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륙수로

Search Result 487, Processing Time 0.164 seconds

Climatic classification of Korea by factor analysis (인자분석에 의한 한국의 기후구분)

  • ;Kim, Yong-Mah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 /
    • pp.49-56
    • /
    • 1990
  • 본 연구는 한반도 전체의 2207 Mesh에 입력된 기온과 강수량의 6개요소를 데이터로 하여 인자분석하고 그 결과를 군화분석하여 한반도의 기후구분을 시도한 것이다. 결과로 나타난 기후구는 기발표된 여러 기후구와 유사성이 많아, 데이터로 택한 변수가 연평균 기온, 최난월 및 최한월 기온, 전년강수량, 여름 및 겨울 강수량 등 6개에 불과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기후의 특징이 잘 나타난 지리구라고 판단된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기후가 기온과 강수량, 특히 그 연평균치 및 계절적 집중도에 의하여 크게 지배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시켜 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뚜렷한 기후 특성을 지니고 있는 울릉도가 하나의 기후구로 나타나지 않는것은 적설량이나, 연간 강수일수 등 울릉도의 기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변수가 입력되지 않았고, 울릉도의 기후현상이 나타날 정도로 기후구가 세분화되지 않은데 있는것으로 짐작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8개 기후구를 교과서용 기후구분의 12개 기후구와 비교해 보면, 북부내륙과 북부동안 기후구가 거의 같은 것을 비롯하여 여러면에서 공통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교과서용 구분의 내륙형과 해안형, 특해 서안형과 의 구분은 본 연구의 기후구와 비교할 때 지나치게 도식화한 느낌이 든다.

  • PDF

A Study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 along a Dalchon River in Geosan of Chungbuk Province (충북 괴산군 달천 유역 농촌마을의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 Roh, Seon-Hwa;Kim, Sung-Jung;Kim, Ta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7 no.1
    • /
    • pp.19-30
    • /
    • 2005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location in vernacular agricultural villages by judging from natural environment around the village. For this purpose, there were selected 17 villages of the riverside villages in Geosan Area which lean against Dalchoen River. After classifying these samples by the morphorogical approach, according to compare them with pre-researched villages, the methodology of spatial structure was investigated in agricultural villag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ricultural villages and the shape of Dalcheon River can be classified by 3 types that are twisted around villages, attacked villages, and paralleled with villages. First of all, twisted type is located in river terraces, river safety zone and taken a image of the riverside agricultural village. Secondary, attacked type is located in beside riffle, and taken a image of a fishing village. Finally, paralleled type is located in straightly flowing river.

  • PDF

Application of GALDIT in inland coastal area of the norther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안 북부 내륙 연안지역의 GALDIT 적용)

  • Kim, Il Hwan;Kim, Min-Gyu;Chung, Il-Moon;Chang, Su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5-265
    • /
    • 2021
  • 해수면 상승과 연안지역의 무분별한 지하수의 이용으로 해수침투는 가속화되고 있다. 해수면 상승과 지하수의 과잉 양수로 인한 연안지역의 대수층은 사용 가능한 담수 지하수자원이 줄어들고 있다. 연안지역의 대수층을 대상으로 해수 침투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GALDIT은 index & ranking 방법을 이용한 지하수자원의 해수침투에 대한 취약성 평가 방법으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통해 주제도에 대한 중첩으로 평가 지수를 산정한다. 한국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 중 상당수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GALDIT을 이용하여 해수침투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륙의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GALDIT을 적용하였다. 한국의 서해안 지역 중 도심지가 밀집되어 있는 북쪽으로 선택하였다. 연구지역은 인천, 아산, 안산, 김포, 화성, 시흥, 평택, 당진, 오산으로 9개의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9개의 지역은 모두 제조업이 발달되어 도시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인구의 유입이 진행되고 있다. GALDIT은 지속가능한 해안지하수를 위한 수자원 계획을 뒷받침하는 평가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국내 기후 및 공간 특성 매개변수를 고려한 가중치 및 평가 기준의 확대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컨테이너 터미널의 내륙운송 효율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 모델 구축

  • 황제호;조동현;김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3-125
    • /
    • 2023
  •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에 따라 해운 항만 산업 분야 또한 정보적 측면에서 빅 데이터에 대한 업종별 통합과 공유를 통해 연계 산업 간 산업활동 효율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현재 물류 분야에 다양한 플랫폼들이 도입되고 있지만 대부분 화물운송업 또는 창고 중개업 분야에 편중되어 있다. 항만산업의 경우 코로나 펜데믹 이후 발생한 컨테이너 반입 제한 및 장치율 증가 등에 따라 운송사와 컨테이너터미널 간 갈등이 지속적으로 유발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플랫폼을 활용한 컨테이너터미널과 운송사 간 플랫폼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상호 기업 간 연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산업 관계자인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운송사, 포워더 업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기반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EFA를 통해 추출된 14가지 요인으로 IPA 분석을 수행한 결과 1사분면(사용 용이성, 보안성, 정보 정확성, 정보 적시성, 차량 반출/반입정보, 공컨테이너 반입/반출 정보, 풀컨테이너 반입/반출정보)으로 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이 수행되어야 하며 2사분면(APP 시스템 품질)에 대한 고려가 종합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이 도출되었다. 또한, 플랫폼 개발의 주체와 이용자의 참여 유도가 필요하며 상호 이해관계자 간 효율적인 연계와 효율화를 위한 인식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향후 컨테이너터미널과 내륙운송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Village Wetland Inventory Based on GIS - Focused on Seocheon-gun Province, Chungnam, Korea - (GIS를 기반으로 한 농촌 마을습지 판별 및 분포 특성 연구 - 충남 서천군을 사례로 -)

  • Park, Mio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0 no.1
    • /
    • pp.20-2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GIS / DB by grasping a small but ecologically valuable village wetland distribution, and to propose conservation management and wise use plan. The study area is Seocheon-gun, a typical farming village. Firstly, based on the digital topographical map (1:5,000), the Arc-GIS tool was used to identify the provisional(draft) village wetlands. In addition, for the management of village wetlands, wetlands with an area of more or less than $625m^2$ each were derived and according to ecological regions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urban areas, inland areas and coastal areas. And finally, according to the wetland identifying indicators, the village wetlands were identified as the final village wetlands through indoor and field trip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are 570 village wetlands in Seocheon - gun province, which are 74 in urban areas, 220 in inland areas, and 276 in coastal areas. The case study for village wetland identification was conducted in one out of two urban areas (Seocheon - eup), two of four coastal areas (Biin - myeon and Seo - myeon), and three of seven inland areas (Masan - myeon, Hansan - myeon, and Sicho - myeon). The distribution of village wetlands was found mainly to be a village wetland with an area of less than $625m^2$. In addition, compared with inland areas, the discrimination rate of village wetlands in coastal areas and urban areas was relatively low, indicating that inland areas were still less disturbed, and land use in urban areas and coastal areas is changing rapidly. Especially, land with less awareness such as village wetlands is relatively easily damaged, and management strategy is urgent.

Analysis and measurement of service area of ocean-based DGPS reference station in Korea (국내 해상 DGPS 기준국의 서비스 영역 측정 및 분석)

  • Kim, Young-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6
    • /
    • pp.1255-1261
    • /
    • 2014
  • Based on the radio wave measurement of korean ocean-based DGPS by season, in this paper, the service coverages of ocean-based DGPS reference sta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limate and season. The signal strengths and signal-to-noise ratios in the land service areas that are provided by ocean-based DGPS reference stations were measured. The ocean-based DGPS reference station except reference stations on the mountainous terrain and the low ground conductivity provide more than 68% service area in comparison with the designed land service coverage providing by the ocean-based DGPS reference stations. To provide the designed service area that is unrelated to a season,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d operate the DGPS reference station with good ground conductivity and high efficiency antenna. Also, the poor service regions which is generated by obstacles of electric wave on pathway can be resolved by the double service area providing by land-based DGPS reference stations.

Development of Typhoon Damage Forecasting Function of Southern Inland Area By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남부 내륙지역 태풍피해예측모형 개발)

  • Kim, Yonsoo;Kim, Taegy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4
    • /
    • pp.281-289
    • /
    • 2019
  • In this study, the typhoon damage forecasting model was developed for southern inland district. The typhoon damage in the inland district is caused by heavy rain and strong winds, variables are many and varied, but the damage data of the inland district are not enough to develop the model. The hydrological data related to the typhoon damage were hour maximum rainfall amount which is accumulated 3 hour interval, the total rainfall amount, the 1-5 day anticipated rainfall amount, the maximum wind speed and the typhoon center pressure at latitude 33° near the Jeju island. The Multivariate Analysis such as cluster Analysis considering the lack of damage data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moving multi-collinearity of rainfall data are adopted for the damage forecasting model.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model, typhoon damage estimated and observed values were up to 2.2 times. this is caused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damage caused by strong winds and it is assumed that the local rainfall characteristics are not considered properly measured by 69 ASOS.

Development of the spatiotemporal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for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at mountainous regions in Korea considering surface water-groundwater interactions (지표수-지하수 연계를 고려한 국내 내륙산간지역 시공간적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평가 기법 개발)

  • Lee, Jae-Beom;Agossou, Amos;Kim, Geon;Yang, Jeong-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0
    • /
    • pp.807-817
    • /
    • 2021
  • In this study, assessment of vulnerability in the management of spatio-temporal groundwater resources considering the surface waterground water interactions was conducted in administrative districts of mountainous regions in Korea. Mountainous reg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regions and spatial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vulnerability assessment criteria were selected to consider the surface water-ground water interactions. Paju in the central mountainous region, Gapyeongin the mountains region, Gurye in the southwestern mountainous region, and Yangsan in the southeastern mountainous region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selection of vulnerable area for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Assessment of the Monthly vulnerability to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due to changes in groundwater levels and infiltr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elected areas. As a result of monthly vulnerability to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December ~ Feburary was assessed as vulnerable to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ore efficient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Groundwater Flow Analysis in an Urban Area (도시지역의 지하수 유동 분석)

  • Bae, Sang-Keun;Lee,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5-239
    • /
    • 2011
  • 도시지역은 수자원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기상 이변과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용수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기후적 영향을 적게 받는 지하수의 경우는 비교적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자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관리적인 측면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지하수이용량이 많아 지하수개발에 대한 명확한 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잉양수로 인한 지하수위 저하로 용수부족, 지하수질 악화 등과 같은 지하수 재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해안지역일 경우 해수침투로 인하여 그 피해가 광범위하고 장기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수 유동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효율적인 지하수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지역 지하수 유동의 경우 지하수함양과 지하수유출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요소들인 지하수이용량, 상하수도 누수량, 지하철로 인한 유출량 등과 같은 도시화 요소들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지하수자원의 개발 이용 및 관리가 가장 절실히 필요한 곳이 도시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지하수 유동 분석에 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수문계측 기술의 향상과 관련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도 함께 이루어져서 해석의 정확도가 높아져야만 원활한 수자원 공급과 효율적인 체계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지하수유동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수영구를 대상으로 도시화 요소를 고려한 지하수 모델링을 통하여 지하수 유동을 분석하였다. 정상상태 지하수 유동 모의를 실시한 결과 지하수위는 산지가 분포하고 있는 북서쪽으로 갈수 록 높아지고 수영강과 남해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지하수 유동도 내륙에서 수영강 및 남해로 유출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도시화 요소를 고려한 비정상상태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 수영강 및 남해에서 내륙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하수위 또한 내륙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대량의 양수량의 관정이 위치하는 수영로타리 일대와 광안동 지역, 지하철유출량이 많은 망미역 부근, 전력구 터널 공사로 인한 지하수 유출량이 있는 일부지역에서는 급격하게 지하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충청북도민의 건강지킴이로 늘 변화하는 충청북도지회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v.37 no.8 s.432
    • /
    • pp.26-27
    • /
    • 2004
  • 충청북도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내륙에 위치한 지역으로 신행정 수도 후보지와 인접, 앞으로 배후 도시 개발로, 지회 발전에 많은 도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충청북도지회는 현재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전 직원이 합심하여 하면 된다, 할 수 있다, 해보자는 자세로 노력하면 반드시 우수 지회로 거듭 날 것으로 생각하며 열과 성의를 다하여 힘찬 재기를 다짐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