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기계화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Power-tiller korea style TMR mixer & Manure spreader (동력경운기 부착용 한국형 사료배합기 및 퇴비살포장치 개발)

  • 조기현;이정택;정형길;김종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341-347
    • /
    • 2003
  • 최근 우리나라의 우유 및 유제품의 소비증가와 유럽 등지의 가축 광우병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젖소의 사육두수가 서서히 증가되어지고 있으며, 전업농의 경우 가구당 사육두수가 약 20-30두 정도이다. 물론 이 수치는 외국의 가구당 80두 정도에 비하면, 아직은 영세한 실정이다. 이러한 소규모의 사육이기 때문에 기계화가 되어지지 않아 대부분의 소규모 사육농가에서는 순수인력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료의 준비 및 급여부분을 자동화 또는 기계화의 작업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중략)

  • PDF

Study on Mechanization of Chinese Leek Production (부추재배 기계화에 관한 연구)

  • Jun, H.J;Hong, J.T;Choi, Y;Kim, S.H;Han, K.S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02-107
    • /
    • 2002
  • 최근 국민의 식생활이 향상되면서 신선채소류의 수요가 날로 증대되어 국내 부추의 재배 면적도 '92년 199㏊, '94년 729㏊ '99년 1,073㏊로 꾸준히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으며, 부추의 재배면적 확대와 집중출하 등으로 인한 가격의 등락이 심한 편이어서 부추생산의 안정적 기반을 위해서는 기계화를 통한 생산비 절감, 출하시기 및 출하량 조절을 통해 가격의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중략)

  • PDF

학회순례-한국농업기계학회

  • Song, Hyeon-Gap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10 s.317
    • /
    • pp.35-37
    • /
    • 1995
  • 우리나라 농업의 기계화와 농업기계학의 발전을 위해 1976년 4월26일 창립된 한국농업기계학회는 정회원 6백80여명과 38개의 단체 특별회원 교모로 왕성한 학술활동을 펴오고 있다. 내년에 창립 20주년을 맞는 한국농업기계학회는 96년10월에 국제농업기계박람회를 열고 제2회 국제학술대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 PDF

Effect of Land Consolidation on Agricultural Mechanization (경지정리 사업이 농업기계화에 미치는 영향)

  • 고학균;조성인;이중용;이정엽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4 no.6
    • /
    • pp.493-500
    • /
    • 1999
  • In 1990's, two types of land consolidation has been widely carried out to enforce competativeness of rice production in Korea. One is so called large-scale land consolidation for resizing paddy field and farm road, the other is general land consolidation for changing both size and shape of field, water channel and farm roa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ow much effect on fm mechanization the land consolidation ha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land consolidation, theoretical analysis and surveys were accomplished. Land consolidation was analyzed to increase field efficiency by 180 to 670% depending on the type of land consolidation and machine selection. Also, land consolidation brought increment of real working time ratio by reducing traveling time on farm road. Trends of large scale mechanization and increment of custom work were observed to be accelerated by land consolidation. It also gave effect on the pattern of machine troubles. Farmers were conscious of the influence of land consolidation on machine utilization, however, in plains level of satisfaction was shown to be low.

  • PDF

농업기술 - 모종이식 이제는 로봇으로!

  • Gang, Dong-Hyeon
    • 농업기술회보
    • /
    • v.49 no.5
    • /
    • pp.30-31
    • /
    • 2012
  • 최근 농촌노동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인하여 농업생산 작업에서 기계화 및 자동화를 통한 노동절약형 재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항상 신선한 채소를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연중 건실한 묘를 공급할 수 있는 공정육묘와 농작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재배환경을 조성해 줌으로써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농업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 PDF

21세기 농업정책 및 농업기계화 방향

  • 이영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1 no.2
    • /
    • pp.252-262
    • /
    • 1996
  • 1) 세제경제 통합의 급속한 진전으로 무한경쟁의 지구촌 경제 시대 도래 o 이데올로기시대의 종언으로 체제간 경쟁이 자국이익 우선의 체제 내 경쟁으로 변화 -선진국의 견제 심화 및 후발개도국의 추격 가속화 전망 o WTO체제 출범으로 농수산물, 서비스, 지적재산권 분야의 자유화가 정착되고 교역과 관련된 각국의 경제제도와 정책 등에 관한 통상마찰이 증대 ⇒무한경쟁에 대응, 경쟁력제고와 더불어 효과적 농업통상능력 배양.(중략)

  • PDF

Development of Carrot Harvester(II) - Design Factor Test - (당근수확기 개발(II) - 설계요인시험 -)

  • Choi, Y.;Hong, J.T.;Juni, H.J.;Kim, Y.K.;Yoo, S.N.;Kim, J.D.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28-134
    • /
    • 2002
  • 당근 수확작업에 대한 기계화 요구도가 높은 반면에 아직까지 수확작업의 기계화는 그다지 진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의 당근 등 근채류의 수확작업은 경운기용 또는 트랙터용 굴취기를 이용하여 작물을 지상위로 노출시키고 인력으로 수집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며 흙이나 돌 등 협잡물의 선별은 곤란하다. 또한 줄기절단 등 수확 후처리 작업이 기계화되지 못해 노동부담이 크다. (중략)

  • PDF

Establishment of Integrated Mechanization for the Systematic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배추재배 일관기계화 작업체계 확립)

  • 신승엽;이용복;이동현;박원규;김병갑;김학주;신영안;이정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08-113
    • /
    • 2002
  • 우리 식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배추는 최근 식생활패턴 변화에 따라 외식 소비와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가공원료용 수요 및 김치수출 증가 등으로 신선배추수요가 연중 평준화되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배추재배 기계화는 경운정지, 비닐피복 및 방제작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작업을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노동생산성 저하 및 생산비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배추의 생산비 절감 및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전체 노동투하시간의 43%를 차지하고 있는 정식, 수확 및 제초작업 등 인력의존도가 높은 작업에 대한 기계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