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색광합성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3초

동굴조명에 의한 생태환경 변화의 억제 (Restraint of Ecological Environmental Change by Cave Illuminance)

  • 소대화
    • 동굴
    • /
    • 제77호
    • /
    • pp.9-19
    • /
    • 2007
  • 동굴 내에서 조명으로 인한 생태환경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어두운 동굴이 인간의 필요에 따라 개방되고, 개방된 동굴은 조명시설에 의해 내부가 밝혀진다. 이 과정에서 동굴생태 변화가 발생하고, 특히 녹색광합성에 의한 식물 개체가 생성된다. 따라서 본래의 동굴생태가 변화되는 환경이 만들어지는데, 이들 자연자원의 환경은 보존되어야 함으로 생태환경의 변화는 억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발광다이오드의 냉광원을 사용하여 선택파장광원에 의한 광합성 억제작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식물의 녹색광합성을 위한 흡수광파장이 460nm와 680nm 부근임으로 이들 흡수파장을 제외한 밝은 빛 파장 즉, 550nm 근처의 황색 및 황록색 파장 빛을 써서 동굴조명을 하면, 녹색광합성 및 식물개체의 생성과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수도 농녹색엽과 담녹색엽 Near-isogenic 계통의 생장특성 및 수량형질 비교 (Comparisons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s between Near-isogenic Lines with Dark and Pale Green Leaves in Rice)

  • 박순직;임병기;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6-230
    • /
    • 1986
  • wx 126조합으로부터 분리된 농녹색업과 담녹색엽 near-isogenic계통의 광합성 정도와 생장특성 및 수량관련형질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녹색엽계통이 담녹색영계통보다 엽록소 a, b 및 총엽록소 함량은 현저히 높았으나 엽록소 a, b의 비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2. 출수기 지엽에 있어서 단위엽면적당 광합성율은 농녹색엽계통이며 높았으나 단위엽녹소당 광합성량은 담녹색엽계통이 더 높았다. 3. 이앙부터 출수기까지의 CGR은 농녹색엽계통이 더 높았으며 이는 NAR이 높은 데서 기인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4. 농녹색엽게통의 주당수수, 주당영화수 및 주당수량은 담녹색엽계통에 비해 각각 높았으나 1,000입중과 등숙율은 두 계통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광학적 자가영양 배양세포를 이용한 광합성 전자전달억제자의 간이검정방법 (Screening Method for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Inhibitors Using Photoautotrophic Cultured Cells)

  • 정형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5-252
    • /
    • 1993
  • 광합성 전자전달 억제물질에 대한 빠른 검색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녹색배양 세포인 광학적 자가 영양세포(PA)를 이용하여 실용화된 제초제 및 4종의 잡초 추출액으로 부터 PA세포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녹색배양 세포인 담배 및 우산이끼 PA세포는 타가 영양세포에 비하여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형 제초제들은 700배 이상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호르몬 작용형 제초제인 2, 4-D는 감수성의 차가 8배로 낮게 나타났다. 우산이끼 PA세포는 약제 농도간의 범위(0.01~0.9${\mu}$M)가 좁아 약제선발시 타 배양 세포에 비하여 좋은 재료임을 암시하였으며,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약제에 대해서 힐(hill)반응과 동일하게 광합성 산소발생 억제정도인 PI$_{50}$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잡초 중 여뀌 추출액 10% 처리시 PA배양 세포의 엽록소 함량이 가장 낮았고, 광합성 산소발생 억제율이 가장 높았다. 수용 및 MeOH액으로 추출한 10% 여뀌 추출액을 반응용액 3ml에 300${\mu}$l 반응시 우산이끼 PA배양세포에 대해 각각 60%, 100% 광합성 산소발생 억제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PA세포들은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형 약제에 대하여 빠르고 민감한 검색수단으로서 좋은 재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다.

  • PDF

광합성의 생리생태(1) - 광도와 엽육내 $CO_2$분압 변화에 대한 광합성 반응 -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1: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Intercellular $CO_2$ Pressure on Photosynthesis)

  • 김판기;이은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6-133
    • /
    • 2001
  • 녹색식물과 같이 독립영양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CO_2$와 물로 탄수화물을 만드는 일련의 반응을 광합성이라 한다. 그 일련의 반응 중에서(그림 1) 반응 I과 II는 틸라코이드(thylakoid)에서, 반응 III은 스트로마(stroma)에서, 반응 IV는 엽록체내와 세포질에서 일어나는 반응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나타난다. 과거에는 반응 I과 II를 명반응, 반응 III과 IV를 암반응이라 부르기도 하였다.(중략)

  • PDF

광합성 계측과 계측환경제어 (Environment Control for Photosynthesis Measurement)

  • 이변우;최일선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3-24
    • /
    • 1999
  • 식물이 생장하고 발육하며 자신의 생명을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하는데, 이 에너지의 공급원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광에너지이다. 이러한 광에너지는 엽록소(chlorophyll)를 함유한 녹색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에서 기공(stomata)을 통하여 흡수되는 이산화탄소($CO_2$)와 뿌리에서 주로 흡수되는 물($H_2O$)로부터 당류ㆍ전분과 같은 탄수화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데 이러한 광에너지가 화학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을 광합성(photosynthesis) 또는 탄소동화작용(carbon assimilation)이라고 한다. (중략)

  • PDF

청경종의 제형질 특성에 관하여 (Studies on the Characters of Green-stem Varient Ginseng Plant)

  • 천성룡;김경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53-157
    • /
    • 1989
  • 청경종 특성을 알기위하여 지상부 제형질, 광합성과 호흡 그리고 자식세대의 경색을 조사하였다. 청경종은 엽경종, 황열종의 경, 엽, 광합성과 호흡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5년근시 화경장 형질이 타 변종보다 길었다. 광합성에 있어서는 청경종이 뚜렷한 차이는 없는 경향이며 비교적 황열종이 높았으나 $20^{\circ}C$ 이상에서는 모든 변종에서 현저히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청경종내 자식세대 일부는 경색이 분리되는 경향이나 자식사대가 거듭할수록 녹색경(청경종) 출현이 높았다.

  • PDF

천곡동굴의 생태계 조사보고 (A reports of investigation for ecological community around CHEON GOCK-CAVE)

  • 김병우
    • 동굴
    • /
    • 제44권45호
    • /
    • pp.29-40
    • /
    • 1996
  • 동굴환경의 주요특성은 첫째 광선이 차단되어 암흑상태이며 둘째, 내부 습도가 높고 기온이나 수온이 연중 변화가 심하지 않으며 셋째, 먹이연쇄에 필수적인 영양공급원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광합성 작용으로 생장하는 녹색식물은 태양광선이 유입되는 곳이나 인공조명 시설지역을 제외한 곳에서는 서식이 불가능하고 대형동물이나 초식동물은 생존이 어렵다.(중략)

  • PDF

석회동굴의 환경과 서식생물의 특성

  • 김병우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2002년도 동굴자연학습을 위한 Workshop
    • /
    • pp.31-41
    • /
    • 2002
  • 지상의 생태계는 광합성을 통해 광 Energy를 화학 Energy로 전환하는 생산자인 녹색식물들과 이들을 먹고사는 1차 소비자인 초식동물 또 이들을 먹고사는 육식동물인 2차 소비자와 동식물의 사체나 유기물을 분해하며 살아가는 미생물 같은 분해자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생태계는 태양광선을 Energy원으로 하여 풍부한 물질생산과 먹이사슬을 통하여 안정적인 영양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광합성 녹색 미세조류 Haematococcus pluvialis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및 항산화성 카로티노이드 생산 (Biological Co2 Fixation to Antioxidant Carotenoids by Photosynthesis Using the Green Microalga Haematococcus pluvialis)

  • 강창덕;박태현;심상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46-51
    • /
    • 2006
  • 광합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CO_2$를 항산화성 카로티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바이오매스로 전환하는 새로운 방법의 생물학적 $CO_2$ 저감 기술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담수 녹색 미세 조류인 Haematococcus pluvialis가 광합성 미생물로 사용되었으며, 이 균주는 녹색의 성장 세포에서 적색의 포낭 세포로 전환될 때 2차 카로티노이드인 astaxanthin을 세포 내에 다량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균주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CO_2$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광 반응기에서 자가 영양 배양 방식으로 $CO_2$ 고정화 및 그것을 통한 astaxanthin 생산 연구가 수행되었다. 녹색 성장 세포의 성장은 5% $CO_2$ 공급 환경 및 기본 NIES-C 배지에서 최대로 이루어졌다. 적색 포낭 세포로 효과적인 전환을 위해 5% $CO_2$ 주입과 강한 빛 조사로 이루어진 자가 영양 유도법을 적용하였으며, 이 공정을 통해 $9.6mg/L{\cdot}day$의 astaxanthin 생산성을 획득하였다. 이때 astaxanthin으로 전환되는 $CO_2$의 균주 내 고정화 속도는 $27.8mg/L{\cdot}day$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H. pluvialis를 이용한 자가 영양 배양, 유도 공정은 $CO_2$ 고정화뿐만 아니라 고부가 생리 물질 생산기능을 겸비하여 새로운 $CO_2$ 저감기술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색광이 인삼속 식물의 광합성과 잎표백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onochromatic Light on Photosynthesis and Leaf Bleaching in Panax species)

  • 이성식;;최광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7
    • /
    • 1999
  • 인삼속 식물의 광질별 광합성과 잎표백화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공시재료로 고려인삼 및 미국삼을 사용하여, 각종 단색 광원하에서 개엽의 동화량 및 잎표백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려인삼의 광질별 광합성은 측정한 전온도 및 광도에서 공히 적색광 > 황색광 > 청색광 > 백색광 > 녹색광 순으로 높았으며 미국삼도 같은 경향이었다. 광질별 잎표백화 정도는 미국삼의 잎에서 근적외광 > 적색광 > 백색광 > 청색광 > 황색광 > 녹색광 순으로 근적외광에서 표백화가 가장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보아 인삼포의 해가림 자재는 청색광 및 황색광 자재의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고려인삼의 광합성 최적온도는 $25^{\circ}C$ 부근 이었으며 미국삼도 같은 경향 이었다. 인삼잎의 호흡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으며, 특히 $30^{\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25^{\circ}C$에 비해 잎호흡량이 고려인삼이 $80\%$이상, 미국삼이 $73\%$이상 급격히 증가 되었다. 광합성능은 미국삼이 $3.54\~4.04\;mg\;(CO_2{\cdot}dm^{-2}{\cdot}hr^{-1})$로 고려 인삼 $2.08\~2.59\;mg\;(CO_2{\cdot}dm^{-2}{\cdot}hr^{-1})$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