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경

Search Result 26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ollen Analysis form the Holocene Fluvial Deposits of the Jangdaedong Yuseong (대전시 유성구 장대지역 홀로세 하성 퇴적층에서 산출된 화분분석)

  • 윤혜수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2 no.1
    • /
    • pp.99-109
    • /
    • 1998
  • 유성구 장대동 지역의 홀로세 하성퇴적층에서 보존 상태가 양호한 화분, 포자가 풍 부하게 산출되었다. 이들 미화석산출을 근거로하여 두 개의 화부대가 설정되었다. 제 I 화분 대는 낙엽성활엽수의 목본화분이 풍부하게 산출괴며 반면에 초본화분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상태로 산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제 II화분대는 초본화분 중 벼과(재배종)화분이 우점으로 산출되며 소나무속도 비교적 풍부하게 산출되는 반면 낙엽성활엽수의 목본화분은 빈약하게 산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시대설정은 인접한 지역에서 화분분석과 함께 절대연령측정이 수 행된 기존의 연구자료와 비교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제 I화분대는 1,500 year B.P 이전 제 II화분대는 1,500 year B.P∼현재를 나타낸다. 제 I화분대에서는 인간간섭의 영향을 받기 전 인 자연식생관계를 나타내지만 제 II화분대에서는 농경과 벌목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로 나타났다, 기후조건은 제 I화분대 동안은 온난한 온대의 습한 환경이었고, 제 Ii화분대 동안 은 현재와 비슷한 한랭한 온대의 습한 환경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인간의 정착과 농경생 활의 시기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화분분석자료와 고고학자료가 서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나타났다.

Derivation of Relationships for Flow-Total Load at Midium and Small Streams in Agrarian Basin (농경유역 중소하천의 유량-총유사량 관계식 유도)

  • Lee, jong-seok;Kim, chi-gon;You, eui-geun;Lee, hyo-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9-370
    • /
    • 2015
  • 본 연구는 농경유역 중소하천에서 실측된 유량과 총유사량의 분포특성을 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계식을 도출하고자 한다. 유량과 유사량 자료 측정에는 프로펠러 유속계, 전자파 표면유속계와 DH-48, D-74 부유사 채취기 및 BL-84, BLH-84 소류사 채취기를 각각 사용하였다. 4개 하천을 대상으로 국가 지방하천 수로구간의 7개 측점을 선정하고, 2012년 8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유량과 부유사 및 소류사를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수리특성의 분포분석과 유량-총유사량 간의 관계식을 멱함수 형으로 유도하였으며, 이들 관계식은 수공실무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Stone Industries of Korea (한국선사시대 석기문화에 대한 연구: 석기문화와의 진화)

  • 배기동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1 no.1
    • /
    • pp.1-24
    • /
    • 1997
  • 한반도의 석기문화는 전기구석기부터 시작되는데 동아시아지역에 퍼져 살던 고인류 집단의 일파가 한반도로 확산하여 온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의 석기문화는 아슐리안주먹도 끼를 공반한 정형화되지 않은 구석기공작이었다, 중기구석기는 르발르와기법의 유무에 대한 논란이 남아있으며 전기적인특성이 그대로 지속되는 시기이다. 그러나 약 3만년전의 후기구 석기시대가 되면 석인석기공작이 나타나고 석기도 대단히 정교해 지는데 이 석기 공작은 동 아시아로 확산되어 오던 현생인류의 도구이었다. 바이칼호부근에서 기원한 세석인문화는 한 반도의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 석기공작은 중석기를 거쳐 신석기에 이를 때 까지 눌러 떼 기기법과 함께 존속하였다, 신석기시대에는 마제기법이 나타나게 되고 어로용도구들이 새로 이 추가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간단한 가공으로 만든 농경구들이 추가되기 시작하는데 중후 기에 가서는 마제농경수확구가 증가하게 된다, 청동기시대에는 금속기의 영향을 받은 마제 석검등의 대단히 정교한 석기들이 훌현하고 또한 석기의 기능에 의례적인 기능이 추가되면 서 양식이 분화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생산구들도 효율성이 높게 발달해 나가게 된다.

  • PDF

The Impact of Regional Agricultural Extension Policy - Case of Herbal and Horticultural Farm Income - (도 단위 농촌지도정책이 농가 소득에 미치는 영향 - 원예·특작 농가지도사업을 중심으로 -)

  • Jo, Haeun;Kim, Euijune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5 no.4
    • /
    • pp.175-184
    • /
    • 2018
  • There are two main types of agricultural extension projects in Korea, the impacts and routes of each type on farm income are different. This paper empirically studies the impact of agricultural extension to farms' income, using Multi-level production function considering time lag. It is found that direct type of extension has positive effect to farms' income. Also indirect type on income is significant only when the level of education is hig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gricultural structure, the technical level of farm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government's R&D investment and technology guidance. The result implies that indirect type of extension that take into account the educational level of farms should be emphasized for long-term technological advances.

향토 학교도서관 설치를 촉구함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3 no.5
    • /
    • pp.26-28
    • /
    • 1962
  • 이 글은 전남 여천남중학교 교내웅변대회에서 입선한 웅변 원고입니다. 원시적인 우리나라의 농경방법에서 복흥 발전은 무엇보다도 먼저 ‘알아야만 한다’라는 논자의 당연한 주장이, 향토 학교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설치에 자극제가 될줄 믿어 게재하였습니다.

  • PDF

Studies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Soils and Irrigation Waters in Abandoned Mines (폐광산지역 농산물, 토양 및 농경수의 중금속오염에 관한 연구)

  • 김미혜;소유섭;김은정;정소영;홍무기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17 no.4
    • /
    • pp.178-182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statu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n = 280), soils (n = 280), and irrigation waters (n = 48) in abandoned mines & normal farm lands (n = 8). The samples were digested with acids, then analyzed fur the contents of lead (Pb), cadmium (Cd), copper (Cu), mercury (Hg), arsenic (As) and chrome (Cr) by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ICP) and graphit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S). The contents of Hg were determined using a mercury analyzer. Abandoned mines had soils with higher contents of heavy metals except Cr and irrigation waters with higher heavy metals except Hg, compared to those of normal farmlands.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agriculture products varied depending types of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s in abandoned mines generally showed with higher contents of heavy metals except Cu, compared to those of normal farmland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heavy metal contents between agricultural products and soils (p > 0.05). It is suggested that heavy metal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soils in abandoned mines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Phytolith analysis and application in Hwangseong-dong Archaeological Site, Gyeongju (경주 황성동 유적지의 식물규소체 분석과 응용)

  • Kim, Hyo-Seon;Yoon, Soon-Ock;Hwang, Sang-Ill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25 no.1
    • /
    • pp.31-39
    • /
    • 2011
  • Phytolith of soil in earthenware buried in the wooden chamber tombs at the archaeological site in Hwangseong-dong, Gyeongju along Hyeongsan River are analyzed. The study area has adjoined the seat of government during approximately thousand years in Shilla Dynasty and can be regarded as being closely related to the agricultural activities using the floodplains of Hyeongsan River. By the analytical results, Phragmites, Paniceae and Andropogoneae as well as Oryza sativa are found in the lower horizons, indicating the agricultural activities in the nearby areas. It is suggested for understanding the use of earthenware that the comparisons of buried soils in the site and soils in the earthenware and analysis on the macro plant fossils of soil in the earthenware are needed.

  • PDF

Evaluation of Climate Change between Agricultural Area and Urban Area in Jeonbuk Province, ROK (전북의 농경 지역과 도시 지역에서 기후변화 비교 평가)

  • Lee, Deog Bae;Shim, Kyo Moon;Kwon, Soon Ik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2 no.1
    • /
    • pp.33-42
    • /
    • 2011
  • It was analyzed climatic data in Gimje, Buan, Iksan and Jeonju in Jeonbuk Province between 1930s and 1990s. The data source of Gimje and Iksan in 1930s were Namseon Agricultural Experimental Station. Those in 1990s was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data source of Jeonju of 1930s and 1990s was Jeonju Weather Stat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ather Station of Gimje and Buan were located at the agricultural area in rural paddy field. That of Iksan was located at the agricultural area in suburban paddy field. That of Jeonju was located at the downtown area. As compared to mean air temperature between 1930s and 1990s, it was increased by $0.2^{\circ}C$ in agricultural area, $0.6^{\circ}C$ in Iksan city and $1.4^{\circ}C$ in Jeonju city. On the while, increased temperature was the higher in winter than other seasons. Annual precipitation was increased by 128.1 mm in agricultural area and 169.3 mm in Jeonju city. And it was remarkable in summer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