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경지 유역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Nitrogen, Phosphorus, and Organic Carbon Discharges in the Imgo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Catchment (임고천상류 소규모 농업유역에서 하천으로의 질소, 인 및 유기물의 부하)

  • Chung, Jong-Bae;Kim, Min-Kyeong;Kim, Bok-Jin;Park, Woo-Chur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8 no.1
    • /
    • pp.70-76
    • /
    • 1999
  • Since high concentrations of N, P, and organic C cause the excessive eutrophication in water systems, the control of nutrient export from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has become import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discharges of N, P, and organic C from a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of the upper Imgo stream in Youngchun, Kyongbuk. Of the total area(1.420ha), 25% was agricultural land including paddy, upland and orchards and most of the remainder was forest. The resident population in the watershed was 194 in 80 households and relatively small numbers of livestocks including cow were raised. Mean concentrations of nutrients in the stream water were 4.95, 0.80, 6.72, 0.07 and 2.52mg/L for $NO_3-N$, $NH_4-N$, Total N, Total P and COD respectively. Annual discharges in 1997 were 28,991kg of $NO_3-N$. 3,010kg of $NH_4-N$, 37,006kg of Total N. 590kg of Total P, and 29,138kg of COD. There was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tream flow and precipitation, and also most of the nutrient discharges occurred in the rainy season (May to August). Since there was no any other industries in the watershed, agricultural practices and sewage from the resident households, forest runoff and livestock wastes were the major sources of NPS discharges. A combination of management options, including management of soil erosion and fertilizer application, could lead to reductions in nutrient exports.

  • PDF

Establishment of Flood Analysis Method for the Inland and River Inundation Analysis (내.외수 침수해석을 위한 홍수해석 기법 확립)

  • Han, Kun-Yeun;Cho, Wan-Hee;Kim, Young-Joo;Ryu,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45-249
    • /
    • 2009
  • 전 세계적인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최근 10년간의 홍수 피해는 그 강도와 규모면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1998년과 1999년 그리고 2002년의 전국적인 홍수로 많은 제방과 저수지가 붕괴되어 수많은 가옥과 농경지가 침수되었으며, 2002년 태풍 루사의 영향으로 낙동강 인근 지역과 강릉 지역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 루사로 인해 특히 피해가 심했던 지역 중 경북 김천지역에 위치한 감천유역에 대해서 강우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 내 홍수량을 산정하였고, 산정된 홍수량을 바탕으로 직지사천 내 하도 모의를 실시함으로써 하천내의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또한 모의결과는 하천 내 실측홍수위 자료와 비교함으로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홍수해석 기법의 적용성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100년 및 2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빈도별 확률유출량 및 하도내에서의 유량 및 수위를 산정하여 기성제방고와 비교를 실시함으로써 홍수에 취약한 지역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또한 국내의 홍수예경보체계와 연계하여 선행시간을 확보한 정확도 높은 홍수정보시스템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a Best Management Practice on Sediment Yields Using a Spatially Distributed Model (공간분포형 모델을 이용한 최적관리방안의 토사 유출 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 Lee, Tae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2 no.1
    • /
    • pp.15-24
    • /
    • 2017
  •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s for water quality control practice is complicating but very important. Sediments mainly from croplands are prioritized in non-point source management due to the sediment attached phosphorous. In this study, flow and sediment yields are modeled in Oenam watershed located in Hwasun, Jeollanam-do, a upstream of Juam Lake. A spatially distributed model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was used to find out hot spots of sediment yield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filter strips, and to visualize the effectiveness. The impacts of filter strips was estimated on the reduction of flow and sediments at 17.2% and 46.4% respectively when the filter strips were installed in the sub-watersheds with the most serious sediment yields.

  • PDF

Unsteady Flow Simulation in Small-Medium Rivers for Analyzing Future Inund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Non-Stationarity (비정상성 기반 미래 침수특성 분석을 위한 중소하천 부정류 해석)

  • Ryu, Jeong Hoon;Kang, Moon Seong;Park, Jihoo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2-152
    • /
    • 2016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장마, 태풍 등 극한사상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비정상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름철 국지성 호우로 인한 농경지 및 도심 저지대 지역의 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침수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수공구조물 설계 기준을 초과하는 호우에 대한 홍수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자료의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정상성 (Non-Stationary) 가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통해 중소하천을 대상으로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고 미래 침수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상습 침수지역이 위치한 중소하천을 선정하였고, 각 유역에 가장 인접한 기상관측소로부터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강수량 모의 자료는 국립기상과학원에서 제공하는 해상도 12.5 km의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구축한 강수량 자료는 정상성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각각 수행하였으며 비정상성 빈도해석 방법으로는 누적평균 방법 및 이동평균 방법을 적용하였다. 유역 유출량은 실무에서 설계홍수량 산정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HEC-HMS 모형으로 산정하였다. 유출량과 하천기본계획의 하천단면 측량자료를 1차원 부정류 해석 모형인 HEC-RAS 모형에 입력하고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여 하천 홍수위를 모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습 침수 지역의 침수 피해에 대한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dam sediment inflow using physics-based models (물리기반 모형을 활용한 댐 토사 유입량 산정에 관한 연구)

  • Min Ho Yeon;Hyun Uk An;Seung Jun Lee;Gi H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73-473
    • /
    • 2023
  • 토사재해는 토사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우기(rainy season)에 주로 발생한다. 또한,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침식(soil erosion)과 강우 및 지진에 의해 나타나는 산사태로 인한 토석류(debris flow)가 토사재해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재해로 인하여 하천 및 호소의 수질 저하, 토양유실에 따른 농경지 감소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댐으로 유입되는 토사는 사수역(dead storage)을 증가시키고, 발전용 댐의 경우 토사재해가 발전설비 마모 등을 일으킴에 따라 발전효율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더욱이,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우량 및 강우강도가 증가하고, 최근 한반도에서는 지진의 강도와 빈도 또한 증가함에 따라 토사재해의 잠재적 위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따라서 댐 유역에서의 토사 유입에 관한 정량적 예측을 포함한 종합적인 댐 토사 관리기술 및 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질 악화로 인해 발전이 중단된 도암댐을 대상으로 댐으로의 토사 유입량을 분석하고자 토양침식과 토석류의 정량적 예측이 가능하고, 각각의 물리적 과정을 고려하는 물리기반 모형을 활용하였다. 토사재해의 주요 원인인 강우와 지진에 대해 미래에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시나리오별 토사 유입량과 유입 비율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역 내 토사재해로 인한 피해 예방기술 및 댐 유지관리와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Flood Immersion in the Geum River Basin Using 2D Hydraulic Model (2차원 수리모형을 활용한 금강 유역 침수 모의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Seung Ju;Jang, Suk Hwan;Jo, Jun Won;Shin, Jea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9-389
    • /
    • 2020
  • 최근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게릴라성 호우 및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의 발생 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는 농경지의 범람, 도심지역 저지대의 침수피해 유발, 하천 주변 저지대 및 수공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HEC-RAS 5.0.3을 활용하여 금강 유역의 2차원 침수 모의를 수행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은 금강 수계 하천기본계획 보고서의 하천 횡단면도와 평면도를 활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강우자료는 인근 기상관측소의 관측자료를 수집하였다. HEC-HMS를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유출량을 HEC-RAS에 입력하여 수위를 계산하고 2차원 모의기능을 이용하여 침수해석을 수행하였다. HEC-RAS의 2차원 침수 모의 기능은 기존 1차원 하천 수위 모의와의 연계하여 하천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침수 해석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고, 본 연구의 결과는 침수 모의 적용성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Quality of Water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According to Land Use Pattern (토지이용패턴에 따른 하천수질과 식생분포)

  • Oh, Young-Ju;Kang, Byoung-Wha;Kim, Byoung-Woo;Kim, Sung-Pil;Han, Min-Su;Kim, Jin-Ho;Na, Young-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5 no.1
    • /
    • pp.34-39
    • /
    • 2006
  • The land use pattern, water quality and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six tributaries, including Hanggeumcheon and Satancheon of the Namhan hydrosphere, Iksancheon, Jeonjucheon and Gosancheon of the Mankyung hydrosphere as well as Jongeupcheon of the Dongjin hydrosphere. Forest and farmland area were extensive in Hanggeumcheon, Satancheon and Gosancheon. Farmland and livestock area were wide in Iksancheon. Jeonjucheon were occupied with broad urban. Industrial and urban area were extensive in Jongeupcheon. The loading amounts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of Iksancheon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of Jeonjucheon were determined to be very high, respectively. The quality of water in Hanggeumcheon, Satancheon and Gosancheon were determined to be good quality. The species diversity was lower in the down stream than in the upper stream except for the Gosancheon. Life form of plane were mostly perennial plane in the upper stream and annual plants in the down stream of rivers. It was estimated that there is high level of disturbance in the down stream of rivers. The quality of wate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rmland and forest area. In conclusion, human impact, such as farmland and housing lot exerted an influence on the disturbance of down stream and the water quality of rivers.

Assessment of Soil and Water Quality in some Catchments of Different Agricultural Practices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 농업지대에서 영농형태별 토양과 수질 평가)

  • Kim, Min-Kyeong;Seo, Myung-Chul;Lee, Nam-Jong;Chung, Jong-Bae;Kim, Bok-Ji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6 no.1
    • /
    • pp.16-23
    • /
    • 2003
  • Soil and water quality was monitor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to assess the impact of different agricultural practices. From five catchments,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times during 1996 to 1998, an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welve times on July during 1995 to 1999. The major agricultural practices were paddy and upland farming in three areas surveyed: Youngju, Goryung, and Milyang. Apple orchards were located along in the Imgo-Cheon catchment. Intensive vegetable farming in plastic fIlm house was practiced in the Habin-Cheon catchment. Total N contents, 0.04-0.32%, of paddy soils were low in comparison with those of upland, orchard, and plastic film house soils. Available phosphate($P_2O_5$) contents, $2-421mg\;kg^{-1}$, in plastic film house soils were higher than those in paddy soils. In plastic film house and upland soils, CEC of soils were high. The N concentrations in most of the streams were higher than $1.0mg^{-1}$, the standard of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The P concentrations were above $1.0mg^{-1}$, the standard of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and were higher than the minimum level for eutrophication, $0.01-0.05mg\;L^{-1}$ in most of the streams. In conclusion, nutrients by agricultural activity could affect water quality of streams near the agricultural fields. Good water quality in streams can be maintained by proper management of agricultural fields and by decreasing application amount of fertilizers in agricultural fields.

Reduction of Agricultural Non-point Pollution Source by Scenarios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on Cropping System Alternatives of Main Upland Crop in Saemangeum Watershed (새만금 유역 주요 밭작물 작부체계 최적관리기법 시나리오별 농업비점오염원 저감)

  • Son, Jae Gwon;Lee, Gyeong Ae;Yoo, Dong Su;Cho, JaeY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7 no.1
    • /
    • pp.95-101
    • /
    • 2014
  • Nonpoint pollution sources from agricultural activities are a major cause of water quality impairment. A nutrient management program utilizes farm practices that maintain efficient crop production systems and control agricultural nonpoint pollution sources. The objectives of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appropriate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according to changes of cropping system of main upland crop for reducing AGNPs loadings and to simul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several BMPs scenarios in Saemangeum watershed. The selected BMP scenarios were: 1) to convert naked barley and hulled barley to hairy vetch or chinese milk vetch, 2) to convert red pepper to soybean crop, and 3) to combine two scenarios, converting naked barley and hulled barley to hairy vetch or chinese milk vetch + converting red pepper to soybean crop. As a result of BMPs application, the crop requirement of nitrogen and phosphorus for upland crop reduced nitrogen by 41% and phosphorus by 47% in scenario 1, whereas scenario 2 reduced nitrogen by 30% and phosphorus by 23%. Overall, scenario 3 reduced nitrogen by 72% and phosphorus by 70% in agricultural non-point pollution sources associated with chemical fertilizer and livestock manure in Saemangeum watershe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reservoir in korea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물리적 특성)

  • Choi, Sunhwa;Lee, Jinkyung;Ye, H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44-544
    • /
    • 2015
  • 국내에는 17,500여개의 농업용 저수지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저수지는 인공호소이다. 농업용 저수지의 총 유효저수량은 2,838백만$m^3$에 달하고 있으며, 전체 수리답의 약 76%에 해당하는 593천ha의 농경지에 물을 관개하고 있다(2013농업생산기반통계연보). 최근 농어촌지역의 도농복합형태 개발 및 관광지, 유원지화로 농업용 저수지 유역의 오염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농업용수 수질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특히, 늦봄에서 초가을까지 외기온도 상승 및 저수율 저하와 함께 부영양화 증가, 녹조 대발생 등으로 수질오염도가 급상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호 내 물고기 폐사, 악취발생 등으로 민원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농업용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농업용 저수지 17,489개소를 수혜면적별로 분류해 보면 5ha이하가 7,808개소(44.7%), 5~10ha이하 4,277개소(24.5%), 10~20ha 2,772개소(15.9%), 20~30ha 797개소(4.6%), 30~40ha 385개소(2.2%), 40~50ha 238개소(1.4%), 50ha이상 1,201개소(6.9%)로 구성되어 있어 50ha이하가 전체의 93.1%에 이르고 있다. 유효저수량별 분포현황은 10천$m^3$이하가 7,996개소(45.7%), 10~50천$m^3$ 6,420개소(36.7%), 50~100천$m^3$ 1,003개소(5.7%), 100~300천$m^3$ 868개소(5.0%)로 전체 시설 중 50천$m^3$이하가 전체 저수지의 82.4%로 대부분이 소규모 저수지임을 알 수 있다. 농업용 저수지를 유효수심별로 구분해보면 1m이하가 전체의 26.6%, 3m이하가 전체의 77.1%, 5m이하가 전체의 91.1%로 국내 대부분의 저수지들은 수심이 5m 이하의 저류지 형태의 저수지임을 알 수 있다. 저수지를 유역배율(유역면적/만수면적)에 따라 구분해보면 유역배율 3이하가 전체의 1.2%이고, 5이상이 전체의 97.4%를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역배율이 3이상이면 부영양화에 취약한 호소로 분류되고 있다. 국내 농업용 저수지는 대부분이 수심이 낮고, 유효저수량이 소규모이며, 유역배율이 3이상인 호소가 대부분으로 태생적으로 수질오염 및 부영양화에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업용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시에는 유입수 및 호내 대책과 함께 호소의 물리적 조건을 개선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저수지 신규 설치시에는 수량관리 뿐만 아니라 수질도 함께 고려된 물리적 인자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