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드 이동 패턴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Balanced mobility pattern generation using Random Mean Degree modification in Gauss Markov model for Mobile network (이동 네트워크를 위한 가우스 마코프 모델에서 평균 이동각도 조절을 통한 균형잡힌 이동 패턴 생성)

  • 노재환;이병직;류정필;하남구;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502-504
    • /
    • 2004
  • 이동성이 중요시되는 네트워크에서 특정 프로토콜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노드의 이동패턴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Mobility Model이 필요하다. 노드의 연속적인 이동패턴을 필요로 하는 Mobile Ad-hoc 네트워크를 위해선 Markov process 기반의 Gauss-Markov Mobility Model이 적절하다. 그러나 맵의 엣지 부근에서 노드 이동의 부적절한 처리로 인해, 기존의 Gauss-Markov Model은 편중된 이동 패턴을 야기한다. 본 논문은 엣지 부근의 평균 이동각도를 랜덤하게 조정함으로써 기존의 모델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이를 검증한다.

  • PDF

Prediction method of node movement using the Stern-Gerlach experiment (스테른 게를라흐(Stern-Gerlach)의 실험을 이용한 이동 예측 기법)

  • Jeon, Il-Kyu;Oh, Young-jun;Lee, K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109-11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노드의 속성정보를 통해 노드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PPoP(The Path Prediction algorithm based on Probability)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 이동 예측 알고리즘들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해 노드의 이동을 학습을 통해 패턴화 하여 예측한다. 이때, 노드들이 이동 패턴을 벗어날 경우 예측률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테른 게를라흐의 실험(Stern-Gerlach experiment)을 분석하여 노드의 이동성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노드의 이동 경로를 staore-carry-forward 방식으로 상황 인지에 의한 경로 설정 변경 예측 방법으로 이동 예측 확률 기법이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노드의 이동성 및 패턴을 벗어난 상황에서도 노드의 예측 하고자 한다.

  • PDF

A Profile-Based Binding Update Strategy in Mobile IPv6 (Mobile IPv6에서 프로파일 기반의 바인딩 갱신 전략)

  • 양순옥;송의성;남성헌;윤태명;황종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286-288
    • /
    • 2001
  • 미래에는 Mobile IP의 이동 노드 사용자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 기법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이동 노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바인딩 갱신 메시지 수는 증가한다. 따라서 , 본 논문에서는 이동 노드의 이동성 패턴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바인딩 갱신 메시지의 라이프타임 값을 조정함으로써 바인딩 갱신 메시지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과일 기반의 전략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노드의 과거 이동성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노드가 가지고 있는 프로파일의 평균 상주시간 정보를 라이프타임 값으로 설정하는 적응적 라이프타임과 이동성 정보가 없는 경우에 기존 Mobile IPv6에서 사용하는 라이프타임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디폴트 라이프타임이 존재한다. 그리고, Mobile IPv6에서의 효율적인 라우팅을 위해 프로파일 정보에 기반한 두개의 라이프타임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바인딩 갱신 메시지와 바인딩 요청 메시지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당한 통신비용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HMIPv6 applying Adaptive MAP Domain Size (적응적 MAP도메인 크기를 적용한 HMIPv6의 성능분석)

  • ;Choe Jongwo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2 no.5
    • /
    • pp.625-632
    • /
    • 2005
  • Recently, real time services have been demanding a lot and the number of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extremely. Many researchers are focusing on decreasing handoff or signaling cost, produced when mobile devices are moving around. With these efforts, HMIPv6(Hierarchical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was proposed. Mobile nodes do not need to register their locations to Home Agents whenever crossing over subnets within a MAP domain. In HMIPv6, mobile nodes choose the farthest MAP without considering node mobility pattern. However, a large MAP domain is not always efficient for a slow moving node and required additional work to choose a MAP in HMIPv6. Hence, this paper proposes 'Performance Analysis of HMIPv6 applying adaptive MAP Domain Site'.

Performance Evaluation of AODV and OLSR Routing Protocol According to Node's Mobility Model (노드 이동성 모델에 따른 AODV와 OLSR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

  • Kang, Mi-Seon;Kum, Dong-Won;Cho, You-Z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6 no.7A
    • /
    • pp.662-668
    • /
    • 2011
  • This paper analyzes the performance of the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AODV) routing protocol and Optimized Link State Routing (OLSR) for Mobile Ad hoc Networks (MANETs) using node mobility models. Mobility affects the performance of a routing protocol as it causes changes to network topology. Thus,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MANET routing protocol requires mobility models that can accurately represent the movements of mobile nodes. Therefore, this paper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AODV and OLSR routing protocols using the random way point model and the Levy walk model by the ns-2 simulations.

A Hand-off Technique Using Mobility Pattern in Mobile Internet (모바일 인터넷에서 이동성 패턴을 이용한 핸드오프 기법)

  • Kim, Hwang-R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5
    • /
    • pp.919-925
    • /
    • 2006
  • Mobile IPv6 generates the loss of packets and out of sequencing when hand off, In this paper, We propose a improved hand off techniques using the mobility pattern of mobile nodes. As making group by presetting the moving range of mobile nodes, and putting buffer server in the group, the packet loss and out of packet sequence can be reduced. The proposed method prevents the out of packet sequence in If level which can be happened in the stable state, minimizes the packet re-send in TCP level. In the simulation, the proposed hand off techniques transmits packets efficiently by using the mobility pattern of mobile nodes.

  • PDF

Online Scaling Consious Online Reorganization of $CSB^+$ tree Index in a Database Cluster (클러스터링 데이터베이스에서 온라인 확장을 고려한 $CSB^+$ 트리 색인의 온라인 재구성 기법)

  • 심태정;이충호;이순조;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96-198
    • /
    • 2002
  • 클러스터링 데이터베이스는 높은 가용성과 확장성을 갖으며, 예상치 못한 클라이언트 질의의 증가나 질의 패턴의 변경에 따른 작업부하의 편중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구조이다. 특히 온라인 확장 기법은 트랜잭션 처리를 중지하지 않고 새로운 노드를 클러스터에 추가하여 데이터를 재구성함으로써 임의의 노드에 질의가 집중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적으로 구성된 시스템만으로는 두 대 이상의 서버에 작업량이 집중될 경우 재배치 시 서버 간의 데이터 이동의 반복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네트웍의 부하와 함께 실시간 트랜적션의 처리에 있어서 응답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이동의 반복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클러스터링 데이터베이스에서 온라인 확장을 고려한 CSB+ 트리 색인의 온라인 재구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온라인 확장을 통한 동구 노드의 확장으로 데이터 이동의 반복을 막고 새롭게 추가된 노드를 통해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의 분산을 수행한다 또한 각 시스템의 내부를 CS$B^{+}$ 트리로 구성하여 데이터의 재주성시에도 실시간 트랜잭션에 대한 빠른 응답 시간을 보장한다.

  • PDF

Scheme of Mobile IP Handoff Using Move Prediction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이동성 예측을 이용한 Mobile IP 핸드오프 기법)

  • Park, Seol-Min;Hawang, B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1265-1268
    • /
    • 2003
  • 사용자의 인터넷 환경이 점차 무선 접속을 통한 인터넷의 사용과 실시간 응용 데이터의 사용이 늘어가는 주세에 따라, 이동 인터넷 서비스를 하기 위한 방안으로 Mobile IPv6(MIPv6)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MIPv6에서, 현재 표준대로 핸드오프를 하는 경우에 길게는 수초에 이르는 핸드오프 지연이 생기고 그로 인한 패킷의 유실과 지연이 초래된다. 이것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과 같이 실시간 데이터의 경우 치명적인 단점이 된다. 이에 이동노드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경우 낮은 지연을 가지는 핸드오프 방법으로 fast핸드오프 방법이 있다. fast핸드오프는 히스토리 파일에 있는 임의의 한 이동노드가 전에 방문한 셀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여 이동전에 등록에 관한 패킷을 다음 이동할 셀 외부에이전트에게 미리 전송하고 이동을 하는 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무선 단말의 이동 패턴 및 캐쉬 내 방향그래프(Directed Graph) 형식으로 작성한 히스토리 파일을 이용하여 이동성 예측 실패 시 패킷소실을 없앨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 PDF

Cost Reduction of Location Registration Using the LiEy UBdate Strategy in Hierarchical Mobile IPv6 (계층적 이동 Ipv6환경에서 지연갱신전략을 이용한 위치등록 비용 감소)

  • Yi Myung-Kyu;Hwang Chong-Su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2 no.3
    • /
    • pp.370-381
    • /
    • 2005
  • Mobile IP provides an efficient and scalable mechanism for host mobility within the Internet. Using Mobile If, mobile nodes may change their point of attachment to the Internet without changing their If address. However, it would result in a high signaling cost. To reduce the signaling cost, we factor in the fact that mobile users will not be actively communicating much of the time. In fact, there Is no necessity to send a binding update message to the home agent when an mobile node does not communicates with others while moving. From this point of view, we propose a lazy update strategy for minimizing signaling cost using the forwarding pointer in hierarchical Mobile IPv6. In our proposal, binding updates are sent only when a mobile node is in a busy mode. If an mobile node is in a dormant mode, binding update messages are delayed until busy mode using the forwarding pointer. As a result, our proposal can reduce the total signaling cost by eliminating unnecessary binding update messages when a mobile node Is in a dormant mode. In addition to, our proposal reduces unnecessary location update cost resulting from ping-pong effect under mobile node's dormant mode. Analysis results using the discrete analytic model presented in this paper shows that our proposal can has superior performance than hierarchical Mobile nv6 when the call-to-mobility ratio is low and the length of the forwarding pointer chain K is low.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MS/Cluster (GMS/Cluster 설계 및 구현)

  • 유병섭;김명근;김재홍;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225-231
    • /
    • 2003
  • 최근 모바일 장치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객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가 발전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는 이동객체의 위치 정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변화량이 방대하게 증가되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하나의 서버가 모든 처리를 담당하므로 동시 사용자 수가 제한되고,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성능이 저하된다. 특히, 사용자 질의의 급증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해 시스템이 정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자 질의가 급증하여도 서비스가 계속되는 GMS/Cluster를 제안한다. 제안한 GMS/Cluster는 비공유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로 독립적으로 질의를 처리할 수 있는 노드와 노드들의 묶음인 그룹으로 구성된다. GMS/Cluster는 분할 정책의 사용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성능이 향상되고, 복제 정책의 사용으로 서비스를 하던 노드가 정지되어도 복제본을 가진 노드가 대신 서비스를 하여 가용성이 높아지며, 서비스를 중지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온라인 확장을 하여 급증하거나 접근 패턴이 변경하는 사용자 질의에 대처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