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성천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2초

내성천 하상 입경 변화에 따른 흰수마자의 물리 서식 적합도 분석 (Study on physical habitat suitability of Gobiobotia naktongensis in Naeseong Stream according to change of bed grain size)

  • 이동열;박재현;백경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9호
    • /
    • pp.553-562
    • /
    • 2023
  • 흰수마자(Gobiobotia naktongensis)는 멸종위기야생동물 I급 담수어류로 지정된 대한민국 고유종이다. 흰수마자가 최초로 발견된 낙동강의 지류 중 하나인 내성천은 고운 모래하상과 여울이 발달되어 과거 흰수마자에게 최적의 서식 환경을 제공했었다. 현재 영주댐이 건설되고 지자체가 과도한 하도준설을 시행하여, 댐하류 지역의 하상 조립화가 가속화되면서 흰수마자의 서식환경은 악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성천 하상 입경 변화에 따른 흰수마자 서식처 적합도 변화 양상을 물리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활용하여 가중가용면적(Weight Usable Area, WUA)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영주댐 하류 석탑교에서부터 회룡교까지의 구간이며, 하상 입경 변화는 2010년과 2020년에 각각 분석된 중앙입경을 이용하였다. 내성천의 2020년 하상 입경은 2010년 하상 입경보다 굵어졌으며 전반적으로 모래입자 조립화 현상이 뚜렷하였다. River2D 분석결과 전체 모의구간의 흐름 영역 면적 대비 흰수마자의 서식이 가능한 영역은 2010년에 약 0.75%에 불과하였고, 이마저도 2020년에는 하상조립화로 인해 0.55%로 감소하였다.

내성천의 수문, 하도 형태, 경관 및 식생 특성에 관한 장기모니터링 자료 (II) (Dataset of Long-term Investigation on Change in Hydrology, Channel Morphology, Landscape and Vegetation Along the Naeseong Stream (II))

  • 이찬주;김동구;황승용;김용전;정상준;김시내;조형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1호
    • /
    • pp.34-48
    • /
    • 2019
  • 내성천은 경북 북부의 산지 및 농경지를 관류하는 자연성이 높은 사질 하상 하천으로 2010년대 이전에는 백사장이 발달한 경관적 특징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고 2015년 전후로 식생이 광범위하게 활착하는 등 하천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영주댐 하류 내성천을 대상으로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 논문의 목적은 2012~2018년 기간에 대해 하천 지형 및 식생 등에 대한 조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조사 방법으로 드론/지상 사진 촬영, LiDAR 항공측량, 현장 조사 등이 포함되었다.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발견한 주요한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내성천 하도의 식생 활착은 198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3년 이전에는 하류 구간에서, 그 이후로는 전체 구간에서 식생 활착이 발생하였다. 그 중 일부 지점은 홍수로 인해 재나지화 되었으나 여러 구간은 목본이 활착하였고, 퇴적으로 인해 하도의 형태 변화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내성천은 모래 하상의 본질적 특성을 유지해 왔지만, 최근 약간의 조립화 경향이 나타났으며, 조사 단면에서 최심하상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I편에서 분석한 수문학적 특성과 함께 종합하여 볼 때, 내성천에 나타난 식생 및 경관상의 변화는 주로 유량 감소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함께 영주댐이 하상 저하에 미친 영향을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영주댐 건설 전후 내성천의 하상 고도 변화 (Altitude Changes of Riverbedsin Naeseong River Before and After Yeongju Dam Construction)

  • 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24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altitude changes of riverbed at 6 bridges i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of Yeongju Dam in Naeseong River, from 2009 to 2016 just before and after the dam construction. For 5 years from November 2010 to December 2015 when the dam was under construction, approximately 0.091m of the riverbed altitude in average more than twice before the dam construction was lowered, because of the effects of riverbed excavation for riverside maintenance in the upper reaches and transport limitation of flow and sediment by the dam in the lower reaches. Between November 2009 and December 2016 when the dam was in pre-construction and post-construction stages, respectively, the most sites in this study i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showed lowering in the riverbed altitudes. On the other hand, the riverbed around Hoeryongpo closed to the river mouth seems to be influenced by channel changes in Nakdong River rather than by the dam construction.

영주댐 운영 전 내성천의 수문 특성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aeseong Stream before the Operation of Yeongju Dam, Korea)

  • 김동구;이찬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1호
    • /
    • pp.3-11
    • /
    • 2017
  • 본 논문은 연구대상 하천인 내성천에서 2013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영주댐이 담수되던 2016년 7월 중순까지 주요 관심 지점에 대한 각종 수문자료와 지형 측량 그리고 사진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사주에 형성된 식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각 시기별 홍수사상이 사주에 형성된 식생의 매립 또는 제거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수위-단면 비교 그래프와 사진 모니터링 자료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모니터링 기간내 식생이 활착된 사주 위를 흐르던 홍수흐름이 식생의 매립 또는 제거에 기여한 결과를 판단할 수 있었으며 특히 2015년은 식생이 형성된 사주 위를 홍수흐름이 지나가지 않고 적절한 지하수위로 인해 수분 공급으로 식생이 번성한 것도 알 수 있었다. 영주댐의 담수가 시작되어 인위적인 조절이 되기 시작하면서 자연적인 흐름이 발생하던 시기와는 다른 양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향후 담수로 인한 조절 상황과 비교하는데 중요한 분석 자료로 판단된다.

단기 홍수사상으로 인한 사행하천의 하상변동 수치모의 분석 (Numerical Analysis for Bed Changes at the Meandering Stream due to a Short Term Flood Event)

  • 지운;장은경;이찬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1229-12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행도를 갖는 내성천 하도 구간에 대해 단기 홍수사상 발생시 나타나는 흐름과 하상변동 특성을 2차원 모형인 CCHE2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내성천 하도 구간은 사행도가 1.2, 1.6, 2.2인 3개 구간으로 나누어 흐름 및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2011년 6월에 발생한 6일 동안의 홍수사상에 대해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 결과, 사행도가 큰 구간에 비해 사행도가 1.5 미만인 구간에서 흐름 집중현상에 의한 평면적 유속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만곡부에서의 하상침식이 시간에 따라 더 크게 확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행도가 1.5 미만인 구간에서는 최대홍수량이 발생했을 때 최대유속이 국부적으로 1.6 m/s에서 2 m/s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조도와 하상형상조도를 고려한 내성천 하류의 흐름저항 분석 (Flow Resistance Analysis for Lower Naesung Stream Considering Grain and Bedform Roughness)

  • 지운;김지성;이찬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12호
    • /
    • pp.1209-122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내성천 하류 구간을 대상으로 검보정된 1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흐름모의를 수행함으로써 추정된 구간 조도계수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실측 및 모의된 수리조건을 이용하여 향석 지점에서의 하상형태 예측을 수행하였으며 사립조도에 의한 흐름저항 계수 값을 고려하여 총 흐름저항 조도계수를 산정하였다. 수치모의에 의해 추정된 구간 조도계수와 사립조도 및 하상형태에 의한 흐름저항 계수를 추정한 결과 값을 상호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저수류 영역 흐름에서는 사립조도 및 하상형태에 의한 흐름저항 외에 식생, 만곡도, 사주 등의 기타 요인들에 의한 영향이 크게 반영되어 수치모의 상의 조도계수 값이 사립조도 및 하상형태에 의해 추정 가능한 조도계수 범위보다 크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00m^3/s$ 이상의 천이구간 및 고수류 영역에서는 사립조도 및 하상형태 예측에 의한 조도계수 범위에 수치모의에 의해 검증된 Manning 조도계수가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규모 하천에서의 식생 증가 현황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riparian vegetation expansion in middle size rivers in Korea)

  • 김원;김시내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spc2호
    • /
    • pp.875-88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규모 하천에서의 식생 확장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상류에 댐이 있는 섬강, 댐이 없는 청미천, 댐이 있지만 운영이 되지 않고 있는 내성천 등 세 개 하천의 약 1 km 구간에 대해 항공사진 분석을 통한 식생 면적 확장 현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당 구간 면적 대비 섬강 54.7% (2016), 청미천 77.5% (2016), 내성천 49.7% (2017)를 식생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 이후 청미천과 섬강에서 약 2배, 내성천에서 약 17배로 급격하게 식생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사주나 수면적은 그만큼 감소하였다. 하천의 위치나 댐 유무에 관계없이 최근들어 하천내 식생이 크게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천내 식생 면적의 급격한 증가는 하천의 물리적 구조 뿐만아니라 생태계에도 변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의 규명과 이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