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후성 지수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내후성강재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성질에 관한 통계적 분석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 Mechanical Properties of Weathering Steels)

  • 경갑수;권순철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47-157
    • /
    • 2003
  • 최소유지관리의 LCC관점에서 강구조물에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내후성강재를 대상으로 Mill Sheet를 수집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화학성분, 기계적성질, 용접성지수, Weathering Index 및 충격흡수에너지에 대해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내후성강재의 화학성분, 기계적 성질 및 충격흡수에너지는 분산의 폭이 약간 크게 나타났으며 KS에서 규정하는 기준값을 충분히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용접성지수 및 Weathering Index는 일본 도로교시방서 및 ASTM의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국내 내후성강재의 품질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광경화형 Pentaerythritol 변성 초분지형 아크릴레이트의 합성과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hotocurable Pentaerythritol Modified Hyperbranched Acrylate)

  • 김동국;임진규;김우근;허정림
    • 폴리머
    • /
    • 제29권3호
    • /
    • pp.237-241
    • /
    • 2005
  • 다양한 pentaerythritol 유도체에 대한 trimellitic anhydride와 glycidyl methacrylate를 반응하여 세 종류의 8관능 광경화형 pentaerythritol 변성 초분지형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TGA로 측정한 UV 경화필름의 열 안정성은 pentaerythritol에 ethoxylate 또는 propoxylate가 부가되지 않은 pentaerythritol 단독을 사용한 HBMA-1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HBMA-1은 경도, 내마모성 및 인장강도도 우수하였으며, 내후성 테스트에서도 황변 지수인 yellow index 값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광경화형 Dimethylol Propionic Acid 변성 하이퍼브랜치 아크릴레이트의 합성과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hotocurable Dimethylol Propionic Acid modified Hyperbranched Acrylates)

  • 김동국;임진규;김우근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342-347
    • /
    • 2005
  • 하이퍼브랜치 폴리올(HBP-16, 32, 64)과 acrylic acid로부터 광경화형 하이퍼브랜치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고, 그 물성을 조사하였다. TGA로 측정한 UV 경화필름의 열안정성은 관능기 수가 증가할수록 좀더 높은 온도로 이동하였다. 또한 아크릴 레이트의 관능기 수가 증가할수록 경도, 내마모성, 인장강도가 우수하였으며, 내후성 테스트에서는 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수가 증가할수록 황변 지수 값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광경화형 Dipentaerythritol 변성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성과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hotocurable Dipentaerythritol Modified Polymethacrylates)

  • 김동국;임진규;김우근;허정림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101-106
    • /
    • 2005
  • Dipentaerythritol 유도체(DPET)와 acrylic acid를 반응하여 6관능 광경화형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PA-1)를 제조하였으며, dipentaerythritol 유도체(DPET)에 trimellitic anhydride와 glycidyl methacrylate를 반응시켜 12관능 광경화형 변성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PA-2)를 제조하고 경화된 물성을 조사하였다. 관능기 수가 증가할수록 중량 평균 분자량은 증가하였으며, 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로 측정한 UV 경화필름의 열안정성은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수가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수가 많을수록 경도, 내마모성, 인장강도가 우수하였으며, 내후성 테스트에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수가 많을수록 황변 지수 값인 yellow index 값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폴리에스테르/락톤 폴리올과 HDI-Biuret에 의한 폴리우레탄 도료의 제조 및 경화거동 (Preparation and Curing Behavior of Polyurethane Coatings by Polyester/Lactone Polyol and HDI-biuret)

  • 최용호;김대원;황규현;박홍수;김태옥
    • 폴리머
    • /
    • 제24권1호
    • /
    • pp.72-81
    • /
    • 2000
  • 벤조산 폴리에스테르/락톤 폴리올의 합성은 디올로서 폴리카프로락톤 0201, 트리올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2염기산으로서 아디프산 및 1염기산으로 벤조산을 사용하였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는 HDI-biuret형인 Desmodur N-100을 사용하였다. 벤조산 폴리에스테르/락톤 폴리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안료, 습윤분산제 및 플로우개량제 등을 블렌드하여 2성분계 폴리우레탄 도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도료로서 도막시편을 제작하여 각종 도막 물성시험을 행한 결과 KS 규격에서 제시한 기준치와 비교하여 내마모성, 촉진내후성, 황변도는 우수하게, 굴곡성, 내충격성, 60$^{\circ}$ 경민광택도, 접착력, 내유성, 명도지수차는 양호하게, 경도는 다소 나쁘게 나타났다. 따라서 디올로서 폴리카프로락톤 0201을 도입한 후 내유성, 굴곡성, 내충격성의 장점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벤조산 함량변화에 따른 고화 및 경화거동을 살펴 본 결과, 고화에 따른 건조시간은 2~4시간으로, 경화에 따른 가사시간은 20~37시간으로 각각 나타나, 도막표면의 고화 및 경화상태가 양호함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