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네트웍

Search Result 1,033,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Measurement of the Effective Internet Diameter Based on Hop Counts of Effective Connections (실효 접속의 Hop Count에 기반한 인터넷 실효 지름의 측정)

  • 이지웅;김재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745-747
    • /
    • 1999
  • 인터넷이 급성장함에 따라 사용자의 더 나은 서비스에 대한 요구 역시 급증하였다. 네트웍 연구가들은 제한된 네트웍 자원 하에서 오류제어, 흐름 제어, 그리고 폭주 제어를 적절히 수행함으로써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에 대해 연구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연구의 가장 큰 난점 중 하나가 인터넷에는 네트웍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근간이 되는 방법이 기본적으로 지원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고 따라서 네트웍의 구조와 상태, 플로우의 흐름 및 통계 등에 대한 기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오류 제어나 흐름 제어, 그리고 폭주제어 기술을 연구할 때 가장 필요한 자료중의 하나가 네트웍 토폴로지이다. 그 중에서도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거리 정보인 Network Diameter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연구자 임의로 이 값을 할당하거나 혹은 특정 실험실에서만 유효한 Network Diameter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연구자 임의로 이 값을 할당하거나 혹은 특정 실험에서만 유효한 Network Diameter 값을 제시해오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처럼 비객관적이거나 특수값으로만 사용되어 오던 Internet Diameter를 실효 접속에 근거하여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KAIST에서 전세계로 나가는 실측 접속 자료로부터 접속 Hop Count의 분포를 측정하며 이를 통해 타 인터넷 연구에 적절한 자료를 제시한다.

  • PDF

Design of CORBA-based Multi-Agent Model for Distributed Information Service (분산 정보 서비스를 위한 CORBA 기반의 멀티 에이전트 모델 설계)

  • Kim, Kwang-Jong;Ko, Hyun;Lee, Y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27-330
    • /
    • 2002
  • 웹 환경에서 효율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동적 서비스의 다양한 요구 사항들을 만족시키고자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한정적인 네트웍 대역폭으로 인한 네트웍 트래픽 증가 및 서버 시스템의 부하로 안정적인 정보 서비스가 이루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기존의 정보 서비스 형태에 있어 직접적인 사용자에 의한 정보 검색의 형태로만 정보를 서비스 받음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정보 서비스 지원방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분산환경에서 효율적인 정보 검색 과 안정적인 정보 서비스, 네트웍 트래픽 감소를 지원하는 CORBA 기반의 멀티 에이전트 모델을 설계한다. 이는 각 개별 에이전트들이 상호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여 에이전트 간 상호 작용을 통해 네트웍 트래픽 감지를 통한 안정적이고 능동적인 정보 서비스, 검색 시간 및 네트웍 트래픽 감소, 검색 키워드 유지를 통한 정확한 정보 검색 서비스, 시스템 자원의 자동 관리 등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정보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A Study on end­to­end QoS measurement system over IP network (IP 상에서의 종단간 QoS 측정 시스템 연구)

  • 박동규;정재일;이주영;안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100-102
    • /
    • 2003
  • 최근 인터넷 사용의 폭발적인 증가와 업무에 있어서 네트웍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종 사용자들은 좀 더 신뢰성 있는 네트웍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보편적인 인터넷망은 최선형 서비스 (best­effort service)를 모델로 하기 때문에 종단간(end­to­end) QoS(Quality of Service)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네트웍 관리자는 최종 사용자 관점에서 네트웍 성능을 모니터링하여 언제, 어느 구간에서 QoS를 만족시키지 못하는지 파악하기를 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IP 상에서의 전송프로토콜 별 종단간 QoS 측정 방법을 연구하고 네트웍 제공자와 사용자간에 체결한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만족하는지 분석하여 문제 구간 및 노드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조를 제시한다.

  • PDF

An Efficient Synchronization Mechanism Adapting to Dynamic Network Traffic State in Networked Virtual Environments (가상 환경에서 가변적인 네트웍 트래픽 상태를 고려하는 동기화 기법)

  • 홍의숙;이동만;박은광;강경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163-165
    • /
    • 2002
  • 실시간으로 상호 작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성능을 유지하면서 모든 참가자들에게 동일한 뷰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동일한 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 중 하나로, 참가자들은 받은 이벤트를 실행 시각까지 버퍼에 저장하고 모든 참가자들이 동시에 이벤트를 실행한다. 그러나 네트웍상에서 전송 지연 시간 때문에 실행 예정 시각이 지나서 수신된 이벤트 들은 손실된 이벤트로 처리되어 참가자들 간의 일치하지 않는 뷰를 초래하며 손실된 이벤트를 복구하기 위한 오버헤드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동기화기법은 네트웍 트래픽 상태에 따라 재생 지연 시간을 동적으로 정함으로써 네트웍 트래픽이 감소하여 전송 지연 시간이 짧을 경우, 작은 재생 지연 시간을 적용하여 상호 작용 성능을 높여주고 네트웍상에 트래픽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재생 지연 시간을 늘림으로 상호 작용 성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벤트 손실율을 줄이고자 한다. 실험을 통해 이 기법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알아본다.

  • PDF

A Study on the Dynamic Resource Provisioning in the DiffServ Domain (DiffServ 도메인에서의 동적 자원 할당에 관한 연구)

  • Kim, Jin-Cheol;Lee, 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613-1616
    • /
    • 2000
  • DiffServ 네트웍 모델은 기존의 Best Effort 서비스를 지원하는 IP 네트웍에 차별화된 서비스를 지원 할 수 있는 IP QoS를 무리없이 도입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DiffServ 네트웍은 IntServ에서와 같은 Scalability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Edge-to-Edge QoS를 지원하기 용이한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순화시킨 네트웍 구조에서 여러 가지 QoS 요구 특성을 가지는 트래픽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네트웍 자원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 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요구에 따라 효율적인 자원 할당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자원 활용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밀하고 동적인 자원할당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Intra-domain의 Edge-to-Edge Path 상에 있는 노드에서의 트래픽 부하 측정을 바탕으로, DSCP 제어 코드를 사용한 탐색 패킷을 통하여 Intra-domain의 부하 및 자원 할당 수준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Admission Control을 중심으로 한 Resource Provisioning을 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liable Network RAM on Linux (안정적인 네트웍 램의 설계와 구현)

  • 황인철;정한조;맹승렬;조정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709-711
    • /
    • 2001
  • 기존 운영체제들은 물리적 메모리보다 더 많은 양의 메모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가상 메모리 페이징 시스템을 사용한다. 가상 메모리 페이징 시스템에서는 물리적 메모리가 부족해지면 그 내용을 저장시킬 수 있는 스왑 장치를 필요로 하는데, 기존 운영체제들에서는 디스크를 스왑 장치로 사용한다. 디스크는 물리적 메모리에 비해 그 접근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스왑핑이 일어나면 물리적 메모리의 접근 시간에 비해 엄청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여러 대의 컴퓨터를 빠른 네트웍으로 묶는 클러스터 환경에서는 디스크의 접근 시간보다 네트웍을 통하여 다른 워크스테이션의 메모리에 접근하는 시간이 더 빠르기 때문에 유효한 다른 워크스테이션의 메모르를 스왑 공간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네트웍 램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Linux 운영체제에서 스왑 장치 관리자로 네트웍 램을 설계, 구현하여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안정성 제공 방법을 제시하고 기존에 제시된 안정성 제공방법들과 비교, 평가하였다.

  • PDF

Distributed Fault-Tolerant System using Dual Channel Ethernet (이중 채널 이더넷을 이용한 분산 결함 허용 시스템)

  • 최보곤;김진용;함명호;신현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307-309
    • /
    • 2002
  • 고가용성 및 고신뢰성의 분산 결함 허용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서 다룬다. 이 시스템은 관리자 노드와 작업 노드 풀로 노드들을 구성하고, 각각의 노드들은 결함 허용 네트웍을 통해 통신을 하게 된다. 이 결함 허용 네트웍은 두 개의 네트웍이 중복되게 구성되어 한 네트웍의 결함 시에도 정상적인 데이터 교환을 보장한다. 여기서 중복된 네트웍을 위한 결함 검출 복구 기법이 필요하고 이들 관리자 노드와 작업 노드들의 관리를 위해 결함 허용 미들웨어가 포함된다. 미들웨어의 기능에 적응형 결함 허용 기법을 도입하여 실행 시간에 결함 허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결과적으로 보다 높은 가용성과 신뢰성의 결함 허용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Multi Event Server Architecture for Hierarchical Event Service under Ubiquitous Network Environment (유비쿼터스 네트웍 환경에서 계층적 이벤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이벤트 서버 아키텍처)

  • 신준헌;박준호;강순주;최준용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9 no.4B
    • /
    • pp.424-434
    • /
    • 2004
  • Ubiquitous network consists of various devices using several heterogeneous protocols and requires seam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This paper proposes a new hierarchical event service and multiple event server architecture to implement the service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The proposed event service classifies devices by logical and physical location to abstract the idiosyncrasy of used protocols, and reduces network load. Due to the design consideration, the proposed architecture removes transfer of duplicated event data effectively. As a result, we can guarantee the reliable event delivery. The prototype multiple event server architecture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oposed idea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under a home network test bed.

A Study on Flow Control of Network Systems with LonWorks (LonWorks를 이용한 네트웍 시스템의 플로우제어에 관한 연구)

  • Kim, Byeong-Hui;Jo, Gwang-Hyeon;Park, Gyeong-Seop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37 no.5
    • /
    • pp.13-21
    • /
    • 2000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by applying flow control to LonWorks-based network systems which support various communication media together with interpretable class of systems. To this end, we introduce a circular queue at each node of industrial network systems usually operated in open loop. Then we utilize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number of data in a queue, the data arriving interval in a queue and channel error to make the overall industrial network system in closed loop. We verify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network systems in view of throughput and fairness measures via the experimental results conducted in several field situation.

  • PDF

Power Based Dynamic Clustering Scheme for Ad Hoc Networks (애드 혹 네트웍을 위한 전력 기반 동적 클러스터 구성 방법)

  • Lee, Jong-Ho;Youn, Hee-Yong;Lee, Hyung-Su;Jeon, Ki-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1209-1212
    • /
    • 2003
  • 애드 혹 네트웍(Ad Hoc Networks)은 유선 기반 망을 배제한 완전한 모바일 네트웍이다. 이동성이 큰 애드 혹 네트웍 노드간에는 경로 설정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라우팅 패킷이 전송된다. 라우팅 방법은 소스 전송 요구에 따른 요구 기반 라우팅과 주기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하는 테이블 기반 라우팅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이 두가지 방법을 혼합한 라우팅을 사용할 수 있는데, 기존의 연구에서 동등한 노드의 자원과 역할을 가정하기 때문에, 실제 네트웍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를 이용한 라우팅 방법을 제안한다. 단순한 클러스터를 이용한 노드 관리는 클러스터 구성에 따른 관리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클러스터 구성 노드의 적정 수준을 유지하고, 전파 자원이 충분한 글러스터 선출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네트웍 전체의 관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은 NS2 [12]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시간동안 노드가 잔여 전력에 따라 클러스터 멤버의 수와 Hello Packet 의 주기를 변화 시킴으로써 노드의 생존성을 보장하고, 최적을 클러스터 구성할 수 있는 노드 수를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