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네트워크 제어 플랫폼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 상수관망 수질관리 운영플랫폼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rt pipe network operating platform focused on water quality management)

  • 박대희;김주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3-453
    • /
    • 2023
  • 상수관망의 수질사고와 이상상황 발생시 대응을 위해서는 급수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수질측정기, 정밀여과장치, 재염소주입설비, 자동드레인 등의 계측·제어설비들 간의 유기적인 정보공유를 통한 제어를 필요로 한다. 스마트 상수관망 운영플랫폼은 이러한 인프라 시설의 운영방안을 고려하여 분산되어 있는 계측데이터를 통합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상수관망 운영플랫폼은 능동형 분석 제어기술을 도입하여, 스마트 상수관망 인프라 설비를 최적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통합운영 플랫폼은 PostgreSQL, PostGIS, GeoServer, OpenLayer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플랫폼은 계측감시, 시설관리, 운영제어 등의 기능으로 구성되며, 상수도 업무지원을 위한 관망해석 및 네트워크 분석 기능을 지원한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을 통해 구축한 유량·수질모니터링 장비와 수질관리를 위해 도입된 재염소, 자동드레인 설비의 운영상태를 실시간 조회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관망해석 프로그램 그리고 대상설비의 최적제어를 위한 운영관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측정되고 있는 유량, 수압, 수질, 펌프운전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망해석 프로그램은 EPA_Net모형과 연계되어 관망수리·수질해석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재염소설비의 염소 추가주입이나 자동드레인을 통한 배제시 나타나게되는 관의 수리·수질변화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분석하고 결과를 가시화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운영관리 프로그램은 재염소 주입이 필요할 경우 주입량의 산정하는 부분과 관망 파손이나 수질사고 발생시 최적 단수예상지역을 도출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스마트 상수관망의 능동형 수질관리를 추진하는 지자체에 도입하여 인프라운영관리 기술 확보 및 수질관리 능력 개선과 실시간 감시 및 위기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AV를 이용한 무인정찰 센서 네트워크 플랫폼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Sensor Network Platform us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

  • 이상수;박노성;박지훈;민롱팜;파티오즈투르크;뒤백뷔;김대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C)
    • /
    • pp.653-655
    • /
    • 2003
  •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군의 무인정찰 응용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해서, 무인항공기 (UAV, Unmanned Aerial Vehicle)와 정찰 기지국, 그리고 탐지 센서네트워크와 제어 센서네트워크로 구성된 무인정찰 센서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하고, 그 구현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IEEE 802.15.4a 기반 다중 이동 로봇용 원격제어 플랫폼 설계 (Design of an IEEE 802.15.4a-based Remote Control Platform for Multi-Robots)

  • 남영진;박영균;남민석;김창훈;김종완;이상철;강진규;이동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81-18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a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중 이동 로봇을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제어하기 위한 플랫폼을 설계하고 그 기본기능을 검증한다. 제안한 원격제어 플랫폼은 IEEE 802.15.4a 기반의 최초의 원격제어 플랫폼으로서 그 의의를 가지며, 자동 스페이싱(auto-spacing)을 기반한 다중 로봇 그룹이동과 IEEE 802.15.4a의 거리측정 기능과 초음파 및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상대각측정 기능을 이용한 협동위치인식(cooperative localization) 기능을 제공하는데 기존 기법들과의 차별성이 존재한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활성 패턴 분석을 통한 부정 앱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egative App Detection from Active Pattern Anlysis in Android Platform)

  • 이창수;황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835-838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의 폭팔적인 증가와 함께 사용 환경개선도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Wi-Fi 존의 증가와 LTE같은 빠른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중심의 수 많은 앱을 탄생시키고 있다. 안드로이드는 애플의 iOS와는 다른 오픈소스 정책으로 플랫폼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 많은 개발자가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안드로이드는 앱(App) 검증 체계가 미흡하기 때문에 악성코드 등으로 인한 위협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파일 시스템은 임의적 접근제어방식으로 공격자가 취약점을 통해 관리자 권한을 얻어 시스템 자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위협요소가 다분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앱이 호출하는 시스템 API 및 네트워크 자원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부정 앱을 차단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API호출 빈도 및 자원 사용률이 최소 기준치 이하로 검출된 경우를 제외한 평가대상은 모두 검출하여 보안성 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IoT 네트워크의 트래픽 쉐이핑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IoT Network Traffic Shaping Scheme)

  • 최창원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75-81
    • /
    • 2023
  • IoT 네트워크는 다양한 기기들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은 응용 분야나 플랫폼 설계, 보안 적용 등의 분야에서 수행되었지만 IoT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IoT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싱크 노드)가 처리하는 트래픽을 유형별로 제어할 수 있는 트래픽 쉐이핑 기법을 제안하고 이 모델을 수치해석 방법으로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기법의 적합성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트래픽 쉐이핑 기법은 실시간 트래픽을 중심으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와 비실시간 트래픽을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로 구분하고 무선 방식이 대부분인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하고 전송 처리율을 구하였다. 실험 결과 수치 해석적 분석과 시뮬레이션이 유사한 결과를 보임으로써 제안된 트래픽 제어 기법의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고 NXT의 제어를 위한 로보이드 스튜디오의 응용 (Application of ROBOID Studio to the control of LEGO NXT)

  • 임준원;이상훈;김종복;김경진;서일홍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51-352
    • /
    • 2008
  • 네트워크 기반의 씬 클라이언트 로봇은 내장된 리소스가 부족하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이를 극복하려는 로봇이다. 씬 클라이언트 로봇에는 부족한 내장 리소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디바이스 맵 프로토콜과 로봇 제어 및 개발 플랫폼으로써 로보이드 스튜디오가 제안되어 있다. 현재 로보이드 스튜디오는 공개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다양한 로봇을 지원하지만, 아직은 실제 지원되는 로봇의 종류가 부족하다. 따라서 새로운 로봇에 대한 이식 지원 방법과 다양한 이식 환경 속에서 문제점을 찾아 해결해야 한다. 우리는 첫 번째로 씬 클라이언트 로봇보다는 내장 리소스가 풍부하며, 광범위한 사용자층을 갖고 있는 LEGO NXT를 선택하여 로보이드 스튜디오 운영 및 개발 환경의 이식 절차를 제안하고, 로보이드 스튜디오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 로봇 제어 기술의 성능을 검증한다.

  • PDF

제어시스템 플랫폼 취약점 스캐너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ols for Control System Platform Vulnerability Scanner Development)

  • 오광선;류재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02-205
    • /
    • 2016
  • 취약점 스캐너(Vulnerability Scanner)는 이름 그대로 기업의 네트워크나 시스템(컴퓨터, 서버, 라우터 등)을 스캔하고 오픈 포트, 활성화된 IP주소와 로그온, 운영체제, 설치되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등을 식별하고 보고하는 도구이다. 가용성과 데이터의 신뢰성이 우선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제어시스템 환경에서는 이러한 취약점 스캐너 도구의 사용은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저자는 기존에 상용화된 스캐너 제품의 취약점 식별 방법을 분석하고 현재까지 발표된 제어시스템 풀랫폼의 공개 취약점 정보를 이용하여 폐쇄적인 제어시스템 운영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제어시스템 플랫폼 취약점 스캐너를 제안한다.

서비스 분배관리 시스템에서의 듀얼모드 서비스 라이프 사이클 관리 방법 (The Method of Dual-mode Service Lifecycle Management in Service Delivery & Management System)

  • 이일우;정찬미;박호진;김상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89-192
    • /
    • 2005
  •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와 더불어 홈 네트워크 제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홈 게이트웨이를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의 지속적인 제공과 업그레이드 등을 위해서는 개방성 및 확장성을 갖춘 서비스 분배관리 플랫폼 (Service Delivery & Management Platform)이 필수 요소가 된다. 서비스 분배관리 플랫폼은 홈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기능 뿐아니라. 홈 게이트웨이상에 다운로드된 서비스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개발한 서비스 응용을 서비스 플랫폼에 등록하고, 서비스 분배라는 행위를 거쳐 홈게이트웨이의 프레임워크상에 다운로드되며, 해당 서비스 응용은 설치와 동시에 구동되면서 서비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에서는 홈네트워크 서비스 분배관리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서비스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pull 방식의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관리자에 의한 push 방식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지원하는 서비스 분배관리 시스템의 구조 및 시나리오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최적의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창호 플랫폼 (Smart Windows and Doors Platform for Providing Optimized Inner Environment)

  • 조용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64-469
    • /
    • 2015
  • 본 논문은 방범과 쾌적한 실내 환경 유지를 위한 창호의 상태와 실내외 환경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원격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창호시스템 플랫폼을 제안한다. 특히 보안 분야, 안전 분야, 가전기기 제어와 같은 홈서비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스마트 창호 플랫폼과 스마트 홈 플랫폼 사이 표준 API를 제안한다. 제안된 플랫폼 기반으로 언제 어디에서나 방범 및 환기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격 자동개폐 및 감시를 위한 유무선 통신인터페이스의 창호시스템 전용 게이트웨이를 개발하였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창호의 개폐 상태 감시 및 원격제어를 위한 웹과 앱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각각 개발하였다.

LED를 사용한 무대 표현 기술 확장을 위한 디지털 의상 플랫폼 (Digital Costume Platform for the Expansion of Stage Representation Technology using LEDs)

  • 오승원;한민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52-59
    • /
    • 2012
  • 최근 LED는 조명, 광고판,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공연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대 의상에 LED 기술을 융합시키는 방법을 다룬다. 우리는 공연 환경의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무선 네트워크, 임베디드 시스템, 컨트롤 재킷, 디지털 스킨, 패턴저작도구로 구성된 디지털 의상 플랫폼을 제안하며, 이것은 LED 조명 효과를 가진 디지털 의상을 만드는데 활용된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고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LED 빛의 색 변화를 제어한다. 임베디드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끼 형태의 컨트롤 재킷은 임베디드 시스템과 LED를 연결하는 커넥터 역할을 하고, LED가 디자인된 외피 개념의 디지털 스킨은 연출가의 의도에 따라 의상에 디자인된 LED에 의해 그 자체로 발광체가 된다. 패턴저작도구는 타임라인 기반으로 LED 빛의 색이 변화하는 다양한 패턴들을 만드는 것을 도와준다. 디지털 의상은 새로운 형식의 움직이는 조명으로 활용되며 무대 표현 기술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우리는 디지털 의상 플랫폼을 적용한 디지털 의상을 제작하여 실제 공연에서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의상 플랫폼의 안정적인 사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