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출지표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34초

물리적인 하천평가 체계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ship Analysis of Physical Stream Assessment)

  • 김기흥;박현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546-550
    • /
    • 2017
  • 하천의 수리 및 하도의 특성으로 대표되는 물리적 환경(하도 및 수리 특성)은 생태계 기반으로서 수질특성과 더불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크다. 따라서 하천의 물리적 환경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경우에는 상 중 하류의 위치에 따른 하도의 지형학적 특성과 하천의 규모 및 유량의 크기 등에 따라 하천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하천환경의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1980년 후반 이후에는 세계 각국에서 환경보전, 하천복원 및 하천관리 등 종합적인 하천공학적 관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하천분류체계가 제시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선진국들은 정성적 또는 정량적인 하천의 서식환경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정량적 평가시스템을 운영하는 국가는 독일과 미국이고, 정성적 평가시스템을 운영하는 국가는 영국이며, 호주는 영국과 미국의 평가시스템을 통합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하천환경에서 생태계 기반인 하천의 물리적 특성(구조)에 대한 평가 및 진단 절차도 없이 시행되고 있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또한 지금까지는 하천의 자연도 평가 연구 등에서 선진국들의 하천환경평가시스템을 여과 없이 적용함으로써 국내의 하천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에서는 생물 서식의 기반이 되는 하천의 하도지형 특성 및 수리특성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하천평가에 앞서 하천유형 분류에 따른 하도특성은 하상경사에 따라서 급경사 하천(high-gradient stream), 중경사 하천(mid-gradient stream), 완경사 하천(low-gradient stream)으로 구분하였으며 하천의 물리환경 평가시스템의 평가영역 및 평가지표는 정량적 평가시스템을 운영하는 독일(LAWA, 2004)과 미국(EPA, 2004)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공통지표를 추출하고, 우리나라의 하천이용 및 정비현황을 반영하여 하천유형을 3가지로 분류하고 각 하천유형에 대하여 3개 영역 10개 평가지표를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하천에 대한 하천 지형특성과 현황을 조사할 항목은 수리 및 하도영역의 6개 항목, 하안영역의 2개 항목, 하천교란 영역 2개 항목으로 3개 영역으로 구분해서 평가하고 그 점수에 따라 1등급은 매우좋음(1등급)상태의 $20>{\sim}18{\geq}$점, 좋음(2등급)상태의 $18>{\sim}14{\geq}$점, 보통(3등급)상태의 $14>{\sim}8{\geq}$점, 나쁨(4등급)상태의 $8>{\sim}14{\geq}$점, 매우나쁨(5등급)상태의 4>점으로 등급을 산정하였다. 매우 좋음의 1등급은 참조하천이며 좋음~매우나쁨의 2등급~5등급은 비교하천으로 구분하였으며 보통보다 높은 경우는 자연하천, 낮은 경우는 인공하천으로 나누어 서식처 기반에 따라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한국형 하천환경 물리평가 체계가 확실히 구축되기 위해서는 각자의 평가 등급이 적절하게 평가 되는지를 검증해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형별 자연하천과 인공하천을 비교 분석하였고 평가 영역별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상관분석을 통한 상관성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가중치의 적절성 및 각각의 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퇴직한 납 근로자들의 체내 납 부담 노출지표가 신경행동학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dy lead burden on neurobehavioral function in retired lead workers)

  • 김남수;김진호;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6-167
    • /
    • 2010
  • To evaluate the effect of lead biomarkers including bone lead on neurobehavioral test in retired lead workers, 131 retired lead workers without any occupational exposure to organic solvent, mercury and arsenic were agreed to participate this study. For the control subjects 56 non-occupationally lead exposed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same area of retired lead workers with considera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ean levels of blood and bone lead of retired lead wor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other lead biomarkers. Compared with controls without occupational lead exposure, lead exposured subjects had worse performance on 10 tests out of 12 neurobehavioral tests, but only two tests(Purdue pegboard nondominant and both han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neurobehavioral tests with lead biomarkers and demographic and lifestyle variables, age was associated negatively with 11 neurobehavioral tests, whereas log-transformed ZPP was associated with Purdue pegboard(both hand) and Santa Ana manual dexterity(non-dominant hand). On the other hand, tibia lead was associated Pursuit aiming test(correct) and Purdue pegboard(dominant hand) and calcaneal lead was associated with Purdue pegboard(dominant h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among all relevant variables age was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oor performance of neurobehavioral tests. The blood lead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neurobehavioral tests, but tibia and calcaneal bone lead and blood ZPP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 few tests even after more than mean 9 years from their retirements.

대기오염 노출지표에 의한 도시개발 입지의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Method of Urban Development Location by APEI (Air Pollution Exposure Index))

  • 김기범;권우택;김형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4호
    • /
    • pp.267-275
    • /
    • 2007
  •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air pollution of Siheung city an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automobiles to the city's pollution was evaluated for the first time. Then, new air pollution exposure index was developed through simulation. Using the newly developed index, two different urban development scenarios were compared to present a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plan to reduce air pollution from the land utilization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imulation, air quality of the city was found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by human activities. More populated area showed worse level of air quality. Any development in the city resulted in more automobile activity and deterioration of air quality. This simulation result thus explains that a rapid increase of automobiles accompanied by the land development near local roadsides in the city is the major cause of air pollution in Siheung city. In this study, if urban activities are vigorous in an area with high air pollution,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air pollutant under the ba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if urban activities are less vigorous in an area with high pollution or if urban activities are vigorous in an area with less polluti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 was positive. The APEI (Air Pollution Exposure Index) was developed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Scenarios 1 and 2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APEI. In result, scenario 1 is the case in which land is developed and used in an environmentally favorable manner. From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impact of air pollution on human health can be minimized with proper land use. The result form the current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to solve problems from improper land utilization and air pollution (by road traffic). It also can be utilized to evaluate air pollution level according to land use and road characteristics and to help to choose the best location of land use to comply with the road function and status.

연 노출 근로자들의 혈장 δ - aminolevulinic acid 량과 연 노출 지표들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sma δ - aminolevulinic acid Concentration and Lead Exposure Indices in Lead Workers)

  • 김진호;안규동;이성수;황규윤;김용배;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5-172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delta$ - aminolevulinic acid (ALAP) and lead exposure indices in exposure to lead. The subjects were 218 male workers in 2 storage battery companies and 2 secondary smelting companies. Blood lead(PbB), blood zinc-protoporphyrin( ZPP), urinary $\delta$ - aminolevulinic acid (ALAU), hemoglobin(Hb), and hematocrit(Hct) were measured as lead exposure indi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s of blood lead and blood ZPP concentration of subjects were $27.2{\pm}14.0{\mu}g/d{\ell}$ and $55.1{\pm}47.6{\mu}g/d{\ell}$, respectively. The means of plasma $\delta$ - ALA and urinary $\delta$ - ALA concentration were $18.9{\pm}25.1{\mu}g/d{\ell}$ and $2.1{\pm}4.6mg/{\ell}$, respectively. 2. The concentration of ALAP was $11.2{\mu}g/{\ell}$ for below $20{\mu}g/d{\ell}$ PbB, $12.8{\mu}g/{\ell}$ for from $21-40{\mu}g/d{\ell}$ PbB, and $51.2{\mu}g/{\ell}$ for over $40{\mu}g/d{\ell}$ PbB, respectively. 3. ALA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AU(r=0.829, p<0.01), ZPP(r=0.724, p<0.01) and PbB(r=0.552, p<0.01).

  • PDF

수축저감형 혼화제를 이용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urability of Mortar and Concrete using Shrinkage reducing typed Superplasticizer)

  • 우형민;박희곤;이영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61-569
    • /
    • 2016
  • 콘크리트는 현재까지 사용되는 건축재료 양호한 품질을 지니고 있으며, 시멘트의 화학조성이 지표상의 화학조성과 유사하여 가장 쉽게 얻을 있는 재료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약한 결합력과 낮은 결합에너지로 변형에 취약하여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건조수축 균열 저감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AE제, 감수제, 수축저감제 등을 각각 사용하는 기존연구와 달리 작업의 편리성 향상을 위하여 수축저감제 및 감수제의 혼합 형태인 수축저감형 혼화제(Superplasticizer for Reduction of Shrinkage, 이하 SRS로 칭함)를 이용하였다. 현재 레미콘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의 배합으로 계획하였으며, SRS 혼입률 변경과 혼화재 치환에 따른 기초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강도와 길이변화율을 고려하였을 때 SRS 혼입률 2%가 적정한 혼입률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대량치환과 노출콘크리트용 혼화제 적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교통소음 건강영향평가 소개 (Presentation on Health Impact Assessment of Transportation Noise)

  • 선효성;박영민
    • 환경정책연구
    • /
    • 제8권2호
    • /
    • pp.63-82
    • /
    • 2009
  • 도로, 철도, 공항을 포함하는 교통시설에 의한 교통소음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신체적 및 정신적인 피해를 받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의 경우 교통소음에 노출된 인체 건강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국내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교통소음에 의한 건강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평가방법 중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교통소음에 의한 성가심 및 수면방해 연구는 교통소음의 측정자료 및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소음지표에 대한 불쾌감 및 수면방해 호소비율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한 국내외의 노출-반응 예측결과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교통소음에 대해 대체로 더 높은 소음성 불쾌감 및 수면방해를 호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및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교통소음의 건강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에 대한 내용은 국내 교통소음 건강영향 예측모델의 개선을 통한 객관적인 평가기준 마련과 아울러 교통소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정도나 소음환경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감방안 마련을 포함한다.

  • PDF

복사열을 이용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낙엽의 연소특성 분석 (A Combusti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Fallen Leaves Using Radiation Heat Flux)

  • 박형주;김응식;김장환;김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1-4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지표화의 연소물질인 소나무와 굴참나무 낙엽에 대해 일정한 외부 복사열에 의한 연소특성을 분석하였다. 일정한 외부 복사열에 노출된 낙엽의 착화시간, 착화온도, 임계열유속, 질량감소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낙엽의 종류별로 5개의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낙엽에 복사열을 노출시키기 위해 Mass loss calorimeter를 사용하였다. 시료 용기의 크기는 $100\;mm{\times}100\;mm{\times}12\;mm$로 소나무와 굴참나무 낙엽을 건조 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소나무 낙엽과 굴참나무 낙엽의 시료에서 외부 복사열이 $9\;kW/m^2$ 미만에서는 착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연소시간 동안 표면온도 변화는 굴참나무 낙엽에 비해 소나무 낙엽이 더 오랜 시간동안 고온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최대질량감소속도와 평균질랑감소속도에 있어서는 굴참나무 낙엽이 소나무 낙엽 보다 더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소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소반응 특성에 대한 실험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인정보 영향평가 툴 개발 (Development of Privacy Impact Assessment Tool)

  • 허진만;우창우;박정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5-81
    • /
    • 2012
  • 인터넷 이용자수의 증가에 비례하여 개인정보의 노출 또는 유출로 인한 개인정보 침해사고가 많아지고 있으며, 침해사고로 인한 정신적 피해와 함께 금전적 피해 등을 입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개인정보 노출 및 유출은 담당자 및 내부직원의 실수 또는 고의로 인해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정보 보호와 관리, 보안에 대한 정책 결정 및 운영 등을 담당하는 최고 책임자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CPO, Chief Privacy Officer)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부족이 주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측정 지표를 제시하고 세부 항목을 열거하여 점수를 매겨서 합산한 점수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이는 사후 평가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 또는 계획에 적용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으며 평가자가 원하는 집계는 물론이고 항목별 다양성의 표현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각 기업의 정보보안 취약점을 파악하고 보안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개인정보 영향평가 툴을 제안한다. 본 툴에서는 평가 결과를 방사형 그래프로 제시하고, 세부 항목은 막대그래프로 표시하여 점수와 함께 보여주기 때문에, 기업입장에서는 취약점 파악과 보안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 PDF

임신 및 수유기간 동안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노출에 의한 랏트 부고환 clusterin mRNA 발현량 감소 (Decreased of Clusterin mRNA Expression of Epididymis Following Exposure to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during Gestation and Lactation in Sprague-Dawley Rats)

  • 강대웅;권수경;양윤정;천영진;홍연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4호
    • /
    • pp.291-299
    • /
    • 2008
  • Bisphenol A diglycidyl ether(BADGE)는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의 축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질로 상업용 액상 에폭시 수지의 주성분이다. 본 연구는 clusterin mRNA 발현이 BADGE의 노출된 생식기계 독성에 연관되어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BADGE는 SPF Sprague-Dawley 임신 랏트에 임신 6일부터 수유기가지 하루에 한 번 0(대조군)과 375mg/kg/day를 경구 투여하였다. 수컷 새끼는 일반 사항과 몸무게, 일반 발달 지표(예, 항문과 생식기 사이의 거리, 이개개전, 절치붕출, 유두잔류, 안검개열, 고환하강, 포피박리 등)등을 관찰하였다. 대조군과 투여군에서 다섯 마리의 수컷 새끼는 출생 후 3, 6와 9주에 부검하여 부고환의 조직학적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BADGE 375 mg/kg/day 투여군에서 항문과 생식기 사이의 거리는 대조군보다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출생 후 6주와 9주에서 부고환의 상대 무게는 대조군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조직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BADGE 투여 군에서 clusterin mRNA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해 3주에 56%, 6주에 57% 그리고 9주에 86% 감소하였다. 이런 결과는 랏트의 부고환에서 clusterin은 BADGE에 반응하는 유전자 중 하나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4-nonylphenol에 노출된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oponicus s.l.의 생활사, 형태와 유전자 발현 (Life Cycle, Morphology and Gene Expression of Harpacticoid Copepod, Tigriopus japonicus s.l. Exposed to 4-nonylphenol)

  • 방현우;이원철;이승한;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81-89
    • /
    • 2008
  • 우리나라 연안의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 s.l.를 대상으로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4-nonylphenol에 대한 생태독성 반응을 연구한 결과, 4NP는 $30{\mu}g\;L^{-1}$이하에서는 농도에 관계없이 생존율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포란율, 부화율 등 생식 능력의 저하 현상 역시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노출된 T. japonicus s.l. nauplius 유생과 copepodite 유생은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보다 성장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개체의 크기와 생체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EG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여 biomarker로서 가능성을 지닌 유전자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추후 형태학적 연구와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계속 진행하여 생태계 평가를 할 수 있는 실질적인 생체지표 개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