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주거

검색결과 510건 처리시간 0.023초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이용현황 및 거주자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 the Resident's Consciousness in User-Charged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이남석;이덕용;윤충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1-22
    • /
    • 2007
  • Our country already came into the aging society in 2000, and it will reach the ultimate aging society in 2026. Also it is necessary the architectural proposal to serve the aging society problem. Recently days, it is increased that the aged welfare facilities, and the concern of aged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approaching the charged aged man welfare facilitie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about the increase of aged man and the aged man problem in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 investigated about the overall environment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charged welfare facilities to indoor space on the basis of the satisfaction degree and requiring condition of users through the estimation after residing. Thus this study is purposed to insist importance about analysis the aged welfare facilities and dwelling conscious.

  • PDF

노인의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주거안전 영향 요인도출 (Factors Related to Housing Safety and Improved End-of-Life Care for Elderly People)

  • 김주홍;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41-351
    • /
    • 2019
  • 이 연구는 노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 중 노인의 주거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진행은 첫 번째 단계로, 실제 65세 이상 노인 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로는, 국 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된 노인 주거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확인된 요인을 바탕으로 설문을 구성하여 전문가에게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델파이 조사에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주거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인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구성된 요인에 대해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통해 검증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주거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외, 현관, 실내, 거실, 침실, 부엌, 욕실 및 화장실 총 7개 영역에 23개 하위 요인을 확인 및 추출할 수 있었다. 이 중 가장 많은 언급과 중요도를 보인 요인으로는 실내-외 영역의 계단 유무, 안전한 바닥, 실내 영역의 문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이 기존의 주거지에서 안전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는 위의 요인들의 확인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n elderly dep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physical activity)

  • 구본미;채철균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781-800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주거환경만족도가 노년기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노인을 둘러싼 환경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본인이 직접 설문에 응답하고, 주요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10,059명을 대상으로 주거환경만족도와 우울의 관련성에 대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Baron & Kenny 접근법을 적용하여, 세 단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증상을 경험할 확률이 감소하였다. 둘째,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노인들이 집 밖에서 신체활동에 참여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셋째, 주거환경만족도와 우울 간의 관계를 신체활동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노인들의 신체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노인의 우울 수준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와 신체활동이 노년기 정신건강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설명하고,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개입 전략과 Aging In Place를 실행하기 위한 실천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대학 연계형 노인전용집합주거 현지 사례 연구 - 플로리다 주 Oak Hammock 사례를 중심으로 (A Field Case Study of University Affiliated CCRC in Oak Hammock Florida)

  • 박민아;이연숙;이수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2-85
    • /
    • 2009
  • Amongst society's transitional presuppositions towards the future, an aging popul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matter. Korea has entered the aging society in 2000 and will face the aged society by 2018, which is the fastest time that takes from the aging society to the aged society in the world. Korea requires immediate attention to devise a countermove. U.S entered aging society in 1942 since then have developed various types of elderly housing. Recently, university-affiliated CCRC became an attractive alterna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successful case of elderly hous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key features of a university-affiliated CCRC as an alternative socially integrated aging friendly community. Oak Hammock at the University of Florida was selected for this research as a successful case. The method of this is field visit case study. The study finds that University-affiliated CCRC has a lot of benefits for both university and CCRC. Oak Hammock members can access university's facilities and university provides a life-long learning experience and other programs. Oak Hammock provides internship, volunteer and parttime job opportunities and offer advice to students as a mentor.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implication in developing elderly housing of Korea.

  • PDF

지역친화형 소규모 노인공동주거에 관한 소비자의 입주의사와 태도 (Consumers' Intention and Attitude to Move to a Small Scale Cohousing for Elderly based on Community Friendly Concept)

  • 최현정;최병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41-246
    • /
    • 2011
  • This study explores consumers' intention and attitude to a small scale cohousing for the aged, which provide local communities with the small residential spaces where seniors can feel at home. Questionnaire method is performed, and 193 data were gathered in Jeonju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respondents have a professional job, a owned house size($66-99m^2$, $132m^2$ or more), and disease or dementia, their intentions to move into a community friendly co-housing for the aged is high. The shortcomings of this housing are perceived low by college or graduate school graduates, but middle or high school graduates do not perceive low them. The respondents with the annuity of less than 4,000,000(KRW)/month perceive them in normal or higher, while those with the annuity of 4,000,000(KRW)/month or more perceive them in low. This annuity will be as a cost criterion to accept to move in this housing.

  • PDF

지역친화형 소규모 노인공동주거에 관한 지방 도시 소비자의 입주의사와 태도 (The Local City Consumers' Intention and Attitude to Move to a Group Home for Elderly Based on Community Friendly Concept)

  • 최현정;최병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1-19
    • /
    • 2011
  • This study explores consumers' intention and attitude to a group home for the middle class elderly, which provide local communities with the small residential spaces where seniors can feel at home. Questionnaire method was performed, and 193 data were gathered in Jeonju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respondents have a size of house (66.2-99.1 $m^2$), elderly disease or dementia, and their annuity or their spouse annuity, and when they are much old, their intentions to move into a community friendly group home for the aged is detected. The respondents and their spouse with the pension of more than 2,000,000 (KRW)/month have an intention to move to this group home. Also, they and their spouse with annuity have positive attitude to it, and these goups with the pension of more than 2,000,000 (KRW)/month have low negative attitude to it. So, house size, health condition, and annuity are variables to determine to move into it.

실천적 문제 중심 노인주거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기술.가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Housing for the Later life - in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 김유니;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9
    • /
    • 2010
  • 2007년 개정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도덕성,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다루는 내용에서 실천적 추론 수업의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주거' 관련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학생평가를 통해 이 교수 학습 과정안이 고등학교 기술 가정 노인주거 주생활 교육내용에 적합한지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및 개발, 실행, 평가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노인주거 교육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현행 제7차 기술 가정 고등학교 10종 교과서, 현행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과 LT 협동학습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노인주거 수업의 교수 학습 내용에 맞는 실천적 문제를 선정하고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은 '노후에 안전하고 편안한 주거를 만들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 실천적 문제에 따라 3차시 수업으로 구성된다. 개발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 3차시분, 학습 자료 53개(학생 활동지 44개, 학생 읽기 자료 2개, 교사 읽기 자료 5개, 동영상 자료 2개)와 설문지(33문항)를 개발하였다. 2009년 4월 20일부터 24일까지 경기도 성남시 소재 B전문계 고등학교 2학년 5학급(150명)을 대상으로 3시간씩 총 15차시 적용한 후 설문지를 이용해 평가단계를 거쳤다. 이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적용한 후 평가 결과, 모든 평가 영역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노인주거 주생활 교육내용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생활교육으로 적합하며,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나와 가정 그리고 사회에 선한(도덕적)행동,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이라고 결론 낼 수 있겠다 수업 시수를 늘려 더 다양한 내용과 학생 활동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노인주거 관련 주생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길 제언한다.

  • PDF

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 김동배;유병선;신수민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041-1061
    • /
    • 2012
  • 본 연구는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인 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노인이 이용하는 사회서비스가 이 두 요인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빈곤을 주거불안정, 과도한 주거비부담, 최저주거기준 미달로 정의하였고, 이러한 주거빈곤이 노년기의 정신건강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4차년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모형의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노인의 주거빈곤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빈곤과 우울 사이에서 사회서비스의 이용만족도는 우울을 완화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회서비스의 이용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환경의 개선을 통해 노인의 정신건강을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적인 실천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