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용 기반 여과 시스템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Harmonic Mean Weight by Combining Content Based Filtering and Collaborative Filtering in a Recommender System (내용 기반 여과와 협력적 여과의 병합을 통한 추천 시스템에서 조화 평균 가중치)

  • 정경용;류중경;강운구;이정현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0 no.3_4
    • /
    • pp.239-250
    • /
    • 2003
  • Recent recommender system user a method of combining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and content based filtering system in order to slove the problem of the Sparsity and First-Rater in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In this paper, to make up for the prediction accuracy in hybrid Recommender system, the harmonic mean weight(CBCF_harmonic_mean) is used for calculating the user similarity weight. After setting up the threshold as 45 considering the performance of content based filtering, we apply significance weight of n/45 to user similarity weight.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t if compared with that of combing both the existing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and the content- based filtering system. As a result, it confirms that the suggested method is efficient at improving the prediction accuracy as solving problems of the exiting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Automatic Preference Rating using User Profile in Content-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내용 기반 협력적 여과 시스템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자동 선호도 평가)

  • 고수정;최성용;임기욱;이정현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8
    • /
    • pp.1062-1072
    • /
    • 2004
  •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s based on {user-document} matrix are effective in recommending web documents to user. But they have a shortcoming of decreasing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s by the first rater problem and the sparsity. This paper proposes the automatic preference rating method that generates user profile to solve the shortcoming. The profile in this paper is content-based collaborative user profile. The content-based collaborative user profile is generated by combining a content-based user profile with a collaborative user profile by mutual information method. Collaborative user profile is based on {user-document} matrix in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thus, content-based user profile is generated by relevance feedback in content-based filtering systems. After normalizing combined content-based collaborative user profiles, it automatically rates user preference by reflecting normalized profile in {user-document}matrix of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s. We evaluated our method on a large database of user ratings for web document and it was certified that was more efficient than existent methods.

Discovery of User Preference in Recommendation System through Combin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d Content based Filtering (협력적 여과와 내용 기반 여과의 병합을 통한 추천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선호도 발견)

  • Ko, Su-Jeong;Kim, Jin-Su;Kim, Tae-Yong;Choi, Jun-Hyeog;Lee, Jung-Hyu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7 no.6
    • /
    • pp.684-695
    • /
    • 2001
  • Recent recommender system uses a method of combining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and content based filtering system in order to solve sparsity and first rater problem in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s use a database about user preferences to predict additional topics. Content based filtering systems provide recommendations by matching user interests with topic attributes. In this paper, we describe a method for discovery of user preference through combining two techniques for recommendation that allows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 The proposed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clusters user using genetic algorithm based on items categorized by Naive Bayes classifier and the content based filtering method builds user profile through extracting user interest using relevance feedback. We evaluate our method on a large database of user ratings for web document and it significantly outperforms previously proposed methods.

  • PDF

Combining Collaborative, Diversity and Content Based Filtering for Recommendation System (협업적 여과와 다양성, 내용기반 여과를 혼합한 추천 시스템)

  • Shrestha, Jenu;Uddin, Mohammed Nazim;Jo, Geun-Si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1
    • /
    • pp.101-115
    • /
    • 2008
  • Combining collaborative filtering with some other technique is most common in hybrid recommender systems. As many recommended items from collaborative filtering seem to be similar with respect to content, the collaborative-content hybrid system suffers in terms of quality recommendation and recommending new items as well. To alleviate such problem, we have developed a novel method that uses a diversity metric to select the dissimilar items among the recommended items from collaborative filtering, which together with the input when fed into content space let us improve and include new items in the recommendation. We present experimental results on movielens dataset that shows how our approach performs better than simple content-based system and naive hybrid system.

  • PDF

A Study on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on Neural Network for Increment Performance (신경망 기반 협력적 여과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 Kim, Eun-Ju;Ryu, Joung-Woo;Kim, My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09-312
    • /
    • 2003
  • 추천 시스템을 위한 여과 기술에는 협력적 여과, 내용기반 여과 등이 있다. 협력적 여과 방법은 적용이 용이한 반면 회소성 문제와 초기 평가 문제가 있으며, 내용기반 여과는 정보의 질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워 효과가 적다는 단점이 있다. 신경망 기반 협력적 여과 방법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수가 많아지면 모델이 커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 기반 협력적 여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관도를 고려하는 신경망 기반 협력적 여과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관도란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구해진 상관계수의 절대값을 의미하며 상관도가 높다라는 것은 상관계수의 절대값이 1에 가까운 경우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EachMovie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한 방법의 우수함을 보인다.

  • PDF

A Learning Model for Recommendation of Humor Documents (유머문서 추천을 위한 기계학습 기법)

  • 이종우;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253-255
    • /
    • 2001
  •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협력적 여과 및 내용기반 여과 기술을 결합 이용하여 유머문서를 추천하는 MrHumor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유머문서 추천 기술은 다양한 아이템에 대한 여과 및 추천 기술로 확장되어 인터넷을 통한 과다 정보 시대에 필요한 소프트봇 혹은 지능형 에이전트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MrHumor 추천시스템은 적응형 학습 시스템으로서 새로운 사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학습량과 추천시기에 따라 이용할 추천방식이 다른 성능을 보이는데 여러 가지 상황에서도 적절한 동작을 보이기 위하여 MrHumor에서는 은닉변수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구통계적 정보와 문서의 내용적 특징간의 관계를 학습하여 초기 추천을 행하고 SVM을 이용하여 개인의 선호도를 학습한 내용 기반의 여과와 적응형 k-NN모델을 이용한 협력적 여과를 결합하여 추천을 수행한다. 제안된 방식에 의한 추천 성능은 3방식이 각각 이용된 경우에 비해 안정적이고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인다.

  • PDF

Improving Web Personalization Service Using Web Mining and Collaborative Filtering (웹 마이닝과 협력적 정보 여과를 이용한 개인화 서비스의 성능 개선 방안)

  • 이치훈;고세진;김용환;이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63-65
    • /
    • 2000
  • 웹 개인화 기술의 발달은 많은 업체들이 기존 고객의 유지와 신규 고객의 확보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였다. 현재의 개인화 기술은 크게 내용 기반 그리고 협력적 정보 여과 방식에 기반한 기술로 나뉘어질 수 있다. 내용 기반 정보 여과 방식에 기반한 개인화 기술은 멀티미디어 정보로 표현된 대부분의 웹 오브젝트(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상품 등)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협력적 정보 여과방식은 Cold Start Problem과 단일 도메인내에서의 개인화 서비스만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협력적 정보 여과 방식과 데이터 마이닝 기술 중의 연관 규칙 생성 방법을 혼합한 웹 개인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태로 표현되는 웹 오브젝트의 내용 분석이 어려우므로, 각각의 오브젝트를 하나의 아이템으로 인식하고 개인화 서비스를 시도하는 협력적 정보 여과 방식을 채택하였다. 협력적 정보 여과의 결과로 발견된 도메인별 유사 사용자의 웹 오브젝트 사용 정보를 연관 규칙 생성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오브젝트간의 연관성을 발견한다. 발견된 오브젝트간의 연관성은 서로 다른 정보 도메인의 오브젝트가 현재 사용자에게 흥미있는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는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협력적 정보 여과 방식에 의해 생성된 오브젝트의 선호도값과 오브젝트 연관성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협력적 태그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

  • Yeon, Cheol;Kim, Heung-Nam;Ji, Ae-Tti;Jo, G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9-188
    • /
    • 2007
  • 디지털 기기 가 보편 화 되 면서 많 은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서비스의 발전으로 이들 컨텐츠를 과거에 비해 손쉽게 웹 상에 개제할 수 있게 되 었다. 따라서, 많은 컨텐츠를 추 천해 주기 위해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들 컨텐츠가 기존의 텍스트 기반에서 사진이나 동영상, 사운드 등 컴퓨터가 자동으로 내용을 파악하기 힘든 컨텐츠로 변화하면서, 내용의 파악이 필요 없 는 협력적 여 과(Collaborative Filtering)가 추천 시스템에서 유 용하게 이 용될 수 있다. 또한 web 2.0의 영향으로 컨텐츠를 분류하고 재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태깅(tagging)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많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 파 악이 힘든 컨텐츠의 효과적인 추천을 위해 협력적 여과(Collaborative Filtering)와 협력적 태깅(Collaborative Tagging)을 접목시킨 방법을 제안하고, 전통적인 협력적 여과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비교 실험을 통하여 협력적 여과 방법에서의 태 깅의 효과에 대 해 논한다.

  • PDF

A Prediction System of User Preferences for Newly Released Items Based on Words (새로 출시되는 품목들을 위한 단어 기반의 사용자 선호도 예측 기법)

  • Choi, Yoon-Seok;Moon,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2
    • /
    • pp.156-163
    • /
    • 2006
  • CF systems are widely used in recommendation due to the easy implementation and the outstanding performance. They have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sparsity problem, the first-rater problem, and recommending explanation. Many studies are suggested to resolve these problems. While the influence of the sparsity problem lessens as the users' data are accumulated, but the first-rater problem is originated from the CF systems and there are a number of researche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F systems based on the content-based methods. Also CF systems are black boxes, providing no explanation of working of the recommend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ntent-based prediction system based on the preference words, which exposes the reasoning behind a recommendation. Our system predicts user's rating of a new movie and we suggest a semiotic network-based method to solve the mismatching problem between the items. For experimental comparison, we used EachMovie and IMDb dataset.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of Online Video Lectures in e-Learning System (이러닝 시스템에서 온라인 비디오 강좌의 협업적 추천 방법)

  • Ha, In-Ay;Song, Gyu-Sik;Kim, Heung-Nam;Jo, Geun-S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9
    • /
    • pp.85-94
    • /
    • 2009
  •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learners to find the lectures they are looking for. In turn, the ability to find the particular lecture sought by the learner in an accurate and prompt manner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e-Learning. To deal this issue,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llaborative approach to provide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of online video lectures. The proposed approach first identifies candidated video lectures that will be of interest to a certain user. Partitioned collaborative filtering is employed as an approach in order to generate neighbor learners and predict learners'preferences for the lectures. Thereafter, Attribute-based filtering is employed to recommend a final list of video lectures that the target user will like the m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