여 유기농업에 허용되는 각종의 살충비누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방제가 조사결과 진딧물, 응애 등 껍질이 연약한 곤충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된 살충비누를 활용하면 환경친화적인 해충방제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능을 충진시켜서 암세포를 파괴시킨다. 또한 콜로니 자극인자인 사이토카인을 생산시켜서 면역담당세포의 신생을 촉진시키기도 하며, 암의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으로 저하된 백혈구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최근의

  • PDF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 for runoff prediction in watershed with limited data (자료 과소 유역 유출 모의을 위한 머신러닝 기법 적용)

  • Jeung, Minhyuk;Beom, Jina;Park, Minkyeong;Jeong, Jiyeon;Yoon, Kwa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54-254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해마다 크게 증가하고있으며, 홍수 및 가뭄의 강도와 빈도 증가, 지구온난화로 인한 하천 건천화 등 많은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물 순환과정의 핵심요소로 설명되는 유출량의 변동은 용수 공급과 홍수 대응 및 관리, 하천생태계 유지를 위한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갈수량, 풍수량 등을 산정하여 하천별 유황특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지표는 계측자료가 과소한 경우 하천의 유황특성을 세부적으로 이해하고 정량적으로 제시하는데에 한계가있다. 따라서, 미계측 유역에서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과 같은 수리해석모델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있으며, SWAT 모델은 유역의 수치표고모형, 토양 특성, 토지이용 현황, 기상 현황, 유역의 매개변수 등을 반영하여 모델이 구동되고 있다. 하지만,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적용성이 입증된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입력자료의 불확실성 및 조사되지 않은 영농활동 등으로 인해 결과에 불확실성이 내포되어있으며,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실측된 하천의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검정 및 보정작업을 거치고 있다. 모델의 보정 방법으로는 SWAT-CUP과 같은 프로그램 이용되고 있지만, 모델에서 이용되는 매개변수로는 보정할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모델의 정확성을 높이는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암천 유역을 대상으로 모델의 매개변수를 보정하지 않고도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모델의 결과를 향상시켰다. 보정 결과, 유량의 경우 R2가 0.42에서 0.91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고유량 구간에서의 정확성이 매우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 평가된 SWAT+머신러닝 결합 모형은 향후 모델 구동에 필요한 입력자료가 부족한 경우와 빠른 검정 및 보정 작업이 필요할 경우 활용될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between Italian Ryegrass and Synthetics Derived from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Hybrids and Ecotypes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종.속간 잡종 및 생태형 유래 합성종간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 비교)

  • Choi, G.J.;Lim, Y.W.;Lim, Y.C.;Sung, B.R.;Kim, M.J.;Kim, K.Y.;Park, G.J.;Kim, S.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22 no.4
    • /
    • pp.265-272
    • /
    • 2002
  • Forage breeding laboratory of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has made interspecific hybrids of Lolium multiflorum $\times$ L. pratensis and intergeneric hybrids of Lolium $\times$ Festuca since 1984, and has collected ecotypes of Italian ryegrass since 1991.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se hybrids and ecotypes were researched, and then these clone lines were named. Among these clone lines, the several clones that have polen fertility, high cold-tolerance, and similar heading time were used for making synthetics, Naehan 6, 7, 8, 9, with polycrossing method in 1997.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mophological and agronomical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he synthetics with those of Italian ryegrass varieties, Barmultra and Hwasan 101. in Suwon and Yonchun from 1999 to 2000. Heading time of the synthetics were 22th to 24th May that belong to late-mature types to be similar to that of Barmultra and Hwasan 101 in Suwon. The synthetics were 101 to 106 c3n in plant length, medium or thick in thickness of stem, dark peen in leaf color, broad and long in flag leaf, strong in lodging resistance, and excellent in regrowth. Winter survivals of the synthetics were no different from that of Barmultra or Hwasan 101 in Suwon, but better than that of Barmultra or Hwasan 101 in Yonchun where was -10 to -12$^{\circ}C$ of minimum average air temperature in January or February. Dry matter(DM) yields of the synthetics were similar to DM 8,238kg per ha of Barmultra in Suwon, but in Yonchun, were more 7 to 13% than DM 7,291kg per ha of Barmultra. Forage qualities, IVDMD, ADF, NDF and TDN of the synthetics were lower than those of Hwasan 101, but higher than those of Barmultra.

Strategy and Basic Planning for Creat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Focusing on Gosangol Village in Daegu City-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위한 전략 및 기본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 고산골마을을 대상으로 -)

  • Lee, Jong-Il;Kwon, Jin-W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4
    • /
    • pp.23-34
    • /
    • 2017
  • This study focused on a planned site located in Gosangol Villag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at aims to build an urban agricultural park combining urban agriculture and urban park for the sustainable realization of urban agriculture. Accordingl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wo perspectives: firstly, suggesting development strategies to be considered when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as a theme park, and secondly, presenting guidelines for spatial programs and facilities to be introduced for actual appli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fills a role as a local community space prompted by the demand-oriented evolution of urban parks, and agricultural behaviors to be incorporated in the theme. In this context,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space focusing on sustainability', 'constructing green space systems focusing on agricultural landscape', and 'structuring leisure spaces for communications in the community' are presented as development strategies. Secondly, key functions that an urban agricultural park should have include production and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production side, soil preservation, resource cycling and green space provision on the environmental side, leisure and experience, community vitalization, education, and social security on the social and cultural side, and entertainment functions, ecological functions, and protective functions as urban park functionality. Thirdly, key facilities needed when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include urban agricultural facilities other than park management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family gardens as the key facility of the urban agricultural park should be scal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urposes and behaviors of their us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the subject site was limited to a specific area bu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a planning model for the spatial structuring of park-type urban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