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드 중심성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 자동차산업의 기업간 거래관계에 의한 지리적 네트워크 구조 분석 (Analysis of Geographic Network Structure by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 김혜림;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8-72
    • /
    • 2021
  • 2021년 7월 UNCTAD가 우리나라를 선진국으로 분류할 정도로 우리나라가 발전하는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내 산업생태계를 연구하여 끊임없이 변화시키고 성장을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그 중 하나가 기업간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이며, 본 연구는 기업 간 거래 데이터 구득이 가능한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공간적인 산업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295개의 기업 데이터(노드)와 607개의 거래 관계 데이터(링크)를 활용하였다. 기업의 주소지를 지오코딩하여 공간상 분포를 확인한 결과, 자동차산업 관련 기업은 수도권과 동남권에 집중 분포하고 있었다.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 위세중심성 등을 통해 노드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밀도, 거리, 커뮤니티 탐지, 동류성 및 이류성을 파악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4가지 노드 중요도에서 상위 15위 기업은 완성차기업 중에서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3개의 기업이 공통적으로 포함되고, 상위 15위 기업은 주로 수도권에 입지하고 있다. 규모 면에서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은 대부분 종업원 수가 1,000명 이상인 큰 기업이고, 근접중심성과 위세중심성은 완성차기업을 제외하면 대개 종업원 수가 500명 이하인 기업이 상위 15위 안에 포함되었다.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구조는 밀도는 0.01390522, 노드 간 평균거리는 3.422481로 나타났으며, 빠른탐욕알고리즘으로 커뮤니티 탐지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11개의 커뮤니티가 도출되었다.

대규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계층적 데이터 전달 프로토콜 (A Hierarchical Data Dissemination Protocol in Large-Scale Wireless Sensor Networks)

  • 추성은;강대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505-1510
    • /
    • 2008
  • 대규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들이 배치된 이후에는 에너지 충전이나 노드의 재배치가 매우 어렵고, 일부 센서 노드들의 에너지가 고갈될 경우 전체 네트워크의 분할로 이어진다. 이러한 제한된 조건하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를 고려한 데이터 전달은 라우팅 프로토콜 설계의 핵심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소스 노드와 이동성 싱크 노드를 가진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하는 계층적 데이터 전달프로토콜인 HDD (Hierarchical Data Dissemination)를 제안한다. 계층적 데이터 전달 프로토콜은 싱크 노드가 데이터 수집의 중심노드라는 점을 착안하여 싱크 노드 중심의 데이터 전달 경로를 구성하고, 이 경로가 이중계층(Two-Tier)통신을 통해 유지 되도록 한다. 실험을 통해 HDD 라우팅 프로토콜과 기존에 제안된 TIDD (Two-Tier Data Dissemination) 라우팅 프로토콜의 전체 소모된 에너지량, 데이터 전송 시간 및 데이터 전송 성공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HDD 라우팅 프로토콜은 TIDD 보다 약 1.5배에서 3배정도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유역의 최적 용수배분계획 수립을 위한 Network 모형의 적용 (An Application of River Basin Network Flow Model for Optimum Water Allocation Planning)

  • 안상진;최병만;곽현구;김혁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5-369
    • /
    • 2006
  • MODSIM 모형은 하천유역 네트워크 모형으로 최신의 네트워크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유역내에서 물리적 수문학적으로 그리고 수리권과 같은 제도적인 면을 동시에 고려한 물 배분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흐름 최적화 기법은 복잡한 유역 시스템의 모의 능력을 증대시켜 준다. 모형을 이용하여 링크와 노드 및 우선순위를 토대로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3개의 저류노드, 57개의 비저류노드, 72개의 수요노드 및 127개의 링크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개발된 네트워크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충청지역의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전 후의 용수수급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네트워크 설계, 우선순위의 설정, 모의운영의 시나리오 분석 등에 있어서 만족할만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 PDF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MP-SAR 프로토콜을 이용한 악의적인 노드 검출 기법 (Detecting Method of Malicious Nodes using MP-SAR Protocols in Ad-hoc Network Environment)

  • 차현종;한인성;유황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D)
    • /
    • pp.58-62
    • /
    • 2007
  • 기존의 무선 Ad-hoc 네트워크의 연구는 라우팅기법에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이 우호적이며 상호 협력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는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보안 알고리즘의 필요성에 집중되고 있다. 무선 Ad-hoc 네트워크에서의 악의적인 노드를 식별하는 방안들은 정상적인 노드임에도 불구하고 거짓으로 신고했을 때 확인절차 없이 경로를 재탐색하여 최적의 경로를 변경시킴으로서 최적의 전송환경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경로 기반의 보안경로 탐색 프로토콜인 MP-SAR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보안경로에서는 악의적인 노드를 검증하고, 유효한 최단경로를 통해 데이터전송을 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노드에 대한 신고가 있을 때 확인과정을 거쳐 불필요하게 경로를 재탐색하는 과정을 줄일 수 있다.

  • PDF

대규모 워크플로우 소속성 네트워크를 위한 근접 중심도 랭킹 알고리즘 (An Estimated Closeness Centrality Ranking Algorithm for Large-Scale Workflow Affiliation Networks)

  • 이도경;안현;김광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7-53
    • /
    • 2016
  • 워크플로우 소속성 네트워크는 워크플로우 기반 조직의 수행자와 업무 사이의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소셜 네트워크의 한 형태이며, 이를 기반으로 연결 중심도, 근접 중심도, 사이 중심도, 위세 중심도 등과 같은 다양한 분석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특히, 전사적 워크플로우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소속성 네트워크의 근접 중심도 분석은 워크플로우 소속성 네트워크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중심도 및 랭킹 계산의 시간 복잡도 문제점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근접 중심도 분석의 시간 복잡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근사치 추정 방법을 이용한 워크플로우 기반 소속성 네트워크의 추정 근접 중심도 기반 랭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노드의 타입이 수행자인, 워크플로우 예제 모델을 추정 근접 중심도 기반 랭킹 알고리즘에 적용한 성능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행 결과, 네트워크 규모 관점에서의 정확도는 평균적으로 47.5% 향상되었고, 샘플 모집단 비율 관점에서는 평균적으로 9.44%정도의 향상된 수치를 보였다. 또한, 추정 근접 중심도 랭킹 알고리즘의 평균 계산 시간은 네트워크의 노드 수가 2400개, 샘플 모집단의 비율이 30%일 때, 기존 근접 중심도 랭킹 알고리즘의 평균 계산 시간보다 82.40%의 높은 성능을 보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를 위한 데이타 중심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A Data-Centric Clustering Algorithm for Reducing Network Traffic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여명호;이미숙;박종국;이석재;유재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5권2호
    • /
    • pp.139-148
    • /
    • 2008
  • 센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응용분야에 따라 보다 고차원적인 데이타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 모든 센서 노드의 수집 데이타를 싱크 노드로 전송한다. 수집된 데이타는 일반적으로 센서 네트워크의 환경적인 특성상 시간적으로 혹은 공간적으로 연관성을 지닌다. 이러한 연관성은 싱크 노드가 일부의 데이터만 수집하고도 모든 데이타를 복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타 수집을 위한 기법으로 클러스터링 기법을 널리 사용한다. 하지만 기존의 클러스터링 기법의 경우 수집한 데이타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고, 센서 노드의 지역성(locality)만을 고려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회를 활용하기에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집된 데이타를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싱크 노드로 전송되는 데이타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클러스터링 기법의 우수함을 보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 기법들에 비해 네트워크 트래픽이 약 $4{\sim}40%$ 감소하고, 네트워크의 수명이 약 $20{\sim}30%$ 연장되었다.

정보 중심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게이트웨이 구조 및 기능 연구 (A Study on Content Gateway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 김태연;송호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26-828
    • /
    • 2012
  • 콘텐츠의 ID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네트워크 내에서 제공하기 위한 정보 중심 콘텐츠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의 역할은 서비스 이용자, 콘텐츠 제공자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를 처리하여 콘텐츠의 발행과 서비스 제공에 이르는 전반적 사이클에 모두 관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중심 네트워킹 처리를 위한 콘텐츠 게이트웨이의 설계 고려사항으로서 확장성과 유연성 그리고 가용성이 필요하며, 콘텐츠 게이트웨이와 연관된 Actor들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비스 이용자의 요청 처리 기능과 콘텐츠 발행 처리 기능 그리고 콘텐츠 ID 및 네트워크 관리 기능 구조에 대해서 논한다.

가중치가 부여된 공간변수에 의거하여 USN 루트노드 최소화 방안 -대학 캠퍼스를 사례로- (Minimizing Redundant Route Nodes in USN by Integrating Spatially Weighted Parameters: Case Study for University Campus)

  • 김진택;엄정섭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88-805
    • /
    • 2010
  • 현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웍(USN: Ubiquitous Sensor Networks)의 노드를 배치하는 방식은 위치 적정성의 관점에서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가시권 분석, 셀중심에 대한 인접성, 도로 밀도, 건물밀도, 셀중첩 비율을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공간변수별 가중치에 의거하여 USN루트 노드 설치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전형적인 격자형 방식에 의거한 USN에서 24개의 루트노드가 필요하였지만 공간가중치에 의한 분석방법은 11개의 노드만으로 네트웍의 구성이 가능하였다. 11개의 노드만으로 구성된 USN에서 신호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다양한 지점에서 급격한 변동을 보이지 않고 노드의 연결성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을 충족하였다. 공간가중치를 반영한 노드의 배치는 USN노드 배치에서 격자형방식이나 무작위로 설치하는 관행을 개선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USN의 운영과정에서 신호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노드 엑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도서관 홈페이지와 트위터 활용도 연구 (Usage analysis of library's twitter and homepage by using NodeXL program)

  • 김순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년도 제2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174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노드엑셀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해, 도서관 소셜미디어 활용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소셜미디어 홍보를 제일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P대학의 트위터를 노드엑셀을 통해 매개중심성으로 분석해 본 결과 상위 파워트위터리안들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도서관 마켓팅에서 핵심이용자로 적극 관리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홈페이지 이용도는 국내 의과대학 중 의학도서관 홈페이지상에 데이터베이스로 직접 URL 연동되어 있는 K대학 홈페이지를 보손(Voson)과 노드엑셀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상업출판사외에 NDSL이 가장 상위로 랭크되어 홈페이지의 활용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를 이용한 서울 수도권 지하철망 특성 분석 (Analysis of Seoul Metropolitan Subway Network Characteristics Using Network Centrality Measures)

  • 이정원;이강원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13-42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를 사용하여 지하철 네트워크의 개별 노드의 중요성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한국 지하철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중심성 측도로 매개, 근접 그리고 차수 중심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매개 중심성 지표와 승객들의 실제 흐름양을 함께 고려한 가중 매개 중심성 지표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여러 중심성 지표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서 서울 수도권 지하철과 승객 흐름의 구조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승객들 흐름의 편중 현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멱분포(Power-law)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 분석의 신빙성을 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