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분비

검색결과 445건 처리시간 0.03초

가물치 위장관에 있어서 내분비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gastro-entero endocrine cells in the snakehead, Channa(ophicephalus) argus)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97-303
    • /
    • 1996
  • 가물치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secretin 면역반응세포들은 위의 분문부와 위저부의 상피 또는 장선부에서 소수로 출현하였다. Motilin과 GRP 면역반응세포는 장의 원위부와 위저부의 상피에서 극소수로, PYY 면역반응세포들은 유문맹낭부위와 장의 근위부에서 소수 또는 극소수로 각각 관찰되었다. Substance P 면역반응세포들은 위저부에서 장의 원위부에 걸쳐 소수 내지는 비교적 다수의 출현빈도를 보였으며 또한 장의 원위부 고유층에서는 신경세포가 양성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neurotensin, met-Enk, GIP 면역반응세포들은 전장관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한국산 산민달팽이 ( Incilaria fruhstorferi ) 소화관 상피조직의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 연구 (Ultrastructural and Histochemical Study on the Epithelia of Digestive Tract of a Korean Slug, Incilaria fruhstorferi)

  • 이정찬;장남섭;한종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3-160
    • /
    • 1997
  • 한국산 산민달팽이 Incilariafruhstorferi의 소화관을 부위별로 관찰하고, 소화관 상피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종류와 분포수 그리고 분비되는 과립 등을 미세구조적, 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산민달팽이의 소화관은 식도, 위, 장, 직장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식도는 다시 전식도, 소낭, 후식도로 나누어지고, 장은 전장과 중장, 후장 등으로 구분되었다. 소화관을 부위별롸 관찰한 결과 섬모원주상피세포 2종, 녹색과립세포 3종, 청색과립세포, 점액세포, 투명세포, 망상형세포 그리고 괴사형세포 등 모두 10종류가 확인되었다. 섬모원주세포는 A형과 B형 등 두 종으로 나뉘며, A형은 세포의 상단 자유면에 섬모와 미세융모가 밀생된데 비해, B형은 전자밀도가 높아서 검게 보이고, 장과 직장에서만 관찰되는 특징을 보였다. 섬모의 구조는 9 x 2 + 2 axoneme이었다. 녹색과립세포는 미세구조에 의해 A형, B형 그리고 C형등 3종으로 나누어지며, 소낭과 후식도, 위, 직장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A형과 B형은 Sudan black에 양성인 지방과립(1.36 x 1.6$\mu\textrm{m}$)만을 포함하고 있는데비해 C형은 글리코겐 과립도 포함하고 있었다. 청색과립세포는 10종류의 세포 중 가장 키가 크고 (35$\mu\textrm{m}$), Millon반응에 양성을 보이는 둥근과립(직경, 1.3$\mu\textrm{m}$)을 포함하고 있는데 과립들은 단백질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중장에서만 관찰되었다. 장과 직장에서 주로 많이 관찰되는 점액세포는 세포질 속에 전자밀도가 낮은 투명한 과립과 전자밀도가 높아서 검게 보이는 둥근과립(크기, 1.33 x 0.89$\mu\textrm{m}$)들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미성숙 시기에는 투명과립(직경, 2.66$\mu\textrm{m}$)으로 관찰되었다. PAS-alcian blue(pH 2.5)반응에서 투명과립은 alcianophillia로 나타난 반면, 검은 과립은 PAS에 양성반을을 보이며, 각각 산성점액과 중성점액과립으로 확인되었다. 투명세포는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A형과 B형으로 구분되었으나, A형은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신경내분비세포로 확인된 반며, B형은 지방과립을 소지한 지방저장세포로 각각 확인되었다. 신경내분비세포가 소지한 과립의 크기는 0.16$\mu\textrm{m}$ 정도였다. 망상형세포는 주로 위에서 관찰되는 형태가 불규칙한 작은 세포로서 세포질에 비해 큰 핵을 소지하고 있었다. 소량의 세포질 돌기에는 사립체와 과립성소포체를 포함하고 있다. 괴사형세포는 후장과 직장에서 주로 많이 관찰되고, 점액세포의 점액과립이 분비된 후, 붕괴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 재래산양의 위장관에 출현하는 내분비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ndocrine cells in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Korean native goat)

  • 이재현;이형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1-270
    • /
    • 1990
  • 한국 재래산양의 위장관 내분비세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5-HT, somatostatin, Gas/CCk, glucagon, chromogranin, PP 면역 반응세포들이 동정되었다. 한국 재래산양의 위장관에 있어서 이들 면역반응세포의 부위별 분포와 출현빈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5-HT 면역반응세포는 제 4 위 및 유문부에서 보다 대장과 소장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 Somatostatin면역반응세포는 대장과 소장에서 보다 제 4 위와 유문부에서 다수 출현하였다. Gas/CCk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서 가장 다수로 분포하였으며 기타 부위에서는 소수로 출현하였다. 대장과 소장에서는 중등도의 glucagon 면역반응세포가 관찰되었으나, 제 4위와 유문부에서는 소수로 관찰되었다. Chromogranin 면역반응세포는 전 위장관에서 골고루 그리고 아주 많이 출현하였다. PP면역반응세포는 대장에서 중등도로, 회장에서 소수로 분포하였다. Insulin 면역반응세포는 전 위장관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한국산 고슴도치 유문부에 있어서 내분비세포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Ultrastructural Study on Endocrine Cells in the Pyloric Region of the Korean Hedgehog(Erinaceus koreanus))

  • 이재현
    • Applied Microscopy
    • /
    • 제17권1호
    • /
    • pp.177-184
    • /
    • 1987
  • 한국산 고슴도치 유문부에 있어서 내분비세포를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여 EC, ECL, D1 및 G형 등의 4종류의 세포를 분류하였다. EC세포는 고전자밀도의 다형태성 과립을 가지며, 과립내에는 더 높은 전자밀도의 dense body가 보였다. 과립의 크기는 $160{\sim}530nm$였다. ECL세포는 원형 또는 난원형의 과립을 가지며, 이들 과립내용물의 전자밀도는 높고, 편재하거나 공포상으로 출현하였다. 과립의 크기는 $200{\sim}560nm$였다. D1세포는 원형의 과립을 가지며, 과립의 전자밀도는 낮고, 때로 한계막과 과립내용물 사이에 좁은 halo를 나타내었다. 과립의 크기는 $130{\sim}400nm$였다. G세포는 원형 또는 난원형의 과립을 가지며, 비교적 낮은 전자밀도의 과립내용물과 한계막 사이에 좁은 halo를 보였다. 과립의 크기는 $140{\sim}370nm$였다.

  • PDF

아프리카발톱두꺼비(Xenopus laevis)의 위장췌내분비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ndocrine cells on the gastro-entero-pancreatic system of the African clawed toad, Xenopus laevis)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3-529
    • /
    • 1992
  • 아프리카발톱두꺼비(Xenopus laevis)의 위장췌내분비세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5-HT면역반응세포들은 중등도로 전장관에 고루 분포하였다. Gas/CCK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 장선의 기저부와 십이지장 점막상피에서 출현하였다. 소수의 glucagon면역반응세포는 위저부에서 약하게 반응하였고, 췌장에서는 외분비부에서만 관찰되었다. 직장을 제외한 전장관과 췌도 주변부 및 외분비부에서 somatostatin면역반응세포가 관찰되었다. CGs와 insulin면역반응세포는 전장관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insulin세포는 췌도의 중앙부와 외분비부에서 단독으로 출현하였다.

  • PDF

옴개구리 Rana rugosa 위점막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The Ultrastructure of the Gastro-endocrine Cells in the Gastric Mucosa of the Frog, Rana rugosa)

  • 이형식;이재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27
    • /
    • 1990
  • 본 연구는 옴개구리의 위저부 점막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내분비세포의 분비 과립의 크기, 형태, 전자밀도 및 세포의 형태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3종류의 세포를 분류하였다. 제 I 형 : 전자밀도가 높고 원형 또는 난원혀으이 과립을 가지며, 과립내용물과 한계막 사이의 편제하거나 공포상으로 출현하였다. 과립의 크기는 직경이 300-500nm였다. 제 II 형 : 구형 또는 난원형의 과립을 가지며, 전자밀도는 낮거나 높게 나타나며, 한계막과 과립내용물 사이에는 좁은 halo를 나타내었다. 과립의 크리는 직경이 110-230nm였다. 제 III 형 : 신장된 난원형 또는 다형태성의 과립을 가지며, 전자밀도는 낮거나 중등도이며 과림가 내용물 사이에는 명확한 halo를 형성하고 세포질내에는 미세섬유들이 풍부하게 출현하였다. 과립의 크기는 직경이 50-200nm였다.

  • PDF

두툽상어 췌장에 출현하는 내분비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pancreatic endocrine cells in the cat-shark, Scyliorhinus torazame)

  • 이재현;이남수;이형식;김종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2
    • /
    • 1991
  • 두툴상어의 췌장 내분비세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바, 5종의 면역반응세포들이 동정되었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도관의 상피간 및 췌장외분비선의 선포주위에서 한개 또는 다수의 집단으로 출현하였으며, insulin 면역반응세포는 islet의 주변부 또는 도관의 상피간에 각각 관찰되었다.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는 도관의 상피간 또는 췌장외분비선의 주위에 한개 또는 집단으로 분포하였으며, 소수의 5-HT 연역반응세포는 islet의 주변부 및 췌장 외분비선의 선세포간에서 관찰되었다. BPP 면역반응세포는 극소수로 관찰되었으며, GAS/CCK외 chromogranin 면역반응세포들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고슴도치 위점막의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ndocrine cells in the stomach of the Korean hedgehog(Erinaceus korean us))

  • 이재현;이형식;이남수;김종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6
    • /
    • 1991
  • 한국산 고슴도치의 위점막에 분포하는 내분비세포에 대해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바, gastrin, somatostatin, 5-HT, glucagon, BPP, motilin, GIP 등 7종의 면역반응세포들이 동정되었으며, 이들 세포들의 부위별 분포와 출현빈도의 특정은 다음과 같다. Gastrin 면역반웅세포는 유문부에서만 아주 다수로 출현하였으며,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서 다수, 분문부와 위저부에서는 중등도의 출현올 볼 수 있었다. 5-HT 면역반응세포는 분문부와 유문부에서 다수, 위저부에서는 중등도로 출현하였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위저부에서 소수로 그리고 유문부에서 극히 소수로 출현하였고, BPP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 다수로, 위저부에 중등도로 분문부에 소수로 분포하였다. motilin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와 위저부에서 소수 또는 극소수로 출현하였으며, GIP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에서만 소수의 분포를 볼 수 있었다.

  • PDF

몽골리안 저빌(Meriones unguiculatus)의 위장관 내분비 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in the Mongolian Gerbils, Meriones unguiculatus)

  • 이재현;이형식;구세광;박기대;김길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53-660
    • /
    • 2000
  • 몽골리안 저빌(Meriones unguiculatus)의 위장관을 분문부, 기저부, 유문부,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결장 및 직장의 9부분으로 구분하고 이들 부위에서 cholecystokinin(CCK)-8, gastrin, secretin, pancreatic polypeptide(PP), somatostatin, serotonin, glucagon 및 insulin 등 8종의 항혈청에 대한 내분비 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빈도를 면역조직화화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CCK-8, gastrin, somatostatin 및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은 위 부위에서는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주로 위샘(gastric gland) 또는 주세포와 벽세포 사이에서 관찰되었고, 장 부위에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면역반응세포들이 공장의 장샘(intestinal gland)에서 관찰되었으며, 타원형에서 방추형의 세포들이 장상피세포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CCK-8 면역반응세포들은 유문부와 십이지장에 국한되어 다수 또는 소수 관찰되었으며, gastrin 면역반응세포들은 유문부에 국한되어 다수 관찰되었다.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들 역시 gastrin 변역반응세포들과 유사하게 유문부에 국한되어 중등도의 출현빈도를 나타내었고, serotonin 면역반응세포들은 분문부와 맹장을 제외한 위장관 전부위에 걸쳐 중등도 또는 다수 관찰되었으나, secretin, PP, glucagon 및 insulin 면역반응세포들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몽골리안 저빌의 위장관에 존재하는 내분비 세포들의 종류 및 출현빈도는 다른 설치류에 비해 매우 적거나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들 내분비 세포들의 출현부위 역시 다른 설치류에서와는 달리 일부 부분에 국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물 속의 자연 유기물 성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Constituent of Natural Organic Matter (NOM) and its Effect in Water)

  • 손호경;;김종호
    • 공업화학
    • /
    • 제17권2호
    • /
    • pp.119-124
    • /
    • 2006
  • 물 속에 존재하는 자연 유기물의 성분은 계절과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므로 이들 성분에 대한 고찰과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총설에서는 물 속에 존재하는 휴믹 물질, 탄수화물, 단백질(아미노산), hexosamine, 유지, 오일, 그리스 및 미량 유기물질(내분비교란화학물질과 의약품) 등의 자연 유기물의 특성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