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네트워크도시

Search Result 63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Music Creative City through PCSI Model (PCSI모델을 통한 지역문화예술 발전방향에 관한 만족도 연구 - 대구 음악 창의도시를 중심으로)

  • Mooon, Jay-Young;Lee, Chi-Woo;Lee, Sae-B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431-432
    • /
    • 2021
  • 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는 문화예술 분야에서 국제 수준의 경험이나 지식, 전문기술을 가진 창의도시 간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우리나라 7개 분야에서 총 8개의 창의도시가 존재하며, 대구의 경우에는 음악 창의도시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음악 창의도시 대구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PCSI 모델을 기반으로 한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PCSI 2.0 모델을 기반으로 서비스 내용 품질, 서비스 전달 품질, 서비스 환경 품질, 사회적 책임, 불일치, 성과 그리고 만족도라는 변수를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 가지 품질과 사회적 책임 및 불일치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만족도는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구가 창의도시로서 역할 정립을 새롭게 하고 발전방안을 수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urban catchment characteristics focusing on urban drainage network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s (네트워크 특성과 불투수면적의 공간적 분포를 중심으로 한 도시유역 특성 분석)

  • Kim, Kyungjae;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4-154
    • /
    • 2016
  •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 발전과 함께 빠르게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해 도시지역 침수에 대한 위험이 야기되고 있다. 배수관망 체계는 지역 내의 강우를 빠르게 배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전해 왔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2010년, 2011년과 같이 반복적인 침수로 인명과 재산 피해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과 2011년을 기준으로 침수된 서울시 100개의 유역을 선정하고 깁스모형을 적용하여 침수지역을 중심으로 한 배수관망체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각 유역의 IA(Impervious Area)와 DCIA(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를 근거로 불투수면적의 공간적 분포 특성도 분석하였다. 깁스모형을 이용한 네트워크 특성과 불투수면적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근거로 침수지역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 지역의 배수관망의 효율성을 판단하고 지역 특성에 최적화된 배수관망체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The Effect of Road Networks on Urban Resilience in Flooding (도시침수 시 도로네트워크가 도시회복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Hyung Jun Park;Dong Hyun Kim;Hyun Jung Lee;Seung Oh L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6 no.2
    • /
    • pp.85-98
    • /
    • 2023
  • Flood is one of the most frequent natural disasters worldwide. In Korea, the probability of urban flooding is greatly increasing due to complex factors such as global warming, an increase in impervious areas, and limitations in expanding water supply facilities in existing urban areas. However,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works to prevent urban inundation are socially and economically difficult to obtain national consent. Recently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which is the ability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a disaster through rapid recovery while preparing for natural disasters to a level that the local community can afford socially and economically, is increasing. Accordingly, various studies on urban resilience have been conducted, but the resilience measurement method related to the lifeline that provides essential services of the city is insufficient. However, among lifelines, road networks are important facilities for the transportation of recovery resources and rapid recovery in the event of a natural disaster, so road networks are a major factor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the degree of recovery of a city in the field of natural disaste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covery evaluation metho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lience and road networks in the urban flooding field and analyzes the effect of road networks on urban resilience.

A Study about Authentication Method on the uMC (uMC에서의 인증방안에 관한 연구)

  • Jin, Kwang-Youn;Suh, Jang-Won;Choi, Sin-Hye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663-665
    • /
    • 2009
  • 현대 사회는 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중에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정보화 기기가 소형화, 지능화됨에 따라 이 기기들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uMC는 도시의 모든 기반 시설물을 관리, 관제하고 운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도시 통합관제 센터로 기존의 소방 방재센터, CCTV, 경찰청 등의 단위 시스템별 관제 센터 등을 물리적으로 통합하고 모든 시설물과의 네트워크 통신 등을 통합 관리하는 도시 관리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uMC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접근 및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단말기기에 효율적으로 IP를 할당하고 인증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 PDF

A Study of Necessity of Test Laboratory for R&D of u-City (u-City 기술개발을 위한 Test Lab의 필요성 연구)

  • Oh, Yoon-Seuk;Nam, Sang-Kwan;Choi, Hyun-Sang;Ryu, Se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19-122
    • /
    • 2008
  • u-City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개념이 수립되어 현재 32개 도시에서 건설중이거나 계획되어 있다. u-City는 도시건설에 있어 첨단 IT기술을 적용함으로서 도시내의 사물과 정보가 연결됨으로서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제도가 만들어져야 하고, 기술의 표준이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도 첨단 IT 기술이 도시라는 변화를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공간에서 각 사물간의 정보를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인 센서와 센서네트워크를 개발을 위해서는 기술개발 단계에서 실증실험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상시설물 및 지하시설물의 센서 및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Test Lab의 조건과 역할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Enhancement of Integrated u-City Management Platform (u-City 도시통합운영 플랫폼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 Ko, Young-Geun;Seo, Dong-Seob;Lee, Jae-Wook;Seo, Myung-Woo;Baik, Song-Hoo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8a
    • /
    • pp.69-72
    • /
    • 2008
  • u-City 도시통합운영 플랫폼은 u-City 내 교통, 건물, 시설물 등의 첨단화된 기반 시설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체계적으로 통제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시통합운영 플랫폼에 인가되는 부하는 도시 전반에 분산된 센서와 같은 정보원의 규모뿐 아니라 그 정보의 복잡성에도 의존할 수 밖에 없어, 효율적인 도시운영을 위해서는 플랫폼의 성능확보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성능개선의 방법으로는 이미 발생한 부하의 효율적 처리를 통한 개선과 더불어 부하원의 근본적 통제와 같은 우회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네트워크 구조 개선을 통한 부하분산 방법과 더불어 플랫폼의 주 부하원인 센서 네트워크와의 연동방식 개선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u-City 도시통합운영 플랫폼의 성능개선 방향을 고찰한다.

  • PDF

The Changes of Urban System Reflected in Daily Movement: 2005-2012 (일일 인구이동으로 본 국토공간의 도시체계 변화: 2005년과 2012년)

  • Son,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2
    • /
    • pp.203-216
    • /
    • 2015
  •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es of urban system through the network and the flow pattern reflected in daily movement in Korea. Because daily movement reflects trip pattern, urban system formed by inter-city linkages can be recognized in terms of living sphere. While population movements between cities have the number of linkage systems of city network and the number of traffic regions composed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has increased respectively. Nevertheless, spatial extent of Capital region and Busan region has been expanded. In Gangwon-do in which Seoul-oriented high-speed transportation network has developed, separation of living sphere between Yeongdong area and the Soyanggang cultural region formed around Chuncheon was intensified. Living sphere that includes Daejeon and the surrounding cities has been expanded to the southern Gyeonggi-do. The existing living sphere formed in Jeollanam-do was fragmented into the east and west around Mokpo and Suncheon due to the weakened centrality of Gwangju. Living spheres formed by spatial interaction were consistent with regional administrative boundary. Considering the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Seoul and its surrounding cities, the development of global city-region centered on Seoul is expected.

  • PD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and Urban Restructuring of the Incheon City (인천시 공간구조의 특성 변화와 체계적 도시구조 운영 방향)

  • Kim, D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9 no.1
    • /
    • pp.24-34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and to provide the strategies of urban restructuring in Incheon. While old urban center has tended to decline, urban central functions have concentrated towards new suburban centers, outer regions of Incheon. The urbanization of Incheon to outer regions is continuing, together with the population growth. The basic directions of urban restructuring are the formation of network urban structure, the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designation district, the formation of development, and axises for urban regenera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ystematic strategies of urban restructuring need to consider the district development for globalization, the formation of new growth pole and development axises,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theme street, and development to network city for global city.

  • PDF

Limits to the Institutional Formation and Operation for the Network City : A Case Study of Daegu-Gyeongbuk Free Economic Zone (네트워크 도시의 제도적 구성과 운영의 한계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을 사례로 -)

  • Jung, Sung-Hoon;Jung, Hye-Y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3
    • /
    • pp.461-473
    • /
    • 2015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limits to the institutional formation and operation for network city as a case study of Daegu-Gyeongbuk Free Economic Zone (DGFEZ) in the introductory contex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of FEZ in Korea can be characterized by multi-dimensional, vertical or horizontal governance. However, in terms of its implementation process of DGFEZ, the density of the public-private network becomes relatively week, and consequently, the level of participation by local people was not institutionalized in a more collaborative way. With respect to the network city for DGFEZ, while at the initial stage its plan was highly focused up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city, the process of its implementation was based upon a polarization strategy of individual unit and a performance-oriented type. Other evidence for it is tha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DGFEZ changed from development-based throughout investment attraction-focused up to region-based department. Therefore, there are limits to the institutional formation and operation for the network city in the context of DGFEZ.

  • PDF

Development of long-term daily high-resolution gridded meteorological data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에 기반한 우리나라 장기간 일 단위 고해상도 격자형 기상자료 생산)

  • Yookyung Jeong;Kyuhyun B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8-198
    • /
    • 2023
  • 유역 내 수자원 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수문 모델링 뿐만 아니라 미래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학적 기후변화 영향 분석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측 값에 기반한 고품질 및 고해상도 격자형 기상자료 생산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종관기상관측시스템(ASOS)과 방재기상관측시스템(AWS)으로 이루어진 고밀도 관측 네트워크가 2000년 이후부터 이용 가능했기에 장기간 격자형 기상자료가 부족하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연구는 가정적인 상황에 기반하여 만약 2000년 이전에도 현재와 동일한 고밀도 관측 네트워크가 존재했다면 산출 가능했을 장기간 일 단위 고해상도 격자형 기상자료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2000년을 기준으로 최근과 과거 기간의 격자형 기상자료를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모델링하여 과거 기간을 대상으로 기상자료(일 단위 기온, 강수량)의 공간적 변동성 및 특성을 재구성한다. 격자형 기상자료의 생산을 위해 우리나라의 고도에 기반하여 기상 인자들의 영향을 정량화 하는 보간법인 K-PRISM을 적용하여 고밀도 및 저밀도 관측 네트워크로 두 가지 격자형 기상자료를 생산한다. 생산한 격자형 기상자료 중 저밀도 관측 네트워크의 자료를 입력 자료로, 고밀도 관측 네트워크의 자료를 출력 자료로 선정하여 각 격자점에 대해 Long-Short Term Memory(LSTM)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이 때, 멀티 그래픽 처리장치(GPU)에 기반한 병렬 처리를 통해 비용 효율적인 계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1973년부터 1999년까지의 저밀도 관측 네트워크의 격자형 기상자료를 입력 자료로 하여 해당 기간에 대한 고밀도 관측 네트워크의 격자형 기상자료를 생산한다. 개발된 대부분의 예측 모델 결과가 0.9 이상의 NSE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고품질의 장기간 기상자료를 효율적으로 정확도 높게 산출하며, 이는 향후 장기간 기후 추세 및 변동 분석에 중요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