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륙하천유역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n the Hydrologic Components Considering Groundwater Development of the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제주 표선유역의 지하수 개발을 고려한 수문성분해석)

  • Kim, Nam-Won;Chung, Il-Moon;Na, Han-Na;Yoo, Sang-Yeon;Yang, S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21-2025
    • /
    • 2010
  • 우리나라 대표적인 도서지역인 제주도는 대부분의 하천이 평상시 건천의 형태로 유지되며, 일정한 강우가 도달해야만 지표유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하천특성은 내륙과 매우 상이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역 수문해석 방법으로는 정확한 수문성분의 산정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을 이용하여 지표수 유출성분과 지하수 유동변화 및 지하수 개발까지 고려한 제주 표선유역의 통합수문성분 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SWAT-MODFLOW에 포함된 양수모듈(MODFLOW의 well package 와 SWAT의 물이동 옵션 결합)을 이용하여 198개의 현 양수정 자료를 모의하였고, 현재 양수량, 현재양수량의 10배, 20배로 증대시켜 가며 수문성분 변화를 살펴보았다. 양수를 통해 지하수를 개발하여 사용하면 실질적으로 기저유출량의 감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영향은 상류부 보다는 하류부에서 크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제주도 지형적인 특성상 자연적으로 대수층으로 함양된 지하수가 대부분 바다로 유출, 손실되고 있으나 지하수를 양수할 경우, 손실량의 일부는 지하수 개발을 통해 효과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제주 수자원의 추가 수자원확보량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Morphology and Ecological Milieu of Keum-gae River basin in Andong Province (안동 금계천 유역의 지형과 생태 환경)

  • KEE, Keun-Doh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4
    • /
    • pp.99-110
    • /
    • 2010
  • This study elucidat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morpological, and hydraulic milieu in the drainage basins of Keum-gae river from the viewpoint of ecogeography. The region of this basin is located at low-relief hills. Because hills are made up of granitic regolith by deep weathering, the rate of permeability is very high. And, the speed of drainage is very fast, and the deficit of water easily revealed and BOD is very high. Therefore a great deals of efforts are needed for the maintenance of stable milieu.

A Study of Long-Term Runoff analysis in Volcano Island (화산도서지역에서의 장기 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Lee, Nam-Hun;Lee, Hyo-Jung;Kim, Dong-Pill;Ahn, Se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38-1241
    • /
    • 2010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화산도서지역인 제주도는 연 평균 강우량이 1,975mm로 우리나라 최대 다우지역이며, 투수성이 좋은 다공질 화산암류 및 화산회토로 이루어져 있어 지하수 함양율이 총 강우량의 48.5%로 국내에서 가장 높은 수문지질 여건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강우 후에는 143개의 하천 중 6개의 하천을 제외한 나머지 하천에서 내륙과 달리 평상시 건천의 형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지표수의 발달이 매우 빈약하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 제주도는 수자원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표수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제주도는 지하수와 관련된 연구는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제주도 하천에 대한 유량 관측과 수문모델을 적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강우-유출 모형인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상시 유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제주도 서귀포 유역에 포함되는 예례천, 궁산천, 영천을 선정하였으며, SWAT 모형의 입력자료인 기상자료와 지형자료(DEM, Land Use, Soil Type)를 구축하여 직접유출량 및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2002. 01. 01~2008. 12. 31) 각 년도별 평균 직접유출량 및 평균 실제증발산량 산정 결과 예례천 유역은 570.14mm, 444.15mm로 나타났으며, 궁산천은 570.51mm, 585.41mm이며, 영천은 444.15mm, 602.51mm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는 장기 일 유출량 모의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많은 유출량 자료를 확보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 검정한다면 제주도 하천의 장기 일 유출량 모의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제주도의 유역 전반의 통합 관리 측면에서 뛰어난 적용성과 폭 넓게 활용함으로써 우수한 연구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water supply stability in Yeongsan river basin by water transfer control from Seomjin river basin coupling SWAT and MODSIM (SWAT-MODSIM 모형을 이용한 섬진강 도수유량 변화에 따른 영산강 유역의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 Kim, Sehoon;Lee, Jiwan;Kim, Yongw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1-41
    • /
    • 2020
  • 국토해양부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보고서(2011)에 따르면 영산강 유역(3,371.4 ㎢)의 경우, 연평균 이용 가능한 수자원 총량이 우리나라의 3.9%으로 약 30억㎥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내륙 5대 권역별 중 가장 적은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섬진강 유역(4,896.5 ㎢)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고 있다. 이러한 물 부족은 이상가뭄의 발생 시 제한급수와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역 수문 모형인 SWAT과 유역간 물공급 및 분배 모형인 MODSIM을 이용하여 섬진강 유역(4,896.5 ㎢)의 도수에 따른 영산강 유역(3,371.4 ㎢)의 물 공급 능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하천유역 네트워크 물수지 모형인 MODSIM 모형은 농업용 수리시설을 고려하여 영산강 유역 8개의 중권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모형의 유역별 유입량(공급량) 자료는 SWAT 모형의 소유역별 유출 결과를 사용하였다. SWAT 모형의 검·보정은 13년(2005~2017) 동안의 유역 내 1개 수위관측소(마륵 관측소)와 5년 5개월(2012년 8월~2017년 12월) 동안의 2개 보지점(승촌보, 죽산보)의 일별 유입량 및 저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마륵 수위관측소 유출량 검·보정 결과 Nash-Sutcliffe의 모형효율계수(NSE)와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는 0.69, 0.79이며, 2개의 보에서는 NSE 및 R2는 0.68~0.70, 0.75~0.83으로 검·보정되었다. 이후 MODSIM 모형을 이용하여 37개년(1981~2017) 동안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가뭄에 취약한 지역을 파악하고 용수별(생·공·농업용수) 공급량 및 부족량을 정량적으로 검토하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Using a Representative Grain Diameter for Han Stream in Jeju Island (제주도 한천의 대표입경를 이용한 조도계수 산정)

  • Lee, Jun-Ho;Yang, Sung-Kee;Kim, Dong-Su;Kang, Bo-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90-690
    • /
    • 2012
  •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하천정비기본계획과 유역치수계획의 수립은 정확한 홍수량을 산정을 통해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첨두홍수량에 대한 계산이 좀 더 정밀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흐름해석에서 중요한 요소인 조도계수는 원래 하상재료의 조도(roughness)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하상재료 및 하상표면의 특성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값이지만, 실제 흐름계산에서는 식생, 하천 구조물, 사행도, 단면형태 단면 변화양상 등 하도의 상황뿐만 아니라 유량이나 수위에 의해서도 변화기 때문에(Frech, 1985) 이론적으로 조도계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내륙부와는 매우 특이한 유출 형태를 보이고 있는 제주도의 하천은 평시는 대부분이 건천이지만 집중호우나 태풍 내습시에는 하천변의 침수와 범람 등의 재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제주도 하천의 조도계수는 자연형 하천에 적용되는 계수만을 전 구간에 일률적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제주도의 하천은 대부분 15km내외의 짧은 구간에 산지와 농 목축업 및 도심하천이 혼재하고 있고 또한, 하상재료는 자갈 및 호박돌, 전석 등이 산재해 있어 구간별 조도분포도 매우 복잡하며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하천현장에 대한 실측 조도계수의 조사나 측정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천의 하상재료의 입경을 이용한 방법으로 연구대상인 한천의 구간은 11.5km이며, 조도계수 산정구간을 10구간으로 세분화하고 각 구간마다 좌안, 중앙, 우안마다 100개씩 하상재료를 채취하였으며, 총 3000개의 채취한 하상재료를 이용하여 대표입경을 선정하고 입도분석 실시하였다. 지당 총 100개 이상의 자갈 입자를 선택하고 중경(intermediate axis)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를 기존의 조도계수 경험식에 대입하여 조도계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존의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제시된 조도계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측 조도계수을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홍수량 산정과 하천실무에 적용 및 활용성이 기대된다.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ien Plants by Wetland Types in the Ecologically Outstanding Wetlands of South Korea (국내 생태우수습지의 유형별 외래식물상 현황 및 특성)

  • Chu, Yeounsu;Cho, Kwang-Jin;Kim, Mijeong;Lee, Changsu;Yoon, Jungdo;Lim, Jeoncheol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3
    • /
    • pp.145-159
    • /
    • 2020
  • Wetlands are vulnerable to biological invasion by alien species, because they function as sinks that accumulate excess water, sediments, nutrients, and other contaminants from the surrounding watersheds by disturbance.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lien plants based on the type of wetlands, we classified 24 ecologically outstanding wetlands and analyzed the status of alien flora. A total of 130 alien plants were found in the wetlands, accounting for 11% of the total plant species. Among them, the Asteraceae species was the most diverse, with 40 species. Erigeron annuus and Oenothera ordorata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The species richness of alien plants in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average: 30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average: 10 species). The same results were found in the naturalization index, urbanization index, and ratio of annuals and biennials, which indicate the degree of artificial interference. In the cluster analysis,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were combined, and only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were separated. The number of alien plants is remarkably low in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and it is considered to be the influence of Erigeron strigosus, Symphytum officinale, and Bilderdykia convolvulus, not found in the other types of wetlands. In particular, invasive alien plants such as Aster pilosus, Ambrosia trifid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were found intensively in the riverine wetland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methodical management is urgently required considering the dispersal of alien plants in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with high artificial interference.

Studies on β-diversity for high plant community turnover in flood plain restoration (수변 복원 시 식물종 다양성 증진을 위한 β-diversity 연구)

  • Han, Young-Sub;Kim, Hae-Ran;Han, Seung-Ju;Jeong, Jung-Kyu;Lee, Seung-Hyuk;Jang, Rae-Ha;Cho, Kyu-Tae;Kang, Tay-Gyoon;You, Young-H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4
    • /
    • pp.501-508
    • /
    • 2013
  • We have researched heterogeneity of naturalized river plant community by ${\beta}$-diversity for restoration of river community which has high diversity plant species. As a result the average of heterogeneity was 0.32(range 0.23~0.37) from the river to the inland. This value shows community turnover of species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ies 6 times. The ${\beta}$-diversity was no difference among water system of Seomjin river, Han river, Nakdong river and Geum river. The upper-river valley(0.36) was higher than lower-river valley(0.23) in each water system(p level<0.05). Multiple regressing analysis was used for look th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sult, it shows ${\beta}$-diversity significant on a slope. River mimetic diagram with dominant species that appear through Belt-transect painted. Dominant plant species turned 6 time in upper-river and turned about 5 time in lower-ri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basis of planting species and planting pattern. To improve species diversity of river plant community, slope degree raise is the most important.

Intestinal flukes of genus Metagonimus and their second intermediate hosts in Kangwon-do (강원도에 분포하는 Metagonimus속 장흡충과 제2중간숙주에 대하여)

  • 안영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1 no.4
    • /
    • pp.331-340
    • /
    • 1993
  • This study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feature of Metagonimus infection in Kangwon-do (province). The average Infection rate of the surveyed inhabitants was 7.8% (83 positives out of 1, 067 examinees) by stool examination; male, 11.4% and female, 3.2%, respectively. The egg positive rate in residents in the Som river area was 7.3%, that of the Chuchon river area 6.3%, the Pyongchang river area 12.8%, the Tong river area 3.8%, the Hongchon river area 9.8%, and the Ohsip stream area of Samchok 8.0%,respectively. The average metacercarial infection rate of genus Metagonimus in the fish was 81.0% (256 positives out of 318 fish). The infected fleshes were Zacco platypus. Zacco teminki, Opswiichthys biens, Squdidis sp., Corqssius carassius, etc. in western Kangwon-do Meanwhile, in the Ohsip stream area of Samchok-gun, eastern costal Kangwon-do, the infected fish were Plecoglossus altivelis and Tribolodon hokonensis. The rats and dogs are infected with the metcercanae obtained from Zacco platypus and Opsariichthys biens, adult worms collected were Miyata type of Metagonimus with some M. takahashii. When infected with metacercariae from Plecoglossus ltivelis, Metagonimus yokogowai was only found. M. yoogawai and Metagonimus Mlyata type were fecund together in Tribolodon hakonenis in Ohsip stream area of Samchok, in the eastern Kangwon-do. The intestinal flukes of genus Metogonimus in western Kangwon-do were Miyata type of MetQnonimuT and M. takahashii transmitting mainly by Zacco platypus and Opsariichtys bidens as a source of infection. In the eastern part of Kangwon province (Ohsip stream area of Samchok), M. yokogowai was mainly distributed by P. altivelis and T. hakonesis, but some T. hakonensis harbored the metacercariae of Miyata type of Metagonimus with those of M. yokogawai.

  • PDF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Polder Soils Development from Alluvio-marine Deposits near to Sapgyo-lake (삽교천유역의 하해혼성충적층에서 발달된 토양의 광물학적 특성)

  • Zhang, Yong-Seon;Um, Myung-Ho;Jung, Pil-Kyun;Shin, Jae-S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3 no.6
    • /
    • pp.377-383
    • /
    • 2000
  • The composition of primary minerals of sand fractions and secondary minerals of clay fractions were investigated on the polder soils developed from alluvio-marine deposits near to Sapgyo-lake, constructed a sea dike across river estuary located in the west coast. The effects of a topographical sequenc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using XRD, DTA, and TG wit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H^+$ saturated clays. Soils located on the seashore side were more silt fraction, higher pH and exchangeable cations than the others. The dominant minerals of soil parent materials are in the order of quartz, feldspars, micas, chlorite and amphibole. According to the greater distance from the lake, the amount of 1:1 minerals increased, but 2:1 minerals decreased. The dominant clay minerals of polder soils are kaolinite, vermiculite and illite. Hydroxy interlayer minerals are abundant in the clay fractions derived from the soil parent materials which have relatively low soil pH.

  • PDF

A Selection Methodology of the Appropriate Candidate Sites of Riverine Wetlands for Ecological Connection (생태축 연결을 고려한 하천습지의 적정 후보지 선정 방안)

  • Yujin Kang;Won-joon Wang;Haneul Lee;Junhyeong, Lee;Seungmin Lee;Hung Soo Kim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5 no.2
    • /
    • pp.111-120
    • /
    • 2023
  • In Korea, wetland policies are currently being pursued through long-term plans such as nationwide wetland surveys and wetland conservation basic plans. However, most policies focus on understanding the status of wetlands, such as their area, distribution, and biodiversity, and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regarding the need to conserve and manage wetland ecosystems as a single organis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otential riverine wetland sites that can be ecologically connected by considering functional aspects such as floodplain, biodiversity, habitat provision, and tourism resources. This study attempted to select a candidate site that could potentially provide ecological connectivity with three wetlands in the Nakdonggang River water system : Upo Wetland, Hwapocheon Wetland, and Junam Reservoir. 63 wetlands and 7 candidate sites located in 15 subwatersheds of the Nakdonggang River were analyzed, and the most suitable candidate site for ecological connectivity was selected based on the calculated scores. A suit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9 evaluation factors to evaluate candidate sites, and the scoring method, using quantile, was applied to these factors. As a result, Upo2(Hopo)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site for ecological connectivity, receiving the highest score 36.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Upo2(Hopo) can serve as a floodplain, habitat, biodiversity enhancer, and tourism resource while being the most suitable for ecological conne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