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부 전반사 렌즈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Outcoupling Enhancement of OLED using Microlens Array and Diffractive Grating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와 회절격자 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유기광원(OLED)의 광 추출 효율 향상)

  • Jang, Ji-Hyang;Kim, Kyung-Jo;Kim, Jin-Hun;Oh, Min-Cheol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8 no.6
    • /
    • pp.441-446
    • /
    • 2007
  • Outcoupling efficiency of the OLED device is improved by incorporating both a microlens array and a diffractive grating pattern. The microlens array improves the light transmission at the interface of glass and air, and the diffractive grating outcouples the guided mode propagating at the waveguide, which consists of ITO and organic layers. By using the PDMS soft mold imprinting method, the microlens array is fabricated on the glass substrate. The diffractive grating pattern is directly fabricated on the ITO surface by using laser interferometry. A microlens array with a diameter of $10{\mu}m$ improves the light coupling efficiency by 22%. The diffractive grating made of TSMR photoresist enhances the luminance power efficiency by 41% at a current density of $20mA/cm^2$.

Lensless Imaging of Fine Patterns by TIR Holography (내부 전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미세 패턴의 결상)

  • 김대준;박기수;권진혁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6 no.3
    • /
    • pp.239-244
    • /
    • 1995
  • 내부 전반사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마스크의 미세 패턴을 기록, 재생 결상하였다. 직각 프리즘과 쐐기 살 다발 가르개, 반사경을 이용하여 광학계를 구성하였으며 TIR 홀로그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5mW의 출력과 633nm의 파장을 가진 He-Ne 레이저를 이용하여 Agfa 8E75 홀로그램 건판에 TIR 홀로그램을 기록하고 기준파의 복소 공액파인 재생파로써 홀로그램을 재생하였다. 홀로그램 건판과 마스크와의 간격을 $200\mu$m로 유지했을 때 약 $3\mu$m의 분해능을 가진 재생상을 얻었으며 $70\mu$W의 기록 광으로써 홀로그램을 기록하여 0.45%의 에돌이 효율을 얻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렌즈를 쓰지 않는 TIR 홀로그래피의 평판 표시 소자 리소그라피 기술에 응용 가능성을 알아 보았다.

  • PDF

휘도 향상용 ZnS 나노 렌즈 제작 및 OLED 소자의 전기·광학적 특성 연구

  • Yun, Dang-Mo;Kim, Il-Gu;Jo, Song-Jin;Kim, Mi-Yeong;Lee, Seung-Hyeon;Lee, Beom-Ju;Lee, Su-Hyeong;Lee, Chung-Hun;Sin, Ji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91.1-391.1
    • /
    • 2014
  • 광물질로 인광물질을 사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재결합에 의해 형성된 여기자를 발광에 모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양자효율이 100%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기층에서 발생된 빛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경로에서 발생되는 wave guiding effect로 인해, 발생된 빛의 20%만이 전달된다. 특히 bottom emission type의 OLED에서 glass와 air사이의 굴절률이 달라 발생되는 전반사에 의해 손실되는 빛의 양은 35%에 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lass와 air사이의 전반사를 줄이고 광추출을 위해 습식 방법으로 hemisphere type의 ZnS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ZnS는 직경 200nm까지 성장하였으며, 이렇게 제작된 ZnS nano lens가 적용된 OLED device에서 휘도가 20% 이상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oretical and Numerical Lens Design Using Near Field Theory for High Density Storage Device (근접장 이론을 이용한 고밀도 저장 장치용 렌즈의 이론적 설계와 수치적 설계)

  • 이문도;박재혁;박노철;박영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0 no.9
    • /
    • pp.173-179
    • /
    • 2003
  • In optical storage device system, there are several research topics to increase its recording density. The main idea is reducing wave length of laser diode and magnifying the number of numerical aperture (NA). In conventional optical system NA cannot be over the unity in the air because of its diffraction limit. But it is possible to overcome its limitation of unity in near field using Solid Immersion Lens. In this work, the mathematical Solid Immersion Lens (SIL) design process was illustrated by using near field theory. Also, numerical SIL design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means of CODE V. Through the work, we propose the new type of SIL for high density optical recording systems.

A study o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 TIR Lens for Realizing A Compact Spot-Type UV Curing Machine Optical System (컴팩트한 Spot형 UV 경화기 광학계를 구현하기 위한 TIR 렌즈 설계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Kim, Yu-Rim;Heo, Seung-Ye;Lee, Sang-Wook;Kim, Wan-Ch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2
    • /
    • pp.255-264
    • /
    • 2022
  • The conventional spot-type UV curing machine configures a collimator optical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enses so that the light beam is incident through an optical cable.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light efficiency, a collimator optical system composed of three or more lenses is required,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lign the optical system, an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system compactly. In this study, a single TIR lens collimator that can realize the same level of spot diameter and light efficiency as the conventional collimator optical system composed of three lenses was designed. Through this, the light efficiency at the curing area with the minimum illuminance deviation was 33.2 %, which was similar to the performance of the reference collimator optical system, and the illuminance deviation on the curing area was 18.8 %, ensuring acceptable performance. In addition, by arranging a fly-eye lens with field flattening fun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condensing lens, the effective curing area diameter was reduced from 5.0 mm to 3.0 mm, enabling higher curing energy density to be realiz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lluminance devi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to a level of 14.4%.

Au-ZnO 나노복합체의 국부화된 플라즈몬 효과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효율 향상

  • Lee, Yong-Hun;Kim, Dae-Hu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19-219
    • /
    • 2016
  • 유기발광소자는 저전력, 빠른 응답속도, 고휘도 및 자체발광 등의 장점들 때문에 고체 광원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기발광소자는 유기 발광층을 인광물질로 사용 함으로서 100 % 내부양자 효율을 이루고 있지만 공기와 유리기판의 계면과 유리 기판과 ITO 계면에서 발생하는 내부 전반사 효과와 유기물과 ITO 기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웨이브 가이드 효과 등으로 인해 발광량의 약 20 %만을 외부로 추출 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의 광 추출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소자외부에 아웃커플링 필름 또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법, 금속 나노 입자를 유기발광소자 내에 삽입하여 표면 플라즈몬 효과로 인한 광추출 효율을 높이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u-ZnO 나노복합체를 간단한 졸겔법을 이용하여 양극 버퍼층으로 사용하여 그에 따른 계면,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Au-ZnO 나노복합체를 포함한 tris(8-hydroxyquinolinato) aluminium (Alq3) 발광층에서 ZnO를 포함한 Alq3 발광층보다 엑시톤 수명이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시간 관련 단광자 계산(Time-Correlated Single Photon Counting) 측정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u 금속 나노입자의 플라즈몬 흡수 파장과 Alq3 발광층에서 생성되는 발광 파장이 겹쳐서 효과적인 공명 에너지 전달효과로 인해 Alq3 발광층의 발광성질이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 Au-ZnO 나노복합체와 ZnO 나노입자를 가지는 유기발광소자의 전류 효율은 50 mA/cm2 에서 각각 2.27와 1.83 cd/A 가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Au-ZnO 나노복합체와 ZnO 나노입자를 사용한 유기발광소자의 전압-전류밀도가 유사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는 Au 금속 나노입자가 ZnO 나노입자의 정공 주입능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