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냉각기계

Search Result 1,05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CFD를 이용한 막냉각(Film-Cooling) 해석

  • Na, Sang-Gwon
    • The KSFM Journal of Fluid Machinery
    • /
    • v.11 no.6
    • /
    • pp.64-68
    • /
    • 2008
  • 막 냉각 연구를 위해 CFD를 이용할 때 적용 한계 및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냉각공기공으로부터 분출된 냉각공기가 고온 고속으로 흐르는 주유동과 평판 사이에 벽면을 고온의 가스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위치시킨 막냉각공기 흐름의 형태를 CF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경계조건 및 격자계 그리고 검증 단계의 예까지 서술함으로써 이러한 CFD를 이용할 때 유용하게 적용될 방법들을 제공하였다.

각종 담금제의 냉각성능에 관한 연구 II

  • 민수홍;구본권;김상열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3
    • /
    • pp.419-423
    • /
    • 1989
  • The laboratory quen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plunging a silver cylinder heated to 800.deg. C in to mineral oil and vegetable at given temperature. Experimental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followed Korean Industrial Standard. Colling curves at the boundary of the cylinder measured by a silver-alumel thermocouple is recorded throughout the quenching period. Using the cooling curves, the coolingability of the quenching oils at various temperatures were compared and discussed.

소듐냉각고속로의 고유 계통 특성

  • Lee, Jae-Han
    • Journal of the KSME
    • /
    • v.51 no.12
    • /
    • pp.51-54
    • /
    • 2011
  • 이 글에서는 제4세대 원자로로 다시 부각되고 있는 소듐냉각고속로(SFR: Sodium-cooled Fast Reactor)의 활용성, 계통설계 구성 및 공학적 안전설비에 대하여 가압경수로(PWR: Pressurized Water Reactor)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소개한다.

  • PDF

극저온 냉동/냉각기술

  • Hong, Yong-Ju;Park, Seong-Je;Yeom, Han-Gil
    • Journal of the KSME
    • /
    • v.53 no.4
    • /
    • pp.24-28
    • /
    • 2013
  • 이 글에서는 120 K 이하의 온도를 생성, 유지하기 위한 극저온 냉동/냉각기술 및 관련 국내 기술개발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Liquid Cooled Plate for Cooling of a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with High Heat Generation (고발열 통신용 전자부품 냉각을 위한 고성능 수냉식 냉각판 개발에 관한 연구)

  • Chang, G.;Park, C.M.;Kim, E.P.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1 no.2
    • /
    • pp.26-31
    • /
    • 2007
  • 통신용 전자기기에서 대부분의 열은 증폭기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증폭기를 냉각하기 위하여 공랭식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많은 열을 냉각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방법은 고성능 콤팩트화 되어가는 추세에서 발열되는 열을 충분히 냉각하기는 부족하다. 본 논문은 고발열 전자부품 냉각을 위해서 수냉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냉각판에 직접 냉각수를 흐르게하여 접촉저항을 줄였다. 그리고 냉각판의 유로에 대한 배열과 유량의 비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냉각수 순환량이 $3{\iota}/min$인 경우, 유로 직경이 8 mm일 때의 냉각 성능이 10 mm일 때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냉각수 순환량이 $3{\iota}/min$인 경우, 유로 직경이 8 mm일 때의 발열 소자 표면 온도 분포가 더욱 안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상하부에 설치된 발열 소자 표면 온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동일한 유로 직경의 냉각판에서, 열유속 증가에 따른 냉각수의 전열 성능 증가로 인해 전체 발열량의 증가율보다 발열 소자의 온도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다.

  • PDF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acuum Cooling for Agriculture Products (농산물의 진공예냉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W.O.;Yun, H.S.;Chung, H.;Lee, H.D.;Cho, K.H.;Lee,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202-208
    • /
    • 2002
  • 진공냉각장치의 효율적인 설계를 위하여 파일럿 규모의 진공냉각장치에서 진공압력에 따른 작물별 냉각특성과 운전조작에 따른 냉각특성을 구명하는 요인실험을 실시한 결과 가. 배추와 같이 조밀하게 결구되어 있는 작물은 프레시 포인트로부터 습구온도와 품온에 따라 진공압을 조절함으로서 표면과 심부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고 버섯, 상추와 같이 개체가 작은 작물은 진공압력에 따른 온도편차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나. 포장방법에 따른 냉각 특성에서는 무개공 및 개공율 5% 골판지상자, PE 상자, 6mm 통기공이 있는 필름 포장에서의 냉각속도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0.8mm의 통기공을 가지고있는 필름 포장에서는 냉각속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나 필름 포장을 했을 경우 최소 개공율의 구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 예냉전 농산물 표면에 가수를 했을 경우 배추와 같은 결구성 농산물은 감모율 저하에는 효과적이었으나 무가수에 비해 냉각균일도와 냉각속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버섯에서는 감모율 저하 및 냉각속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Coolingability of Several Quenchants(I) - Coolingability of Selected Aqueous Solution- (각종 담금제의 냉각성능에 관한 연구 I -물을 주성분으로 한 담금제의 냉각성능 평가-)

  • 민수홍;구본권;김상열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3
    • /
    • pp.411-418
    • /
    • 1989
  • Quenching effect depends upon coolingability of quenchant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steel. Study on the coolingability of quenchants is important in cooling process and heat treatment of steel. Experimental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follow Korean Industrial Standard. Distilled water, different concentration of NaCl, NaOH and Na$_{2}$CO$_{3}$ solutions were compared. Also the effect of temperature of distilled water were calculated. Experimental results were examined with F.E.M. analysis.

기술현황분석 - 쥴톰슨냉동 기술

  • Hong, Yong-Ju;Go, Jun-Seok;Kim, Hyo-Bong;Park, Seong-Je
    • 기계와재료
    • /
    • v.23 no.3
    • /
    • pp.156-163
    • /
    • 2011
  • 쥴톰순 냉동기는 스터링 냉동기, GM 냉동기, 스터링형 및 GM형 맥동관 냉동기 등 기계적 극저온냉동기에 비해 단순한 구조, 수 초의 급속한 냉각특성을 장점으로 중대형의 가스액화사이클 뿐만 아니라 적외선검출기의 급속냉각, 저온수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100K 이하의 작동온도 및 수 초 수준의 빠른 냉각을 요구하는 적외선검출기의 냉각을 위해서는 수 백기압 이상 고압의 질소 및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는 쥴톰슨 냉동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쥴톰슨 냉동기는 핀-관(fin-tube) 형태의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의 구조적 기반을 제공하는 멘드렐(mandrel), 쥴톰슨 노즐 등으로 구성되며,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 및 유량조절기구의 특성은 냉동기 저온부의 냉각온도, 냉각시간 및 운전시간에 큰 영향을 미친다.

  • PDF

Comparison Between Direct- and Indirect-Cooling Core Catchers (직접냉각방식 및 간접냉각방식 Core Catcher의 성능비교)

  • Suh, Jung-Soo;Lee, Jong-Ho;Bae, Byung-H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6 no.10
    • /
    • pp.1043-1047
    • /
    • 2012
  • The European nuclear design requirements, which should be satisfied by nuclear reactors in Europe, usually recommend a so-called core catcher, which is a molten core ex-vessel cooling facility, to manage a severe accident at a nuclear reactor. Two different types of core catcher concepts are compared to determine their abilities to manage severe accidents and cool core melts. The study reveals that direct cooling is better for cooling capacity and is convenient to construct, while indirect cooing is better for the management of a severe accident.

A Development of Counter Flow Type of Cooling System for Effective Panel Cooling (효과적인 패널 냉각을 위한 대향류형 냉각장치의 개발)

  • Lee, Joong-S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3
    • /
    • pp.802-807
    • /
    • 2010
  • The high efficient and cooling system is very important to the control panels of electrical distributors, and Industrial automated system including computer. Also, it can be used widely in various industrial systems such as industrial robots,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ing center, and so on. The cooling method which flowing gasses were forced to circulate by compulsion was adapted in this study. then development of counter flow type of cooling system for effective panel cooling. In the present study, fin assembly was developed for this cooling system. As results, the developed system has the improvements of cooling performances and radiant heat ratio. Its increasing of airflow mass is about 20%, and radiation rate of heating is twice or more as high as the conventiona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