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냉섬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도시녹지와 주민의 삶 - 면적에서 공간의 관점으로 - (Planned Green Space in High Density Residential Zone and Quality of Life : Areal to Spatial Context)

  • 황유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66-680
    • /
    • 2016
  • 본 연구는 1980년대에 이후 개발된 고밀도주거지역 주변에 조성된 도시공원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와 열섬현상은 도시민들의 삶의 질을 위협한다. 도시개발 후 녹지공간을 확대할 수 없는 조건하에서 계속적으로 인접지역에 시설물, 건물, 도로망이 확충되었다. 신도시 건설계획에 따라 조성된 도시공원들을 비교한 결과, 도시계획단계에서 최소한의 녹지를 확보했으나 개발 후 20년 이상 지난 시점에서 주민에게 적절한 녹지공간이 되지 못하며, 녹색섬으로 남거나 냉섬 효과, 녹지연결성, 바람길 통로로서의 기능은 미흡하다. 일부 지역은 재건축이 완료되거나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더욱 더 주민에게 삶의 질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 PDF

대구 도심에 위치한 대규모 녹지공간의 냉섬 강도: 계절변화와 기상조건에의 관련성 (Cool Island Intensity in a Large Urban Green in Downtown Daegu: Seasonal Variation and Relationship to Atmospheric Condition)

  • 박명희;김해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87
    • /
    • 2010
  • Cool island intensity urban green space was investigated based in Dalsung Park, that is one of the largest parks in Daegu. Cool island intensity(CII), which is defined 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green space and its surrounding built-up areas, shows time variations. A through-year measurement(2008-2009) of ground level air temperature revealed seasonal variation and relationship to the atmospheric condition of CII. The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park and the reference downtown Daegu was as same order as CII. The noontime CII is larger in summer than that in winter due to the leaf fall of the park trees. On the other hand, seasonal variation of nighttime CII is not so clear. The nighttime CII was larger under the stable atmosphere.

도농복합도시 온도상승 영향요인 분석 - 경남 밀야시를 대상으로 - (Cause Analysis of the Rising Temperature in Mixed City of Urban and Rural Area - Case of Miryang City, Kyongsangnamdo -)

  • 홍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57-764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이 혼재되어 있는 도농복합도시인 밀양시를 대상으로 도시온도 상승에 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1974년부터 2010년까지 36년간의 온도자료와 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도시환경변화 요소를 살펴보았다. 도시환경변화 요소는 생활패턴의 변화로 나타나는 사회적 요소와 도시 토지이용 변화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측면에서 각각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온도는 연평균기온과 연평균최고기온의 상승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이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으로는 경작지 감소이었다. 일반적으로 경작지의 감소는 시가화지역 확대로 이어지므로 이는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성이 있었다. 경작지의 감소는 평균기온상승보다 한낮의 온도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경작지가 일중 가장 뜨거운 시기에 냉섬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었다. 경작지 면적의 $1km^2$ 감소는 약 $0.08^{\circ}C$의 연평균최고기온 상승을, 연평균기온의 약 $0.06^{\circ}C$ 상승을 유발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대도시에 있어 냉섬의 유형별 온도완화 효과 -대구광역시의 사례 연구- (Effect of Cool Islands on the Thermal Mitigation in Urban Area -Case Study of Taegu Metropolitan City-)

  • 박인환;장갑수;김종용;박종화;서동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8
    • /
    • 2000
  • Taegu is notorious as hot and dry summer among Korea citie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the open space planning is to ameliorate urban climate of the cit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thermal mitigation effect of the cool islands in Taegu metropolitan city. Cool islands of this paper includes parks and rivers surrounded by or adjacent to urbanized area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hermal band of Landsat TM at May 17, 1997, the thermal mitigation effect of open spaces in the cit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Kumho river showed the largest mitigation effect in terms of the width of mitigation zone and temperature difference. Evaporation from wide water surface and evapo-transpiration from riparian grass land could bring into results. Significant mitigation effect of parks covered with forest can be observed. The temperature range of such parks were between 19.05$^{\circ}C$ and 19.44$^{\circ}C$ However, the thermal mitigation effect of Dalsung park and Apsan park was insignificant. The small size and high percentage of hard paving of the former and the relative low density of the residential areas adjacent to the latter could be the main reason. In conclusion, the thermal mitigation effect in urban ope spaces could be detectedby the employment of thermal band data of Landsat TM and GIS buffering technique.

  • PDF

대도시 외곽지역 논경작지의 토지이용 및 피복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모형 연구 (A Study on Temperature Change Profiles by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of Paddy Fields in Metropolitan Areas)

  • 기경석;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27
    • /
    • 2009
  • 본 연구는 도시미기후 측면에서 냉섬 역할을 하는 논경작지의 대규모 택지개발로 인한 도시기온 변화량를 분석하여 논경작지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도시온도 상승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천시 부평구와 부천시의 개발 전 후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1989년 5월 17일과 2000년 5월 7일 위성영상을 산림, 초지 및 식재지, 논경작지, 나지, 시가화 지역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존 인천시 부평구와 부천시 중앙에 넓게 분포하고 있던 논경작지 대부분이 신도시 건설로 인해 시가화 지역과 개발 중인 나지로 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지피복변화 유형별 지표면 온도 변화 현황 분석 결과, 지표면 온도가 높아진 주요 유형은 논경작지에서 나지로 변화된 유형($+1.4939^{\circ}C$), 논경작지에서 시가화 지역으로 변화된 유형($0.9356^{\circ}C$)이었다. 논경작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논경작지 변화지역을 대상으로 블록별 평균 지표면 온도차를 분석한 결과, 1989년 세부 연구대상지는 논경작지였기 때문에 $19{\sim}20^{\circ}C$ 사이의 균일한 온도분포를 나타낸 반면, 시가화 지역으로 변한 2000년 블록별 지표면 온도는 $19.1{\sim}23.9^{\circ}C$로 온도편차가 크고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논경작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도시기온 변화 원인 분석을 위해 지표면 온도 변화량과 도시기온 변화 영향요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녹지율 상관계수는 -0.662로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건폐율, 불투수포장율, 용적율은 지표면 온도 변화량과 상관계수가 +0.231, +0.226, +0.123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논경작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녹지율을 독립변수로 지표면 온도 변화량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 논경작지에서 시가화 지역으로 변화할 경우 녹지율 및 불투수포장율이 0%라 가정할 때 $+3.889^{\circ}C$의 온도 상승이 예상되며 녹지율이 10% 증가할 때마다 $+3.889^{\circ}C$에서 $-0.430^{\circ}C$ 만큼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