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네팔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맛집탐방 - 문화 외교관 "에베레스트 레스토랑"

  • Choe, In-Hwa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3 no.6
    • /
    • pp.130-131
    • /
    • 2011
  • 동대문역 3번 출구로 나와 골목을 따라 2분가량 걷다 보면 네팔 전문 음식점이 보인다. 네팔은 히말라야 산맥 중앙부의 남반을 차지하는 나라로서 인도와 티베트의 사이에 있어 양국의 문화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나라이다. 이러한 네팔의 문화와 음식을 접할 수 있는 네팔 음식점인"에베레스트"는 네팔과 인도, 그리고 티베트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곳이다.

Solid Waste Management of Nepalese Municipalities (네팔 지방자치단체의 폐기물관리 정책)

  • Sigdel, Abinashi;Koo, Jak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1 no.6
    • /
    • pp.951-964
    • /
    • 2012
  • 네팔 지방자치단체의 고형폐기물 관리 부서는 도시계획 및 개발국이나 환경위생 부서 또는 일반 복지 부서에서 담당한다. 네팔에는 폐기물관련법과 기준, 지침이 제정되어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법에 의해 지방자치단체 여건에 맞게 관련 법률 조항을 개정할 수 있다. 네팔에서 발생하는 가정폐기물의 65%는 유기성 폐기물이나, 폐기물 관리는 아직 체계화되지 않고 있다. 지방 NGOs와 일부 부락이 분리수거와 퇴비화를 실시하고 있으나 병원폐기물과 같은 유해폐기물의 경우 병원이 자체적으로 소각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의해 적절히 처리되지 않고 있다. 현재 네팔에서는 폐기물이 비위생 매립 방식에 의해 처리되고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를 금지하고 위생매립지를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 및 전문인력, 예산의 부족, 민간자본 및 시민들의 참여 부족으로 인해 지방자치단체가 설정한 폐기물관리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네팔 지방자치단체들이 당면한 시급한 과제는 지속가능한 폐기물관리 계획 및 전략의 수립이다. 네팔 지방자치단체의 폐기물관리 계획은 폐기물의 적정 처리를 위한 제도적 측면의 강화는 물론, 폐기물 분리 배출 및 수거에 시민들의 동참을 이끌어내고 이해관계자의 참여 확대, 폐기물 처리 비용, 폐기물 처리를 위한 적정기술의 개발과 같은 내용을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

Application Methods of Smart Water Grid to Small Municipalities in Nepal (네팔 소도시 내 스마트워터그리드의 적용 방안)

  • Jang, Dong Woo;Choi, Gye Woon;Park, Hyo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
    • /
    • 2019
  • 네팔의 경우 상하수도를 비롯한 기본적인 위생시설이 크게 미비하며 수도인 카트만두조차 수십 년 된 노후관로가 상수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하수처리 시설이 사실상 전무하며, 지하수를 주요 수원으로 활용하는 대다수 지역은 식수의 오염에 따른 수인성 전염병에 취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네팔에서는 깨끗한 물과 안정적인 수도공급, 하수처리 시설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며, 이에 스마트워터그리드 기술의 도입을 통한 수질개선, 안정적인 수도공급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스마트워터그리드 기술을 네팔 소도시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네팔 소도시의 수자원 및 상수도 시설을 답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시설 및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현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 기술의 적용 방향과 단기 및 중장기 계획을 제시하였다. 또한, 네팔 소도시 중 하나인 Beni시를 시범지역으로 하여 과거 30년 동안 월 강수량 기반의 가뭄지수를 분석하고, EPANET을 통하여 상수관망해석을 실시였다. 연구 결과, 가뭄의 발생횟수가 점차 빈번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수관망 해석 시 대부분의 수요절점 내 수압이 설계기준보다 낮은 것으로 모의되었고, 향후 관 노후화를 고려한 절점 수압의 확보와 수질개선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ranscultural Research for Mental Health between the Rural Population of Nepalese and Korean (농촌거주 네팔인과 한국인의 정신건강에 관한 횡문화적 연구)

  • Kim, Young-Uck;Cheung, Seung-Dou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8 no.1
    • /
    • pp.142-158
    • /
    • 1991
  • In order to make transcultural research mental health centered on anxiety and depression between two centuries of which psychosocial factors are different, the author studied 698 Nepalese in Dolka in January 1990 and 417 Korean of Chungdo and Kyungju in Korea from July to August 1990 by using the Combined Self-Rating Anxiety Depression Scale(CSADS). The author applied t-teat and ANOVA to compare these two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total scores of Nepalese scored $51.27{\pm}11.10$ while Korean Scored $44.29{\pm}11.79$. The anxiety-depresion scores relating to the items of restlessness, depressed affect, appehension, crying spells and fatigue were significantly high in Nepalese, while fatigue, sleep disturbance, dissatisfaction, dizziness, and anxiousness were significantly high in Korean. Both groups showed an increase of score with age. The item relating to education, the scores of the CSADS was significantly high in lower education level in Nepal but Korea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ducation level. The score of the CSADS above 50 (clinically significant level) was seen in 361(51.7%) Nepalese and 116(27.9%) Korean, which shows the proportion of Nepales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orean..

  • PDF

Transnational Care for Left-Behind Famil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Nepal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국내 네팔 결혼이주여성의 본국 가족에 대한 초국적 돌봄 연구)

  • Kim, Kyunghak;Yoon, Mira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3 no.3
    • /
    • pp.514-528
    • /
    • 2017
  •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transnational care for family members back home among the Nepal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on the bases of some transnational care practices like remittances, virtual intimacy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visit to Nepal, and invitation of family members to Korea. This study argu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migrant women's care practices properly, Nepalese marriage immigrant women should be considered as 'being in-between' the societies and cultures of Nepal and Korea.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nsnational care practices of Nepalese women are closely related to the role expectation for the eldest daughter as well as whether or not migrant women have children, jobs, and original family member in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highlights that migrant women's transnational care practices should be considered as 'reciprocal exchange of cares' between marriage women and their family members rather than one-way benefits going to the latter.

  • PDF

Introduction of Smart Water Management Technologies in Dhulikhel Municipality, Nepal (네팔 둘리켈시 스마트 물관리 기술 도입 방안)

  • Dong Woo Jang;Seo Hyun Cheon;Joo W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7-77
    • /
    • 2023
  • 네팔은 6천여 개가 넘는 강이 존재하며 불안정한 기후로 인해 산사태와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노후된 상수도 시설 문제도 있어 효과적인 물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네팔 카트만두 인근의 소도시인 둘리켈시를 대상지역으로 하여 스마트 물관리 도입 방안에 대한 타당성 연구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물관리(SWM)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상수도 관리 기술이 둘리켈시 수돗물 공급 전과정에서 수량·수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주요 연구로 국내 스마트물관리 기술의 네팔 적용성 분석, 수운영 자료및 현황 조사, 스마트 물관리 도입을 위한 수도 시설의 설계 방향을 수립하였고, 기술 도입과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물관리 기술의 적용 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고, 수리 계측데이터의 분석, 수원지, 정수장, 주요 관로에서의 수질을 분석하였다. 이외에 관망수리해석을 기반으로 대상지역 내 공급가능한 수량을 산정하였고, 상수도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추가시설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조건에서의 상수도 운영, 관리체계를 분석하여 노후화된 상수도 시설의 개선 및 보완 방안, 스마트 물관리 기술 도입 가능성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계획과 실시설계를 통하여 스마트 물관리 인프라가 둘리켈시에 도입될 경우, 물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 및 수질 안정성 확보, 상수관망에서 수질 및 누수 사고에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인근 카트만두를 비롯한 지방 소도시에도 스마트 물관리 기술적용에 기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atus of Constructed Wetlands in Nepal: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Concerns (네팔에서의 인공습지 적용: 최근 개발 및 향후 고려사항)

  • Gurung, Sher Bahadur;Geronimo, Franz Kevin F.;Lee, Soyoung;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1
    • /
    • pp.45-51
    • /
    • 2017
  • Nepal is a landlocked mountainous country in South Asia, located between China to the north and India to the south, east, and west. As such, wastewater management has becom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roblems in urban area of Nepal. In Nepal, the centraliz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were dysfunctional due to high cost of operation, discontinuous power supply, lack of proper maintenance and proper technical workforce to address the issues. As such, constructed wetlands (CW) were applied to treat various secondary wastewater as alternative to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Generally,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of CW technology depends on proper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active community involvement. This study summarizes information about 26 CW in Nepal. Specifically, factors including data banking, removal efficiency, quality of discharged water, compliance to water quality standard of Nepal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were investigated. Considering removal efficiency per pollutant, Ka-1 achieved the greatest reduction for most pollutant followed by B-1, L-3, Ka-5 and K-1. Nepal has practiced CW technology for more than 2 decades but currently, development of technology was interrupted by the inefficient performance of existing facilities. Public awareness about the technology, natural disaster, unavailability of specified substrate materials, lack of fund for further research and experiments has hindered the expansion of technology. In spite of these concerns, CW was still proven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present wastewater problems in urban areas of Nepal.

The Current Situation and Tasks of Public Health Policies in Nepal - Focus on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Health Workforce and Access to Health Services (네팔 보건의료 정책의 현황과 과제 - 전문 의료 인력의 지리적 분포와 의료서비스 접근성의 관점에서 -)

  • Bu, Hye-Jin;Kim, Yeong-J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2
    • /
    • pp.203-216
    • /
    • 2012
  •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lead to suggestions on public health polic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ccessibility to public health services in rural area through analyzing various health programs and health service system, health care facilities. Nepal's public health policy needs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e health services as well as accessibility to the services to improve population quality.

  • PDF

Comparison on handwashing recognition and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Korea and Nepal (한국과 네팔 중학생들의 손씻기 인식과 실천 비교)

  • Jung, In-Soo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4
    • /
    • pp.63-71
    • /
    • 2018
  • This survey is to compare the handwashing recognition and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Nepal, according to the report that handwashing practice rate of Kore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developed countries. The handwashing survey tools of Korean CDC were used.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using SPSS/Win 23.0,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idential state, disease experience,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of subjects, handwashing practi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epal while higher handwashing recognition of Korea(p<.001). Among contents of handwashing pract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ying methods, number of it with soap, time required, number of receiving education for it, and education methods.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increase handwashing practice rate of Korea, while Nepal's is increasing by supplementing equipment and education even their handwashing recognition was low. This results are from a few middle school students in both countries by convenience sampling, therefore it is needed repeated studies with wider range of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