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간호실습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노인간호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치매정책 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eriatric Nursing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ttitude, Perception toward Dementia and Dementia Policy)

  • 박수진;박경숙;김영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67-4477
    • /
    • 2015
  • 본 본 연구는 노인간호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치매정책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K시, J시 소재 간호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72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교육군에게 56시간 노인간호 교육을 실시하였다. SPSS Win 20.0를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t-test, ${\chi}^2$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군에서 평균 27.10점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이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500, p=.000). 치매에 대한 태도에서도 교육군의 평균이 4.10점으로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423, p=.000). 치매정책 인식에서는 교육군에서 인식이 더 긍정적으로 개선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70, p=.090). 이를 통해 노인간호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노인간호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재가 노인환자의 방문간호 경험 - 보건소 실습학생 방문대상자 중심으로 - (Experiences on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 박숙경;박정모;이숙정;민소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37-44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xperiences in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provided by nursing students. Method: This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community-based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the 4th of March to the 15th of December 2003.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patients on subjective experienc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laizzi's method, in which meaningful statements were extracted. Result: Four categories were identified from nine theme clusters. The four categories were 'thankfulness', 'dependence', 'sorrowfulness' and 'the sense of being'.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visiting nursing service for the elderly in community

  • PDF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 안전동기와 환자안전도가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tient Safety Motivation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Geriatric Hospitals Nurses)

  • 이주열;김순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73-785
    • /
    • 2023
  • 본 연구는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노인 요양병원의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 220명이며, 자료수집은 2023년 2.1~2.28일까지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안전동기는 환자안전도(r=.41, p<.001), 환자안전도는 환자안전관리 활동(r=.18, p<.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가장 유의한 영향요인은 환자안전도(𝛽=.21, p<.001)와 환자안전지침서(𝛽=.16, p<.001)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7.5%였다(Adj R2=.075, p<.001). 따라서 환자안전관리 활동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안전사고 발생 이전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위험예지 훈련과 함께 안전사고 후 효과적인 대처를 위한 실습교육을 강화하는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제안한다.

의치관리 실습프로그램이 노인의 의치자가관리, 만족도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nture Care Skills Education Program on Denture Self-care, Denture Satisfaction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mong the Elderly)

  • 장인순;박승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8권4호
    • /
    • pp.239-24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ure care skills education program on denture self-care, dentur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oral status among the elderly.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Total 61 elderly who visited a seniors center, Seoul,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31 elder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elderly f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lesson in denture care skills educa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Us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the elderly's perception about denture self-care, dentur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oral statu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and ANCOVA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1.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denture satisfaction(p<.001), QOL of oral health(<.001), concern for oral health(p=.005),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p<.001), bad breath(p=.010), oral dryness(p<.001) and number of denture clearing(p<.001).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nture care skills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at a senior center was effective. Further work is required to develop more effective denture care skills education programs and a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