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조제어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녹조의 발생원인과 저감대책

  • Park, Hye-Gyeong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2
    • /
    • pp.17-21
    • /
    • 2014
  • 전 세계의 녹조관련 전문가들은 녹조를 제어하는데 있어 특효약은 없으며, 모든 수역에서 효과를 보이는 보편적인 대책도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녹조 저감을 위해서는 해당 수역의 유역환경 및 수환경 특성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를 바탕으로 각 수역의 정치, 경제, 사회, 기술적인 면을 고려한 종합적인 대책 수립 및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Portable Green-algae Remover Device based on Arduino and OpenCV using Do Sensor and Raspberry Pi Camera (DO 센서와 라즈베리파이 카메라를 활용한 아두이노와 OpenCV기반의 이동식 녹조제거장치에 관한 연구)

  • Kim, Min-Seop;Kim, Ye-Ji;Im, Ye-Eun;Hwang, You-Seong;Baek, Soo-Wh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4
    • /
    • pp.679-686
    • /
    • 2022
  •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n algae removal device that recognizes and removes algae existing in water using Raspberry Pi camera and DO (Dissolved Oxygen) sensor. The Raspberry Pi board recognizes the color of green algae by converting the RGB values obtained from the camera into HSV. Through this, the location of the algae is identified and whe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s decrease at the location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using the DO sensor, the algae removal device is driven to spray the algae removal solution. Raspberry Pi's camera uses OpenCV, and the motor movemen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utput value of the DO sensor and the result of the camera's green algae recognition. Algae recognition and spraying of algae removal solution were implemented through Arduino and Raspberry Pi, an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portable algae removal device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Modeling the Effects of Curtain Weir on the Control of Algal Bloom in Daecheong Reservoir (대청호 녹조제어를 위한 수류 차단막 설치효과 수치모의)

  • Lee, Heung-Soo;Chung, Se-Woong;Jeong, Hee-Young;Min, By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02-307
    • /
    • 2009
  • 물리적인 조류제어 기술에 해당하는 수류 차단막(이후 차단막)은 유입하천의 수류를 차단 또는 우회시켜 영양염류가 저수지의 유광층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본류 수역으로의 조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어 일본에서는 저수지 녹조제어 대책으로 자주 활용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단막은 국내 저수지와 같이 홍수시 유입 유속이 크고 수위변동이 심한 환경에서는 설치효과가 검증되지 않아 현장적용에 앞서 수치모의를 통한 효과 검증이 선행되어야 하며, 최적 규모와 위치 선정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변동이 심한 국내 저수지 특성을 고려하여 차단막이 수위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존 CE-QUAL-W2(이후W2) 모델의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대청호에서 다양한 수리 수문조건에서 차단막의 기작과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가뭄년(2001년)과 평수년(2004, 2006년)을 대상으로 각각 모델을 적용하였다. 차단막 설치 예정지점은 소옥천 하류(7 m 깊이)와 댐으로부터 각각 14.9 km, 27.4 km 상류에 위치한 회남대교 아래 지점(10 m 깊이)과 대정리(10 m 깊이)로 가정하고, 모의 시나리오는 차단막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S-1), 소옥천 하류에 단독으로 설치한 경우(S-2), 소옥천과 대정리에 설치한 경우(S-3), 모든 지점에 설치한 경우(S-4)를 비교하였다. 차단막 설치에 따른 수문년 및 계절별 수질개선 효과(S-1에 대한 S-4 농도 저감 비)를 비교한 결과, 대청호에서 녹조문제가 가장 심각했던 2001년 6월$^{\sim}$8월 기간 동안 차단막은 봄-여름에 걸쳐 모든 비교 지점(회남, 댐, 추동, 문의수역)에서 Chl-a 농도를 최저(문의수역) 30%에서 최고(회남수역) 70% 정도 저감하는 효과를나타냈다. 평수년인 2004년과 2006년에는 강우사상에 따라 차단막 설치에 따른 Chl-a의 농도 저감 효과가 지점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큰 강우사상이 6월, 7월, 8월에 걸쳐 골고루 발생한 2004년에 비해 7월 한 달 동안 집중된 2006년에 설치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수역별로 차단막의 설치효과를 비교해 보면, 유입수의 영향을 직접 받는 회남수역과 추동수역이 댐 앞과 문의수역에 비해 차단막 설치에 따른 Chl-a 농도의 저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큰 홍수가 유입할 때 차단막 상류부에 집적된 조류의 일부가 수류의 포획(Entrainment) 기작에 의해 저수지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차단막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홍수 전 차단막 상류부에 집적된 조류의 처리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Algal Bloom Remover System using IoT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녹조제거 자동화 시스템 개발)

  • Lee, Hyun-Seung;Yu, Tae-Soo;Joung, Suck-Tae;Lim, Soon-Ja
    • Journal of IKEEE
    • /
    • v.22 no.1
    • /
    • pp.93-97
    • /
    • 2018
  • In this paper, it proposes a method that uses an air pump to inject oxygen to water directly to prevent the growth of algae and cyanobacterium using MCU(Micro Controller Unit). MCU can control itself with modules of GPS, a sonic sensor, camera, conveyer belt and water pump to remove and prevent growths of algae. It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application software to track the system where it is and it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 interfaced with the smart phone application.

Effects of CellCaSi and Bioflocculant on the Control of Algal Bloom (규산질다공체와 미생물응집제의 녹조제어 효과)

  • 박명환;이석준;윤병대;오희목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9 no.2
    • /
    • pp.129-135
    • /
    • 2001
  • The effects of CellCaSi and bioflocculant on the control of algal bloom were investigated in enclosures in a small eutrophic pond. The bioflocculant produced by a bacterial strain S-2 was finally selected to remove Microcystis aeruginosa which was a dominant species of algal bloom in the pond. Enclosure experiment showed that phosphorus concentration decreased dramatically from $131\mu{g}\ell^{-1}$ (Control) to $1-14\mu{g}\ell^{-1}$ in three CellCaSi-enriched enclosures.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 also decreased from $215\mu{g}\ell^{-1}$ (Control) to $59\mu{g}\ell^{-1}$ by the addition of CellCaSi $(1g\ell^{-1}$, bioflocculant $(2ml\ell^{-1}$, calcium chloride $(1g\ell^{-1}$ and ferric chloride $(2mg\;Fe\ell^{-1})$ in Enclosure 4. From the results of the mouse acute toxicity test of the S-2 bioflocculant and the goldfish survival test in enclosures, it seems that both the S-2 bioflocculant and the CellCaSi do not show any severe toxicity in water system. Consequently, it was concluded that the bioflocculant and the CellCaSi could be used to control algal bloom in eutrophic waters by removing phosphorus and chlorophyll$-\alph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