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업기계화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3초

농업기계화 분야의 연구동향과 발전전망

  • 조영길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105
    • /
    • 2003
  • 농업기계학이 대학에서 독자적인 학과로 정착된 지 33년이 지났고, 농업기계학회가 창립된지도 올해로 27년을 맞았다. 그동안 우리나라가 이룩한 농업기계화는 비록 벼농사에 국한되기는 하지만, 국내외로부터 짧은 기간동안에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 같은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1978년도에 제정된 농업기계화촉진법의 역할이 컸다고 볼 수 있다. 즉 이를 계기로 대학에 학과가 증설되고 농촌진흥청 농업기계화연구소가 발족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난 25년 동안 시대상황에 알맞은 정부의 농업기계화 정책의 수립과 산학연의 농업기계 연구개발ㆍ생산ㆍ보급ㆍ유통ㆍ사후봉사 등 노력의 결과로 현재와 같은 농업기계화 기반이 마련되었다. (중략)

  • PDF

농업기술 - 콩 콤바인 수확작업을 위한 핵심재배기술!

  • 박금룡
    • 농업기술회보
    • /
    • 제49권4호
    • /
    • pp.32-33
    • /
    • 2012
  • 우리나라 콩 재배면적은 약 8만ha로 벼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작물이지만, 아직 기계화 작법 시스템이 정착되어 있지 않다. 기계화가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으로는 영세한 경영규모와 다른 작물에 비하여 낮은 수익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작업 단계 중에서 콩 수확작업의 기계화는 21%로 매우 낮은데 이에 대한 원인분석과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 PDF

대규모 벼농사 기계화 작업체계 및 기술 -미국, 러시아, 한국의 예를 중심으로-

  • 박우풍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2권1호
    • /
    • pp.81-88
    • /
    • 1997
  • 우리나라 벼농사 농작업의 대형기계화 추세에 따라 논 배미의 크기가 소규모에서 1 ㏊이상 대구획으로 재경지정리가 시작되고 있으며 3 ㏊이상의 벼농사 경영규모를 가진 농업인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대규모 벼농사 기계화 작업체계와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중략)

  • PDF

플러그묘용 자동 묘 분리 및 이식 기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Pickup and Transplanting Mechanism for Plug Seedling)

  • 김대철;김경욱;최원철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9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5
    • /
    • 1999
  • '97년도 국내의 일부작업을 제외한 주요 벼농사의 기계화율은 98%로서 거의 기계화가 완료된 수준이지만 밭농사의 경우 평균 42%의 수준으로 아직도 노동투하량이 많은 이식 수확분야의 기계화가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작과 관련한 농작업 가운데 상대적으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이식 작업의 기계화 및 자동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중략)

  • PDF

UR 농업협상과 농업기계화

  • 강정일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1년도 토론회 농업구조 조정과 농업기계화 추진 방향
    • /
    • pp.3-16
    • /
    • 199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