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네트워크확장

Search Result 2,30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Performance of Dilated Banyan Networks with Internal Buffers (내부 버퍼가 있는 확장 배년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 Song, Hyo-Jeong;Gwon, Bo-Seop;Yun, Hyeon-Su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6 no.5
    • /
    • pp.595-601
    • /
    • 1999
  • 기본 배년 네트워크의 내부 링크를 확장계수배만큼 확장한 확장 배년 네트워크는 기존 병렬처리 컴퓨터나 ATM 스위칭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통신하부구조로서 여겨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각 스위치 소자 내부 버퍼가 있는 확장 배년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모델을 마코프 체인에 기초하여 제안한다. 제안한 분석모델에 의해 도출된 네트워크 지연시간과 정규처리율의 값을 모의실험결과와 비교하고, 네트워크 부하가 높고 확장계수가 작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두 결과값이 항상 일치함을 보인다. 이러한 확장 배년 네트워크는 스위치의 크기와 관계없이 확장 계수가 3 이상이면 이상적인 처리율과 지연시간을 나타낸다.

Realizing Networks in Virtual Private Networks on the Single Line (가상 사설망을 통한 단일회선에서의 네트워크의 구현)

  • Ryu, Ho;Hwang, Do-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503-1506
    • /
    • 2002
  • 현재, 네트워크는 컴퓨터 환경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면서 거대한 인터넷의 경계도 끝없이 확장되고 있다. 인터넷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라고 일컬어진다. 즉, 인터넷은 사설 혹은 공용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연결된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이다. 하지만 이러한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한 공통된 약속된 주소를 가져야만 한다. 그러므로 전 세계의 모든 호스트를 연결하는 데는 물리적 한계가 있으며 현재 인터넷 주소체계의 한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진정한 의미의 인터넷은 네트워크의 무한한 확장에 있다고 생각했을 때 현재의 방식은 인터넷의 진정한 의미에 부합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IP의 공유를 통한 현재의 네트워크의 효율성 제고 및 서브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구축이 네트워크의 개선을 이룰 수 있음을 증명한다. 그리고 TCP/IP 기반의 인트라넷 통신의 확장, 이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제시해 단일회선 이하에서 네트워크를 구현하고 이의 이용에 관해 제시한다.

  • PDF

Economic Design for Expanding Networks Using Hybrid Genetic Approach (하이브리드 유전자 접근방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경제적 설계)

  • Yum Chang-Sun;Bae Sang-W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8 no.1
    • /
    • pp.8-15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백본 네트워크의 경제적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 연구에서의 네트워크 확장은 기 설치된 네트워크에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노드의 추가 외에 기 설치된 링크의 용량확장 까지를 고려하는 경제적 확장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경제적 네트워크 확장은 기 설치된 네트워크와 perform-ability를 제약조건으로 하면서 비용을 최소화하는 문제로 표현된다. 효율적인 해의 탐색을 위해 이진과 K진이 혼용된 하이브리드 유전자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Expansion Method Using Bridge Module in e-Textile Fabric Area Network (e-Textile Fabric Area Network에서 브릿지 노드를 이용한 네트워크 확장 방식)

  • Noh, KyeongJu;Lee, HyunSun;SunWoo, Jhon;Cho, Ill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9-180
    • /
    • 2009
  • 본 논문은 웨어러블 플랫폼 구성 기술로써 e-Textile Fabric Area Network (e-FAN) 시스템을 소개하고, e-FAN 시스템에서의 브릿지 노드를 이용한 네트워크 확장 방법을 제안한다. E-FAN 은 직물 소재의 제품에 센서, 엑츄에이터, 프로세서 등의 다양한 정보 처리 유닛이 전도성사로 연결되는 구성되는 네트워크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e-FAN 시스템에서의 e-FAN 브릿지 노드 (e-FAN Bridge Node; eFANBN)을 활용한 네트워크 확장 방법을 제시한다. E-FAN 브릿지 노드를 활용한 네트워크 확장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도성사를 통신 매질로 하는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통합하여 내고장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로 확장한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XML Schema for In-vehicle Networks (차량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XML 스키마 설계 및 구현)

  • Yun, Sang-Du;Kim, Jin-Deo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11
    • /
    • pp.2527-2534
    • /
    • 2010
  • The vehicle consists of a variety of in-vehicle networks and each network uses its own protocol. It mak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eterogeneous networks and the extension of a new vehicle network difficult. It is also difficult t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between the networks. Therefore, a method for communication and extension between in-vehicle networks is essentially required. In this paper, a XML schema which focuses on the communication and extension of the networks is proposed. It is based on a standard protocol. We also implement the XML, builder and parser tool. The implement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a is in the capacities of communication and extension. It also shows that each message from the existing vehicle networks is matched well with the corresponding intelligent service.

An Efficient Algorithm for Betweenness Centrality Estimation in Social Networks (사회관계망에서 매개 중심도 추정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

  • Shin, Soo-Jin;Kim, Yong-Hwan;Kim, Chan-Myung;Han, Youn-He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4 no.1
    • /
    • pp.37-44
    • /
    • 2015
  • In traditional social network analysis, the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 has been heavily used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nodes. Since the time complexity to calculate the betweenness centrality is very high,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t it of each node in large-scale social network where there are so many nodes and edges. In our past study, we defined a new type of network, called the expanded ego network, which is built only with each node's local information, i.e., neighbor information of the node's neighbor nodes, and also defined a new measure, called the expanded ego betweenness centr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lgorithm that quickly computes expanded ego betweenness centrality by exploiting structural properties of expanded ego network. Through the experiment with virtual network used Barab$\acute{a}$si-Albert network model to represent the generic social network and facebook network to represent actual social network, We show that the node's importance rank based on the expanded ego betweenness centrality has high similarity with that the node's importance rank based on the existing betweenness centrality. We also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omputes the expanded ego betweenness centrality quickly than existing algorithm.

Non-Equal Region Split for Efficient Scalability of Multi-dimensional Sensor Data Storage (다차원 센서 데이타 저장의 효율적인 Scalability를 위한 비균등 영역 분할)

  • Jeon Sang-Hun;Kang Hong-Koo;Hong Dong-Suk;Park Chun-Geol;Han Ki-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d
    • /
    • pp.34-36
    • /
    • 2006
  • 데이타 중심 저장 방식의 센서 네트워크는 비슷한 값의 데이타를 같은 센서 노드에 저장한다. 따라서 센서 네트워크가 확장되고 비슷한 값의 데이타가 빈번히 발생 시 하나의 센서 노드에 저장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데이타 중심 저장 방식에서 센서 데이타 저장 기법들은 저장 데이타의 효율적인 관리에만 치우쳐 센서 네트워크의 확장 시 하나의 센서 노드에 저장이 집중되는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센서 네트워크의 확장 시 다차원 센서 데이타 저장의 효율적인 scalability를 지원하는 비균등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센서 네트워크를 센서 노드의 분포에 따라 같은 센서 노드 개수를 갖는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 내에서 측정된 센서 데이타를 해당 영역에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센서 네트워크의 확장에 따른 저장 비용을 줄였다. 그리고, 생성한 영역 개수를 센서 네트워크의 크기와 센서 노드의 개수, 발생하는 데이타의 양에 따라 증가시킴으로서 전체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모가 분산되어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과 scalability가 향상되었다.

  • PDF

Transmission Capacity of Wireless Ad-Hoc Networks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최대 전송 용량 확장)

  • Lee, Yong;Lee, Goo Ye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49 no.9
    • /
    • pp.11-17
    • /
    • 2012
  • Capacity is a traditional issue in wireless network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service quality of network providers, therefore it is a main interest of them. Especially, when a big match of sport game or a special event are held in a place and a large crowd temporarily gathers, a need of big transmission capacity greater than usual usage in the area is required, where network providers need a scheme to temporarily expand network capacity in any specified area. This paper focuses on temporary expansion of wireless network capacity for such situations. In this paper, we first investigate maximum transmission capacity of wireless ad-hoc networks. In the investigation, we consider a network topology with regularly located nodes. For the topology, we investigate the maximum transmission capacity with RTS/CTS medium access protocol, and then we study the maximum transmission capacity without the protocol. Next, we propose a scheme to expand network capacity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we see that our proposed scheme is effective for temporary expansion of wireless network capacity.

Analysis of Model for Data Communication s Long-time Planning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장기적인 계획수립을 위한 모델의 분석)

  • 임재익;김기탁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4 no.2
    • /
    • pp.105-119
    • /
    • 1998
  • 최근에 이르러 정보 통신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고 있으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장기적인 투자의 관점에서 효율성을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기존의 네트워크를 확장해나가거나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할 때, 미래의 수요 및 신기술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네트워크를 설계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데이터 통한 네트워크의 장기적인 확장계획 수립의 문제를 분석적으로 다룬 최초의 논문이라고 할 수 있는 Dutta & Lim[4]의 기존 연구를 근간으로 하되 라우팅방법을 바꾸어 라우팅에 따른 해의 민감도를 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설계 및 확장계획 수립을 위한 효율적인 해를 찾아내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The Dynamic Effects of Subway Network Expansion on Housing Rental Prices Using a Modified Repeat Sales Model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 확장이 아파트 월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정반복매매모형을 중심으로 -)

  • Kim, Hyojeong;Lee, Changmoo;Lee, Jisu;Kim, Minyoung;Ryu, Taeheyeon;Shin, Hyeyoung;Kim, Jiyeo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1 no.2
    • /
    • pp.125-139
    • /
    • 2021
  • Continuous subway line expansion over the yea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has contributed to improved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Since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ousing decisions, quantitativ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housing prices an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planning better housing policies. This study defines the reduction of traveling time resulted from the construction of new metro stations despite them not being the closest stations as 'Network Expansion Effect', and seeks to understand how the Network Expansion Effect impacts on housing prices. The study analyzes monthly rent data converted from upfront lump sum deposit, so called Jeonse in Korea, from 2012 to 2018, through 'A Modified Repeat Sales Model.' As a result, the effect of 'Network Expansion' on rental prices in Seoul has stronger during the period of 2017 to 2018 than the base period of 2012 to 2014, which suggests the 'Network Expansion' has a meaningful effect on rent. In addition, in comparison between the most and the least affected group of apartments by 'Network Expansion Effect', the most affected group has more price increase than the least affected group. Thes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different levels of 'Network Expansion Effect' have various influences on the value of residential real estate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