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이즈 검출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Adaptive Noise Detection and Modified Gaussian Noise Removal Using Local Statistics for Impulse Noise Image (국부 통계 특성을 이용한 임펄스 노이즈 영상의 적응적 노이즈 검출 및 변형된 형태의 Gaussian 노이즈 제거 기법)

  • Nguyen, Tuan-Anh;Song, Won-Seon;Hong,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9-181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noise detection and modified Gaussian removal algorithm using local statistics for impulse noise. In order to determine constraints for noise detection, the local mean, variance, and maximum values are used. In addition, a modified Gaussian filter that integrates the tuning parameter to remove the detected nois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is significantly better than a number of existing techniques in terms of image restoration and noise detection.

  • PDF

Fast Blind Image Denoising Algorithm Based on Estimating Noise Parameters (노이즈 매개변수 예측 기반 고속 노이즈 제거 방식)

  • Nguyen, Tuan-Anh;Kim, Beomsu;Hong, Min-Cheol
    • Journal of IKEEE
    • /
    • v.18 no.4
    • /
    • pp.523-531
    • /
    • 2014
  • In this paper, a fast single image blind denoising algorithm is presented, where noise parameters are estimated by local statistics of an observed degraded image without a prior information about the additive noise. The estimated noise parameters are used to define the constraints on the noise detection which is coupled with the 1st-order Markov Random Field. In addition, an adaptive modified weighted Gaussian filter is introduced, where variable window sizes and weighting coefficients defined by the constraints are used to control the degree of the smoothness of the reconstructed image.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e cap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Please put the abstract of paper here.

MRF-based Adaptive Noise Detection Algorithm for Image Restoration (영상 복원을 위한 MRF 기반 적응적 노이즈 탐지 알고리즘)

  • Nguyen, Tuan-Anh;Hong, Min-Cheol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12
    • /
    • pp.1368-1375
    • /
    • 2013
  • In this paper, we presents a spatially adaptive noise detection and removal algorithm. Under the assumption that an observed image and the additive noise have Gaussian distribution, the noise parameters are estimated with local statistics, and the parameters are used to define the constraints on the noise detection process, where the first order Markov Random Field (MRF) is used. In addition, an adaptive low-pass filter having a variable window sizes defined by the constraints on noise detection is used to control the degree of smoothness of the reconstructed imag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e cap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Music Starting-point Detection Method using MinWaveShape (최소파형모형을 이용한 음악 시작점 검출 방법)

  • Kim, Bung-Soo;Sung, Bo-Kyung;Koo, Kwang-Hyo;Ko, Il-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8.06a
    • /
    • pp.137-141
    • /
    • 2008
  • 객관화된 메타정보를 이용하는 검색방법과는 다르게 내용기반 검색에서는 전처리된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디지털 음악데이터의 경우 인코딩과정을 거칠 때마다 미세하지만 파형의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변형은 타임코드를 쉬프트 시켜 동일한 데이터 검색에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음악의 시작점을 검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사람이 소리를 인지하는 원리는 공기가 진동하여 청각기관을 자극하기 때문이며 공기의 진동은 파동을 형성한다. 파동을 구성하는 최소파형모형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여 음악의 시작점을 검출하였다. 녹음환경 및 디지털 압축 과정으로 음을 구성하는 파형에 노이즈가 포함될 경우 음악의 시작점 검출에 방해 요인이 된다.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음악의 시작점을 검출하기 위해 노이즈가 포함된 파형의 특징을 분류하고, 이 분류를 예외 조건을 두어 해결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600개의 음원을 실험 하였으며 86%의 일치율을 보였다.

  • PDF

Angle Invariant and Noise Robust Barcode Detection System (기울기와 노이즈에 강인한 바코드 검출 시스템)

  • Park, Dongjin;Jun, Kyungkoo
    • Journal of KIISE
    • /
    • v.42 no.7
    • /
    • pp.868-877
    • /
    • 2015
  • The barcode area extraction from images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and existing methods exploit frequency characteristics or depend on the Hough transform (HT). However, the slantedness of the images and noise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se approaches. Moreover,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the case where an image contains multiple barcodes. We therefore propose a barcode detection algorithm that is robust under such unfavorable conditions. The pre-processing step implements a probabilistic Hough transform to determine the areas that contain barcodes with a high probability, regardless of the slantedness, noise, and the number of instances. Then, a frequency component analysis extracts the barcodes. We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proposed system and performed a series of barcode extraction tests.

양자암호시스템을 위한 단일광자검출기

  • Lee, Min-Su;Kim, Yong-Su;Han, Sang-Uk;Mun, Seong-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8
    • /
    • pp.62-68
    • /
    • 2015
  • 본고에서는 차세대 보안통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는 양자암호시스템의 핵심 모듈인 단일광자 검출기의 최신 연구동향과 KIST 연구개발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현재 상용화 수준으로까지 발전한 유선 양자암호 시스템에서는 성능, 소형화, 가격 등의 장점으로 인해 주로 InGaAs/InP avalanche photo diode (APD)를 이용한 단일광자검출기가 사용되고 있다. 유선 양자암호에서 사용하는 1550nm 통신 파장대의 단일광자가 갖는 에너지는 0.8 eV로 매우 미약한 수준이기 때문에 신호 검출을 위해 APD소자를 내부 증폭 이득이 무한대인 가이거모드(Geiger mode)에서 동작시킨다. 매우 높은 증폭비는 신호 검출뿐만 아니라 노이즈에도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변환경 노이즈에 의한 검출기 오동작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단일광자검출기 구현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소자 및 검출기 모듈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 시켜주는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검출기의 대표적인 노이즈인 after pulse를 저감 시키기 위한 연구가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self-differencing, auxiliary signal, integrating, double balanced 등의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각의 최신 기술들에 대한 비교 분석 및 이를 바탕으로 현재 KIST에서 진행하고 있는 양자암호시스템을 위한 단일광자검출기 기술 개발에 대해 서술한다.

Frequency Distribution of Mechanical Noise Signals for Ultrasonic Wave and AE Sensor with Brush Spark of DC Motor (직류전동기 브러시 섬락에 따른 기계적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분포)

  • 이상우;김인식;이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2
    • /
    • pp.36-43
    • /
    • 2004
  • In this paper, the frequency spectra from respective mechanical noise signals detected using ultrasonic wave and AE(Acoustic Emission) sensor were analysed to under spark generation between brush and commutator side with arbitrarily 15$^{\circ}$ rotation for brush from the DC motor in operation. Also, the frequency spectra from respective magnetizing noise signals detected using ultrasonic wave and AE sensor were analysed to under neutral point for brush from the DC motor in normal operation. And the analyses and comparison between the mechanical noise signal and magnetizing noise signal of ultrasonic wave with brush location change from the DC motor in operation. As the experimental results, tile mechanical noise signal of ultrasonic wave under spark generation between brush and commutator side with brush location change from the DC motor in operation were increased about 2.5∼3.0 times than magnetizing noise signal of ultrasonic wave form the DC motor in normal operation. Also, the main frequency band for mechanical noise signals of AE under spark generation between brush and commutator side with brush location change from the DC motor in operation, appeared about 1.3[MHz]∼l.5[MHz] by the fast fourier transform.

A Spectrum Sensing Scheme with Unknown Deterministic Signal Environment (예측 가능한 신호 환경에서의 스펙트럼 센싱 기법)

  • Kim, Jeong-Hoon;Asif, Iqbal;Khuandaga, Gulmira;Kwak, Kyung-Sup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0 no.3
    • /
    • pp.85-94
    • /
    • 2011
  • Spectrum sens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in cognitive radio. Although many studies have considered energy detection technique as the spectrum sensing technique, noise variance in practical systems is difficult to estimate accurately. Thus, in the real system, the probability of false alarm will not be maintained constant. In this paper, with considering that the cognitive radio does not know the primary user's signal, we propose a new spectrum sensing scheme which can operate without the information of noise variance. Through simulations, we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detect spectrum with the condition of unknown noise information and have robustness for the change of noise variance.

Multi-scale Noise Reduction Technique for Medical Image Using Fuzzy (퍼지를 이용한 다해상도 기반 의료영상 노이즈 제거 기술)

  • Ko, Seung-Hyun;Lee, Joon-Who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285-288
    • /
    • 2013
  • 의료영상에서의 노이즈는 환자 진단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영상의 화질을 떨어트림으로써, 진단에 대한 유효성을 낮추게 된다. 특히,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저선량 의료영상은 기존의 고선량 의료영상보다 노이즈 레벨이 높으며, 이에 따라서 의료영상에서의 노이즈 제거 기술은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노이즈 제거 기술은 각각의 투영 영상을 여러개의 부대역(sub-band)으로 분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분해된 각각의 부대역 영상은 엣지 검출기를 통하여 엣지 부분과 평탄한 영역으로 구별되어 진다. 검출된 엣지는 0 ~ 1 사이의 값으로 정규화 되며, 퍼지기반의 연산을 통하여 엣지의 확실성을 나타내는 엣지맵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 엣지맵을 통하여 각 부대역 영상의 필터링 정도를 제어하고, 분해된 각 부대역을 결합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영상의 엣지 부분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노이즈는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였다.

A Method for Detecting Event-location based on Example in Tweet (트위터에서의 사례 기반 이벤트 지명 검출 기법)

  • Ha, HyunSoo;Hwang, By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119-112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 내용을 통해 이벤트를 탐지하는 시스템에서 지명 검출 정확도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SNS를 이용한 개인 정보 유출 사례들이 늘어감에 따라 자신의 위치 정보를 공개하기 꺼려하기 때문에 이벤트가 발생한 지역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내용을 직접 분석해야한다. 그러나 오타나 줄임말, 동형이의어의 사용으로 정확한 지명 검출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지명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지명 단어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지명 노이즈 제거 기법과 랜드 마크를 이용하여 지명 단어를 확정하는 지명 확정 기법이다. 실험 결과 기존 시스템의 정확도 49%에서 지명 노이즈 제거기법은 56%, 지명 확정 기법은 73%로 각각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