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도공간분포 매핑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Mixing distance through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in river (하천에서의 공간분포 분석을 통한 혼합거리 연구)

  • Chang Hyun Lee;Kyung Dong Kim;Si Wan Ryu;Dong Su Kim;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4-144
    • /
    • 2023
  • 하천 합류부에 있어 수체의 혼합양상 분석은 고해상도의 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공간적 분포를 해석함에 있어 3D 기법들을 많이 활용되고 있다. IDW, Natural Neighbor, Kriging기법등 다양한 기법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고 그에 따라 각 보간법을 비교 분석하여 공간해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련 논문을 검토한 결과, 측정 결과에 따른 2차원 횡단면 분포의 내용이 지배적이었고, 3차원 매핑 및 3차원 분석을 통한 수리학적 정보 획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였다. 특히 3차원 하천 수질 농도의 연구가 불충분했다. 그에 따라 저해상도 측정결과에서의 예측과 보간법에 대한 시각화를 통해 하천의 전체적인 수리·수질정보를 표기하였다. 각각의 보간법을 비교함으로써 하천매핑에 있어 Kriging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자료와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하천매핑의 정밀성을 향상시켰다. 하천합류부를 공간 분석할 시에 하천의 측정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바탕으로 계측경로에 따라 보간한 결과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3차원자료를 이용하여 하천의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수표면과 연직방향까지 고려된 혼합거리분석을 비교하였다.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 기술의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유해물질 저감 기술 및 평가 예측 기술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추정, 호수의 고위험 조류군 계층분석 등 다양한 수생건강 진단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 PDF

Predicting Concentrations of Soil Pollutants and Mapping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기계학습을 통한 토양오염물질 농도 예측 및 분포 매핑)

  • Kang, Hyewon;Park, Sang Jin;Lee, Dong K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4
    • /
    • pp.214-225
    • /
    • 2022
  • This study emphasized the soi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o devise measures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project implementation on the environment. As a series of efforts for impact assessment procedures, a national inventory-based database was established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and three machine learning model performance evaluation as well as soil polluta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mapping were conducted. Here, nine soil pollutants were mapped to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using the Random Forest model, which showed the best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concentrations of Zn, F, and Cd were relatively concerned in Seoul, where urbanization is the most active. In addition, in the case of Hg and Cr6+, concentrations were detected below the standard, which was derived from a lack of pollutants such as industrial and industrial complexes that affect contents of heavy metal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and cover and pollutants was inferred through the spatial distribution mapping of soil pollutant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soil management measures for minimizing soil pollution and planning decisions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project site can be established.

Development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Measurement Technique Based on Hyperspectral Imagery with Optical Variability (분광 다양성을 고려한 초분광 영상 기반 부유사 농도 계측 기법 개발)

  • Kwon, Siyoon;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6-116
    • /
    • 2021
  • 자연 하천에서의 부유사 농도 계측은 주로 재래식 채집방식을 활용한 직접계측 방식에 의존하여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점 계측 방식으로 고해상도의 시공간 자료를 측정하기엔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위성영상과 드론을 활용하여 촬영된 다분광 혹은 초분광 영상을 통해 고해상도의 부유사 농도 시공간분포를 측정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하천 물리량 계측에 비해 부유사 계측 연구는 하천에 따라 부유사가 비균질적으로 분포하여 원격탐사를 통해 정확하고 전역적인 농도 분포를 재현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부유사의 비균질성은 부유사의 입도분포, 광물특성, 침강성 등이 하천에서 다양하게 분포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부유사는 지역별로 다양한 분광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고려한 전역적인 부유사 농도 예측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실내 실험을 통해 부유사 특성별 고유 분광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실규모 수로에서 다양한 부유사 조건에 대한 초분광 스펙트럼과 부유사 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제 부유사 농도는 광학 기반 센서인 LISST-200X와 샘플링을 통한 실험실 분석을 통해 계측되었으며, 초분광 스펙트럼 자료는 초분광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서 부유사 계측 지점에 대한 픽셀의 스펙트럼을 추출하여 구축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자료들의 분광 다양성을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부유사의 입도 분포, 부유사 종류, 수온 등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분광 특성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물리적 인자를 규명하였다. 더불어 구축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계학습 기반 주요 특징 선택 알고리즘인 재귀적 특징 제거법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과 기계학습기반 회귀 모형인 Support Vector Regression을 결합하여 초분광 영상 기반 부유사 농도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 결과를 원격탐사 계측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최적 밴드비 분석 (Optimal Band Ratio Analysis; OBRA) 방법으로 도출된 회귀식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OBRA 기반 방법은 비선형성을 증가시켜도 좁은 영역의 파장대만을 고려하는 한계점으로 인해 부유사의 다양한 분광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계학습 기반 예측 모형은 420 nm~1000 nm에 걸쳐 폭 넓은 파장대를 고려함과 동시에 높은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모형을 적용해 다양한 유사 조건에 대한 부유사 시공간 분포를 매핑한 결과,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의 부유사 농도 분포를 산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n Analysis of the 3D Spatial Distribution of Flow rate and Water Quality Convergence Monitoring Results in Rivers (하천에서의 수리·수질 복합 모니터링 결과의 3차원 공간분포 해석연구)

  • Lee, Chang Hyun;Kim, Kyung Dong;Ryu, Si Wan;Kim, Dong Su;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8-18
    • /
    • 2022
  • 하천 합류부에 있어 수체의 혼합양상을 분석은 고해상도의 자료가 필요하다. 반면에 수질환경 문제와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이 고정된 측정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천 전체의 정보는 저해상도의 결과값은 나타낸다. 또한, 많은 수중 환경 문제가 1차원에서 3차원에 걸쳐 있지만, 대부분의 관측 시스템은 1차원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발전된 관찰 및 계측이 필요하다. 그에 따른 고해상도의 측정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측정자가부담을 많이 가지며, 측정할 수 있는 영역이나 시간적으로 제한적이다. 해상도는 낮추되 광범위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간법이 선정되어야 한다. 관련 논문을 검토한 결과, 측정 결과에 따른 2차원 횡단면 분포의 내용이 지배적이었고, 3차원 매핑 및 3차원 분석을 통한 수리학적 정보 획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였다. 특히 3차원 하천 수질 농도의 연구가 불충분했다. 그에 따라 저해상도 측정결과에서의 예측과 보간법에 대한 시각화를 통해 하천의 전체적인 수리·수질정보를 표기하였다. 각각의 보간법을 비교함으로써 하천 매핑에 있어 IDW, Natual Neighbor, Kriging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자료와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하천매핑의 정밀성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3차원화된 공간보간 자료를 이용한 하천합류부의 혼합양상을 해석하였다.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 기술의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유해물질 저감 기술 및 평가 예측 기술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추정, 호수의 고위험 조류군 계층분석 등 다양한 수생건강 진단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 PDF

Estimating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using GLDAS Hydrometeorological Data (GLDAS 수문기상인자를 이용한 초미세먼지 농도 추정)

  • Lee, Seulchan;Jeong, Jaehwan;Park, Jongmin;Jeon, Hyunho;Choi, Minha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5 no.6_1
    • /
    • pp.919-932
    • /
    • 2019
  •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is not only affected by anthropogenic emissions, but also intensifies, migrates, decreases by hydrometeorological factor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hydrometeorological factors and PM2.5 concentration. In Korea, PM2.5 concentration is measured at the ground observatories and estimated data are given to locations where observatories are not present. In this way, the data is not suitable to represent an area, hence it is impossible to know accurate concentration at such locations. In addition, it is hard to trace migration, intensification, reduction of PM2.5.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hydrometeorological factors, acquired from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and PM2.5 by means of Bayesian Model Averaging (BMA). By BMA, we also selected factors that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variation of PM2.5 concentration. 4 PM2.5 concentration models for different seasons were developed using those selected factors, with Aerosol Optical Depth (AOD) from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Finally, we mapped the result of the model, to show spatial distribution of PM2.5. The model correlated well with the observed PM2.5 concentration (R ~0.7; IOA ~0.78; RMSE ~7.66 ㎍/㎥). When the model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PM2.5 concentrations at different locat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differed (R: 0.32-0.82), although there were similarities in data distribution. The developed concentration map using the models showed its capability in representing temporal, spatial variation of PM2.5 concentr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facilitate researches that aim to analyze sources and movements of PM2.5, if the study area is extended to East Asia.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otal Phosphorus in Wetland Soils Using Geostatistics (지구통계학을 이용한 습지 토양 중 총인의 공간분포 분석)

  • Kim, Jongsung;Lee, Jung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8 no.10
    • /
    • pp.551-557
    • /
    • 2016
  • Fusing satellite images and site-specific observations have potential to improve a predictive quality of environmental properties. However,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satellite images to predict soil properties in a wetland is still poorly understood. For the reason, block kriging and regression kriging were applied to a natural wetland, Water Conservation Area-2A in Florida, to compare the accuracy improvement of continuous models predicting total phosphorus in soils. Field observations were used to develop the soil total phosphorus prediction models. Additionally, the spectral data and derived indices from Landsat ETM+, which has 30 m spatial resolution,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regression kriging model. The block kriging model showed $R^2$ of 0.59 and the regression kriging model showed $R^2$ of 0.49. Although the block kriging performed better than the regession kriging, both models showed similar spatial patterns. Moreover, regression kriging utilizing a Landsat ETM+ image facilitated to capture unique and complex landscape features of the study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