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비점오염

Search Result 16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Nitrogen, Phosphorus, and Organic Carbon Discharges in the Imgo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Catchment (임고천상류 소규모 농업유역에서 하천으로의 질소, 인 및 유기물의 부하)

  • Chung, Jong-Bae;Kim, Min-Kyeong;Kim, Bok-Jin;Park, Woo-Chur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8 no.1
    • /
    • pp.70-76
    • /
    • 1999
  • Since high concentrations of N, P, and organic C cause the excessive eutrophication in water systems, the control of nutrient export from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has become import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discharges of N, P, and organic C from a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of the upper Imgo stream in Youngchun, Kyongbuk. Of the total area(1.420ha), 25% was agricultural land including paddy, upland and orchards and most of the remainder was forest. The resident population in the watershed was 194 in 80 households and relatively small numbers of livestocks including cow were raised. Mean concentrations of nutrients in the stream water were 4.95, 0.80, 6.72, 0.07 and 2.52mg/L for $NO_3-N$, $NH_4-N$, Total N, Total P and COD respectively. Annual discharges in 1997 were 28,991kg of $NO_3-N$. 3,010kg of $NH_4-N$, 37,006kg of Total N. 590kg of Total P, and 29,138kg of COD. There was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tream flow and precipitation, and also most of the nutrient discharges occurred in the rainy season (May to August). Since there was no any other industries in the watershed, agricultural practices and sewage from the resident households, forest runoff and livestock wastes were the major sources of NPS discharges. A combination of management options, including management of soil erosion and fertilizer application, could lead to reductions in nutrient exports.

  • PDF

Analysis NPS Run-off Characteristics During Rainfall Event in upper Han-river Nae-Rin Cheon watershed (한강 상류 내린천 유역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분석)

  • KI Cheol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71-471
    • /
    • 2023
  • 소양댐 상류 유역에 위치한 고랭지 밭에서 강우시 많은 양의 탁수가 유입되고 있어 상·하류지역사회에 갈등을 유발하고 하천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었다. 이에 환경부는 2007년부터 꾸준히 소양호 유역을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여전히 소양강 상류 수계의 강우시 흙탕물 발생이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고랭지 농업이 활발한 자운지구의 경우 고랭지 밭 경작 이외에도 나대지 상태로 방치되거나, 절삭지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여러 가지 문제로 토사유출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어 흙탕물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운지구를 포함한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은 2022년 3월부터 10월 중 총 5회를 수행하였으며, 내린천 유역 내 유량 측정망이 설치되어 있는 4개지점(양지교, 현리교, 하죽천교, 원대교)과 내린천 상류 2개지점(에코빌리지, 새터교) 총 6개 지점에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소유역별 EMC, 오염부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산정한 결과 하죽천교와 원대교의 단위면적 당 오염부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해당 소유역(내린천 하류)에서 발생한 강우강도가 상류에 비해 높았으며, 하죽천교는 유역내 농경지의 비율이 높고, 원대교는 가파른 경사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죽천교와 원대교 소유역에서 배출된느 흙탕물이 내린천 유역의 하천수질 오염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 우심 소유역에서 발생하는 흙탕물 저감을 위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와 같이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내린천 유역의 흙탕물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water-cycle ratio by sub-watershed of Gyeongancheon mid-watershed (경안천 중권역의 소권역별 물순환율 산정)

  • Kim, Kyeung;Lee, Hyeon-Ji;Kim, Ji-Hy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0-360
    • /
    • 2019
  •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불투수면 증가로 인해 유역의 물순환 구조가 왜곡되고, 비점오염 배출량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왜곡된 물순환 체계 회복 및 비점오염 배출 저감 등을 위해 중장기 물순환 개선 목표 수립과 관련된 조항이 물환경보전법 상에 추가되어 2020년 시행예정이며, 광주, 대전, 울산, 안동, 김해시 등은 물순환 선도도시로 선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등 물순환 개선을 위한 노력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중권역을 대상으로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모의하여, 소권역별로 물순환요소를 도출하고, 물순환율을 산정 하고자 한다. 모형의 구동을 위한 기상자료는 기상청으로부터 취득하였으며, 지형자료는 환경부의 소권역도,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였고, 토지피복도는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취득한 연속지적도를 토지피복 분류에 따라 재분류하여 구축하였다. 모형의 보정을 위한 유량자료는 환경부 유량측정망과 수위관측소의 유량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13~2017년은 보정, 2008~2012년은 검정기간으로 활용하였다. 도출된 수문모의 결과를 활용하여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소권역별로 매년 물순환율을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물순환 현황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Numerical Models to Predict Movement of Agricultural Chemicals -with emphasis on the GLEAMS model- (농업용 화학물질 이동 추정 모형의 발달 -GLEAMS 모형을 중심으로 -)

  • Chung Sang-ok
    • KCID journal
    • /
    • v.2 no.1
    • /
    • pp.10-19
    • /
    • 1995
  • Non-point source pollution due to agricultural chemicals is one of the great concerns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Scientists have been trying to develop best management practices in agriculture in order to decrease the oater pollution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GIS Interface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AGNPS) Model(I) -Model Development- (농업비점원오염모형을 위한 GIS 호환모형의 개발 및 적용(I) -모형의 구성-)

  • 김진택;박승우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9 no.1
    • /
    • pp.41-47
    • /
    • 1997
  • A geographical resource analysis support system (GRASS) was incorporated to an input and output processor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AGNPS) model. The resulting interface system, GIS-AGNPS was a user-friendly, menu-driven system. GIS-AGNPS was developed to automatically process the input and output data from GIS-based data using GRASS and Motif routines. GIS-AGNPS was consisted of GISAGIN which was an input processor for the AGNPS model, GISAGOUT a output processor for the AGNPS and management submodel. The system defines an input data set for AGNPS from attributes of basic and thematic maps. It also provides with editing modes so that users can adjust and detail the values for selected input parameters, if needed. The post-processor at the system displays graphically the outputs from AGNPS, which may he used to identify areas significantly contribu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 PDF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ion and Calculation of Pollutant Loads in a Song-cheon watershed during the Snow Melting Season (고랭지 밭 유역의 융설에 의한 비점오염원 특성과 오염부하산정)

  • Park, Byung-Jun;Choi, Yong-Hun;Shin, Min-Hwan;Seo, Ji-Yeon;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69-273
    • /
    • 2011
  • 본 연구는 도암댐 상류 고랭지 농업지역의 이른 봄철 융설에 의해 발생되는 비점오염 물질의 배출 특성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는 2010년 2월 중순부터 4월 말까지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에서는 2009년 11월 2일부터 2010년 4월 29일까지 눈이 내렸으며, 일 최대 적설량은 2월 11일에 기록된 59.3 cm이고, 총 적설량은 372.1 cm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융설에 의해 발생되는 단위 면적당 유량은 $77.05\;m^3$/ha/day로서 겨울철 평시 유량 $26.99\;m^3$/ha/day에 비해 두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유량의 변화는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량의 변화는 탁도와 SS 그리고 $COD_{Mn}$의 농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염물질 항목 중 SS와 COD의 유량가중평균농도는 각각 986.0 mg/L와 16.3 mg/L로서 겨울철 평시 농도보다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융설시 발생한 유출수에 의해 미세한 토양입자의 유실과 함께 오염물질도 배출된 결과로 판단된다. 그러나 T-N과 T-P의 농도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담수호 상류에 위치한 고랭지 지역에서는 겨울철 적설량이 많고 융설에 의한 수질오염 문제가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해빙기 융설로 인해 발생되는 비점오염 물질의 정량화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겨울철 적설량과 기온은 연도별로 많은 편차가 있고, 연구결과 다량의 오염물질이 배출되기 때문에 융설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ollutant Loads Simulation on Watershed Scale using LOADEST and SWAT (LOADEST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유역단위 오염부하량 모의)

  • Kim, Kyeung;Kang, Moon Seong;Song, Jung Hu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8-288
    • /
    • 2016
  • 유역단위 오염부하량 산정에는 SWAT, HSPF 등의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 분포형 모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공간분포형 입력자료로 인한 많은 매개변수는 모의 과정을 복잡하게 하며, 보정 과정에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실무에서는 원단위법이나 유량-부하량 관계식과 같은 통계적 분석에 의한 회귀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OADEST는 회귀식 기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으나, 수질 모형과의 모의능력을 비교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유역특성에 따른 LOADEST 기반 회귀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오염부하량을 모의하고, SWAT 모형에 의한 오염부하량 모의결과와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모형의 구동 및 회귀식 매개변수 추정에 필요한 입력 자료는 용인시 백암면 일대에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모니터링한 수질, 유량 및 기상자료와 지형자료 (토지이용도, 토양도, 수치표고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LOADEST 기반 회귀식의 매개 변수 추정은 김계웅 (2015)이 개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유역면적, 토지이용비율 등은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SWAT 모형의 보정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점오염원 모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오염부하량 모의를 위한 모형 선정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GIS Interface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AGNPS) Model(II) -Modification of AGNPS Model- (농업비점원오염모형을 위한 GIS 호환모형의 개발 빛 적용(II) -AGNPS모형의 수정-)

  • 김진택;박승우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9 no.2
    • /
    • pp.53-61
    • /
    • 1997
  • The interface system, GIS-AGNPS was to be validated with field data from six tested small watersheds ranging from 0.7 to 4.7$km^2$ in size which have steep topography and complex landuses. The model validation involved the calibration of input parameters and component modifications, in efforts to develop a model applicable to general uses for identifying and controll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from agricultural watersheds. The simulated direct runoff from AGNPS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 data for the averaged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s or AMC- II. The results differed, however, from the observed for AMC- I or III. A simple empirical relationship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curve number for AMC- I or m from AMC- II, which was found to result in simulated runoff close to the observed. The peak runoff relationship at AGNPS was also modified to reflect the watershed conditions and tested satisfactorily with the field data. The simulated sediment yields from the watersheds were fair as compared to the observed. Nutrient loads simulated from the model were different from the observed data. It appeared that the model was incapable of adequate depicting nutrient transport processes at paddy field and other landuses of the tested watersheds. Some modifications may be needed for the accurate representing the processes at paddy field.

  • PDF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in Cheongmi basin under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청미천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추정)

  • Son, Minwoo;Kim, Sang Ug;Chung, Eun-Sung;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2-572
    • /
    • 2016
  • 청미천 유역은 다양한 수계로 구성된 대유역에 해당되며 농업 및 공업활동에 따른 오염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이 가지는 특성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 및 분석한다. 비점오염원의 모의를 위해서는 SWAT 모형이 이용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로는 RCP4.5 및 RCP8.5 시나리오가 적용된다. SWAT 모형은 유역 모의를 위한 모형으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의 장기간 모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조건의 토양 및 토지이용 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강유-유출모형과 수질모형 등을 GIS와 연계한 호환모형을 이용하며 유출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거동을 해석하고자 한다. SWAT 모형을 이용한 모의를 위해 필요한 매개변수는 관측소 현황, 강우, 기온, 습도, 일사량, 풍속 등이다. 이중 일사량에 대한 정보를 가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고 나머지 매개변수는 청미천 유역의 특성치를 조사하여 입력하였다. 청미천 유역의 수질 오염원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시설용량이 일정 크기 이상인 하수처리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정보가 모의시 검토되었다. 청미천 유역 전체 오염원에 대한 점오원의 비율을 검토한 결과 홍수기에 점오염원의 영향이 낮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홍수기에 불특정 지점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의 기여도가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소규모 산업단지의 배출량 등에 대한 자료가 보완될 때 보다 신뢰성 있는 모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총질소와 총인의 경우에도 하계 홍수기에 크게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유물질의 경우는 그 변동 폭이 다른 항목에 비해 크게 나타나며 9월에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보다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점오염원을 포함하여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구축되는 과정 역시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