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선선정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7초

건설 기획 및 설계 단계 BIM/GIS 통합 플랫폼 활용을 위한 시나리오 도출 및 상세기능 정의 (Derivation of BIM/GIS Platform Application Scenarios and Definition of Specific Functions in Construction Planning and Design)

  • 윤준희;강태욱;최현상;김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340-7349
    • /
    • 2014
  • Building Information Model(BIM)과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는 각각 건설 분야의 전 생애주기(기획-설계-시공-유지관리) 단계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다. 최근, BIM과 GIS의 통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BIM/GIS 통합플랫폼의 설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기획 및 설계 단계에 BIM/GIS 플랫폼을 활용하기 위한 시나리오 및 상세 기능을 정의한다. 첫째, 업무를 분석하여 BIM/GIS 플랫폼을 활용하기 위한 단계 별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해당 시나리오를 구현하기 위한 플랫폼 기능을 도출한다. 둘째, 각 플랫폼 기능을 구성하는 SW 기능을 정의한다. 건설기획 단계에서는 입지선정 및 노선선정 업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설 설계 단계에서는 기본설계와 실시설계 업무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BIM/GIS 통합플랫폼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속도로 관리자간 상호 연계체계 수립에 관한 고찰(한국토로공사가 관리하는 노선을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n Connecting Operations among Freeway Management Companies)

  • 이기영;김동녕;손의영;이청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29
    • /
    • 2006
  • 향후 민자고속도로의 건설이 확대됨에 따라 서로 다른 교통관리체계 및 요금정산체계를 가진 여러 관리회사들이 하나의 도로망을 형성하게 될 경우, 장거리를 주행하는 이용자는 각기 다른 회사가 관리하는 노선으로 구성된 경로를 이용하게 될 것이며, 이로 인해 주행 중에 필요한 교통정보의 단절과 잦은 통행료 정산으로 이어지는 정차에 의해 불편함이 가중될 것이다. 따라서 각 기관이 상호 연계 가능한 관리범위를 선정하여 운영해야만 이러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관리회사가 이용자 서비스제고 측면에서 연계해야 하는 최소한의 범위를 선정하고 이를 위한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이용자를 위한 연계범위로 크게 교통정보연계체계 및 영업연계체계로 나누어서 검토하였다. 세부사항으로 교통정보체계는 정보의 내용 및 제공방법에 있어서 각 기관이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을 위주로, 영업체계는 각 정산방식별로 구분하여 상호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다수의 고속도로관리회사가 설립될 때,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상호 연계방향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GIS분석을 통한 홍수시의 대피예보를 위한 시간 예측 - 춘천시를 중심으로 - (The Time Prediction for Escape from Flood Using GIS - The Case of Chun-chon City -)

  • 양인태;김욱남;김재철;박재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1-217
    • /
    • 2001
  • 춘천시는 여러 가지 자연재해 중 홍수로 인한 댐의 붕괴 시 상당한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그렇다면 피해를 최소로 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겠는가\ulcorner 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댐이 붕괴되기 전 대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면 몇 시간 전에 대피를 해야 하고 어떤 도구로 대피해야 인명의 피해를 최소로 할 수 있을 것인가\ulcorner 또한 어떤 방법으로 시간을 산정 할 수 있을 것인가\ulcorner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의문을 ARC/INFO 기반의 GIS 기능인 버퍼링, 중첩,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춘천시 외곽으로 대피할 수 있는 6개의 노선을 선정하였고, 각 노선의 교통량을 계산하여 위험 분산을 위한 시간을 예측해 보았다.

  • PDF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위한 도형.속성정보의 통합 분석 (The Analysis and Integration of Graphic and Attribute Information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 강준묵;이형석;조성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5-342
    • /
    • 2000
  • 본 연구는 지능형 교통시스템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통합분석하고 자 한 것이다. 도형정보는 위치확인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축척 1:5000의 수치지도에 지번도를 수치화하여 중첩하였다. 정확한 위치정보와 노선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시간대별 교통정보를 이용하였으며, 공간적인 위치분석을 위해 컴퍼넌트를 개발하여 분석시스템과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질의 및 통계분석을 통해 적정노선을 효율적으로 선정할 수 있었으며, 도형정보에 지적정보를 연계하여 활용함으로써 위치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었다. 향후 실시간 위치정보와 교통정보가 연계된다면 실시간 지능형 교통시스템에 그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대표물량을 활용한 도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프레임워크 (Cost Estimation Model Framework of Road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Quantity of Standard Work)

  • 곽수남;김두연;한승헌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07-612
    • /
    • 2007
  • 사업 초기 단계에서의 정확한 공사비 예측은 각각의 대안을 비교하여 향후 공사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예산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사업 초기 단계에는 공사비 산정 기준이 모호하고 가용 정보가 부족함에 따라 공사비 예측에 한계가 나타난다. 더욱이 현행 공사비 산정모델이 단위 길이당 공사비를 활용한 선형적이고 단순한 모델을 활용함에 따라 예측의 정확도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사비 산정모델의 한계를 개선하고 사업 초기 단계에서 가용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공사비 산정 모델의 Framework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을 분석하였으며, 기존 도로공사의 공사비 분석자료를 토대로 노선선정 등 사업초기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도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의 Framework를 제시하였다.

  • PDF

벽지노선 대체형 수요응답형교통(DRT) 노선 선정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대중교통 열악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oute Selection Method for Demand Response Transport (DRT) Replacement for Bus Services in Vulnerable Areas - Focused on Region Vulnerable to Public Transportation of GyeongSangNam-Do in Korea -)

  • 박기준;송기욱;정헌영
    • 국토계획
    • /
    • 제54권4호
    • /
    • pp.71-78
    • /
    • 2019
  • Due to the rapid pace of low fertility and aging of Korea, population decline is rapidly progressing in the outskirts of the province and county. Demand for public transport is decreasing due to suburban population declines, while local government funding for maintenance of the bus system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The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are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Demand Responsive Transport (DRT)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financial support for buses while enhancing mobility of the residents in vulnerable areas. However, most DRTs in Korea have been operated mainly in the areas that are not provid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Although DRT is able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f local governments, it is not easy to be introduced because of the objection of the existing bus users. In this study, 11 out of 61 towns with po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Gyeongsangnam-Do were selected for the introduction of DRT to replace bus services by using villag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decision making to use DRT instead of bus service for the burden of bus financing for local governments.

공간적 접근성 및 통행비용을 고려한 천연가스 충전소 최적 입지선정 모형 (A Model of Location Decisions of Natural Gas Filling Station Considering Spatial Coverage and Travel Cost)

  • 유정훈;이무영;오세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5-1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천연가스버스 충전소 위치 선정의 객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간적 접근성과 통행 비용을 고려한 천연가스 충전소 입지선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충전소 입지선정 모형은 고정식 충전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에서는 천연가스버스의 노선 기종점으로부터 이동거리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충전소 입지 대안들을 Heuristic Algorithm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모형의 2단계에서는 변형된 Transportation Problem을 이용하여 충전소 입지대안별 최소 통행비용을 산출하고 이를 충전소의 설치 및 운영비용과 비교분석하여 충전소 최적 입지대안을 도출하였다. 본 모형의 적용가능성 분석을 위해 수도권내의 대표적 중소도시인 안양시를 대상으로하여 천연가스버스 수요량에 따른 충전소의 입지와 규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천연가스 충전소 입지선정 방법론의 기틀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천연가스버스의 원활한 보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부본선 건설을 위한 기존 지하철 터널의 운영 중 확폭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 (Fundamental study on enlargement method of existing subway tunnel during operation for sidetrack construction)

  • 이효범;고성일;전종훈;윤희택;이나현;최항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59-76
    • /
    • 2020
  • 지속적인 수도권 교통 인프라 수요의 증가에 따른 광역·도시철도 노선의 급행화를 위해서는 완행과 급행철도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부본선의 건설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 지하철 노선의 운행을 중단한 후 부본선을 건설하는 것은 많은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므로 기존 지하철 터널의 운영 중 확폭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노선 급행화에 필요한 부본선 건설을 위해 기존 지하철 터널의 운영 중 확폭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선 운영 중 부본선 건설방안 모색을 위해 지하철 4호선 과천선의 정부과천청사역을 부본선 건설 가상 역사로 선정하고, 4가지 방안의 구간별 단면 및 공법계획을 검토하였으며, 해당 역사에 대하여 부본선을 시공하였을 경우 시공성·경제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우려된다고 판단되는 방안을 선정하여 부본선 시공과정을 고려한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전기버스를 위한 배터리 자동 교환-충전인프라 배치 최적화 모형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optimal location modeling of battery swapping & charging facility for the electric bus system)

  • 김승지;김원규;김병종;임현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21-135
    • /
    • 2013
  •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문제가 심각한 위기로 인식되어지면서 세계 각국에서는 전 산업분야에 걸쳐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내 에너지 부문 CO2 배출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수송 분야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 보급 확산이 필수적이다. 최근 정부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긴 충전시간과 배터리의 가격에 의한 비싼 차량가격, 짧고 불규칙한 운행거리와 부족한 충전 인프라 등으로 인하여 향후 전기자동차의 보급 확대는 매우 불투명한 상태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으로 전기자동차를 보급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배터리 공용제 기반의 배터리 자동교환형 전기자동차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서는 배터리를 자동으로 교환해주는 시설인 배터리 교환소 (BSS: Battery Swapping Stations)가 필요하게 되는데, BSS는 배터리 교환을 통해 전기자동차가 긴 충전시간을 소모할 필요 없이 짧은 시간 내에 배터리를 충전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대중교통, 특히 공공버스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전기자동차를 보급,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버스를 전기버스로 전환하여 버스 노선을 운영할 경우 전기버스가 중간에 멈추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에 충전시설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전기버스에 대한 충전시설은 버스 노선의 기 종점 및 기존 버스정류장에 추가로 설치하여 버스가 승객의 승 하차를 위해 정차할 때 신속하게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게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버스를 위한 배터리 자동교환충전시설의 위치선정 문제를 Set Covering Problem에 적용하여 해결하였다. 배터리 충전 시 최대 주행거리를 영향권으로 설정하였으며 메타 휴리스틱 기법인 그리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배터리 교환형 충전인프라 배치 최적화 모델을 개발하였고 현재 운영 중인 서울시의 버스노선을 대상으로 실제 충전시설의 위치를 선정하였다.

지형공간정보분석에 따른 환경친화적 최적 도로노선 선정 (Environment-Friendly Optimum Route Selecting With Geo-spatial Information Analysis)

  • 김상석;장용구;최수근;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9-77
    • /
    • 2005
  • 도로건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제도는 대부분의 사업이 타당성조사와 병행하여 실시하지 않고 계획이 확정된 후 사업실시단계에서 주로 오염의 저감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입지의 타당성 등 근본적인 친환경적인 개발의 유도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9개의 사전환경성 검토요소에 대한 지리정보체계의 공간분석기능을 도입하였으며, 개별 요소들의 평가결과를 통한 종합적인 검토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전 환경성검토 GIS 의사결정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전환경성 검토 GIS 의사결정시스템과 기 구축된 GIS 데이터 활용을 통해 환경성 검토에 객관성 충족 및 시간비용 절감이 기대되어 사업초기에 도로 노선선정 시 사전환경성 검토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을 통하여 수치적이고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한 평가로 주민의 합의를 보다 용이하게 이끌어 낼 수 있고, 사업초기에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 도로건설에 따른 환경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