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낭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33초

가막만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의 생식소 발달과 체성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biochemical composition and gonadal development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Bivalvia: Arcidae) from Gamag bay of Southern coast, Korea)

  • 신윤경;임재현;손맹현;김응오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3-79
    • /
    • 2012
  • 전남 여수시 가막만에서 양식되고 있는 피조개를 대상으로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1월 동안 근육, 내장낭 및 몸체의 생화학적 체성분의 변동과 생식주기간의 관계를 계절적인 변동과 관련하여 조사하였다. 피조개 양식장의 월별 평균 수온은 겨울에 $7-12^{\circ}C$, 여름에 $20-25^{\circ}C$였으며, 염분은 평균 30.1-33.8‰에서 변화하였다. 영양염의 계절적 변화는 9월에 최대 ($13.04{\mu}g/L$) 를 보였으며, 연 평균농도는 $4.6{\mu}g/L$였다. 피조개의 주산란기는 7-8월이었으며, 겨울동안 생식소는 불활성기를 나타내었다. 단백질함량은 내장낭에서 낮았다. 체성분 가운데 가장 큰 변화는 내장낭내 지질과 탄수화물이었으며, 기관별 단백질은 연중 비교적 일정하였다. 내장낭은 생식주기 동안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내장낭내 수분과 지방의 함량은 다소 역관계를 보였다. 지방함량의 최대시기인 불활성기에 수분이 최소였으며, 산란 직후 지방함항은 가장 낮았으며, 지방이 소모되면서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내장낭내 단백질 량은 근육에 비해 낮았다. 내장낭의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은 생식소 발달과정동안 에너지원으로서 주요한 역할을 하며, 먹이가 부족한 시기에 기초대사유지를 위해 이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재래산양 및 면양에 있어서 쥐와포자충 (MCR주)의 감염 동태 (Infection kinetics and developmental biology of Cryptosporidiam muris (strain MCR) in Korean native kids and Corriedale lambs)

  • 이재구;김현철;은길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3호
    • /
    • pp.171-182
    • /
    • 1998
  • 반추동물에 있어서 쥐와포자충의 감염 동태에 관한 지식에는 불충분한 점이 많다. 그래서 11마리의 1~20일령의 재래산양과 면양에 $2{\;}{\times}{\;}10^7$의 쥐와포자충 (MCR주) 난포낭 (oocyst)을 한 번에 경구투여한 다음 분변 내의 난포낭 배설 양상을 관찰하였다. 11마리의 재래산양과 면양 중 4마리에서만 분턴에서 억대 (108/day/head)에 이르는 난포낭이 검출되었는데 반해 3마리에서 천만대, 나머지 예에서는 극히 적은 수만이 검출되었다. 전기생충증명기는 19-35일로서 평균 $28.1{\;}{\pm}{\;}5.8일$, 기생충증명기는 16-85일로서 평균 $47.8{\;}{\pm}{\;}21.1일$, 분변 내 난포낭 배설량은 최고가 $613.5{\;}{\times}{\;}10^6$, 평균 $156.6{\;}{\times}{\;}10^6{\;}{\pm}{\;}253.6{\;}{\times}{\;}10^$이었으며, 이 원충에 대한 연령의존성 저항은 인정 할 수 없었다 한편, 감염 후 44일째 난포낭 배설 극기에 희생시킨 재래산양의 제4위 점액세포의 미세융모 내에서 이 원충의 모든 단계의 발육기를 관찰할 수 있었다. 모든 발육기에서 바깥쪽이 숙주세포의 두터운 사상돌기로 둘러싸여 있는 쥐와포자충 특유의 전단 돌출부를 볼 수 있었다. 또, 이 원충의 재래산양/마우스 모델 감염실험에서 마우스 고유의 난포낭 배설 양상이 인정되었다. 이 원충의 면역원성과 난포낭의 재생산이 도전감염실험과 면역억제에 의하여 증명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반추수에 있어서 쥐와포자충의 내생발육을 입증하였다.

  • PDF

완전 격막형 슬개상 추벽에 의해 합병된 슬개상 점액낭 내 외상성 출혈 -1예 보고- (Traumatic Hemorrhage in Suprapatellar Bursa Complicated by Suprapatellar Plica with Complete Septum -A Case Report-)

  • 고해석;인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3-65
    • /
    • 2008
  • 37세 남자의 슬개상 점액낭내 외상성 출혈을 치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둔탁한 외상 후 슬개상 부종과 통증이 지속되었고, 방사선 사진에서 비정상 소견은 보이지 않았지만, 자기 공명 영상의 시상면 사진상 액체액체층이 있는 고립된 슬개상 낭종이 관찰되었다. 관절경적 검사에서 완전한 격막의 슬개상 추벽이 있었고 슬관절내에 활액막염의 소견은 없었으며 슬개상 추벽을 절제하자 점액낭에 고여있던 혈액이 새어 나왔다. 슬개상 점액낭 내에 색소성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이나 다른 종양을 의심할 만한 병변은 없었다. 수술 후 증상은 소실되었고 추시 6개월째 재발은 없었다.

  • PDF

Gonepteryx속(인시목: 흰나비과) 교미낭의 미세구조에 관한 비교분석 (A Microscopic Study of the Bursa Copulatrix of Gonepteryx (Lepidoptera: Pieridae))

  • 정선우;이창언;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3호
    • /
    • pp.121-128
    • /
    • 1992
  • 흰나비과중 Gonepteryx속의 6아종에 대한 교미낭을 해부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종간의 형태를 비교분석 하였다. 흰나비과의 다른 속에서처럼 이속의 교미낭도 ductus bursa, corpus bursa 그리고 appendix bursa의 세 부분으로 뚜렷이 구분되었으며, corpus bursa의 형태는 종에 따라 그 차이가 비교적 뚜렷하였으나 signum은 모두 ribbon모양으로 속내에서 매우 안정된 형태를 보였다. Signum주위 내벽에는 동심원상으로 많은 주름이 발달해 있었으며 그곳에는 내벽돌기가 없었고 맞은편에 광범하게 분포하였다. 내벽돌기는 대부분 방추형이었으며 교미낭의 형태와 내벽돌기의 상태로 고려했을때 G. aspasia와 G.taiwana가 속내에서 가장 유사한 종들로 인식되었다.

  • PDF

항원성 자극을 받은 임파절세포의 Rough 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 의 변화 (The Changes of Rough Surfaced Endoplasmic Reticulm of Lymph Node Cells Stimulated by Antigen)

  • 이창수;권세훈;손태중
    • Applied Microscopy
    • /
    • 제3권1호
    • /
    • pp.23-28
    • /
    • 1973
  • 토끼의 족서부 피하로 Bovine Gamma Globulin과 Ineomplete Freud's Adjuvant를 주입한 후 국소임파절내의 항체생산 세포인 형질세포의 rER을 경시적으로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항원투여전의 형질세포의 rER 는 일반적으로 편평낭상 (flattened sac) 을 정하고, 항원 투여 후 3 일째에는 일반적으로 소포상 (vesic lar) 를 그리고 7 일내지 10 일째에는 공포상 (vacuolar) 를 정하고 그 강내에는 intracisternal granule 이 다수 출현하며 20 일째에는 다시 확장낭상 내지는 편평낭상을 정하게 된다. 이상의 연구성적으로 보아 편평낭상을 정하는 형질세포의 rER에 항원성 자극을 가하면 처음에는 소포상으로 되었다가 공포상으로 변화하며, 항원 성자극이 소퇴하면 다시 편평낭상으로 복귀된다고 생각된다.

  • PDF

성견의 2면 골내낭에 Calcium Sulfate 이식이 치주조직 치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lcium Sulfate on the Periodontal Healing of 2-Wall Intrabony Defects in Dogs)

  • 최동훈;최성호;조규성;채중규;김종관;문익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2호
    • /
    • pp.395-409
    • /
    • 1997
  • 성견의 2면 골내낭에서 calcium sulfate 이식이 치조골 및 백악질 재생 능력과 접합상피의 근단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3마리 성견의 상하악 제3대구치 근심면을 연결하는 깊이 4mm, 너비 4mm의 2면 골내낭을 외과적으로 형성하고 calcium sulfate를 이식한 군을 시험군으로, 치은박리술만을 실시한 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술후 8주후에 치유결과를 접합상피의 길이, 백악질 형성, 치조골 형성, 결합조직 유착으로 나누어 조직학적으로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접합상피의 길이는 대조군에서 2.28mm, 실험군에서 0.51mm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2. 백악질 형성은 대조군에서 1.33mm, 실험군에서 2.59mm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3.치조골 형성은 대조군에서 1.02mm, 실험군에서 2.30mm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4. 결합조직 유착은 대조군에서 0.50mm, 실험군에서 1.14mm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본 실험상의 한계내에서 고려하여 볼 때, calcium sulfate는 2면 골내낭의 치주치료에 치조골 및 백악질 재생 효과가 있으며 안전하고 경제적인 골 이식재 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식소 발달 단계에 따른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 변화

  • 정의영;김종배;문재학;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51
    • /
    • 2003
  •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식기구를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생식주기는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되었고, 폐각근 조직 및 내장낭 조직 내의 생화학 성분들은 생화학적 분석방법에 의해 조사되었다. 바지락의 생식소 발달에 따른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3월), 후기활성기 (2-5월), 완숙기 (4-8월), 부분산란기 (5-10월), 퇴화/비활성기 (8-2월)의 연속적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폐각근 조직내 총단백질 함량 (%) 변화는 초기 및 후기 활성기인 2월에 최대에 이른다음 완숙기 및 부분활성기인 5월에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총단백질 함량 변화는 완숙 및 부분산란기인 6월에 최대에 이른 후 부분산란기인 6월부터 10월까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총단백질 함량 변화 사이에는 음 (-)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 = -0.292, P < 0.05). 폐각근 조직 내 총지질 함량 (%) 변화는 비활성기 및 초기활성기인 1월에 최대에 이른 후, 2월에 급격히 감소되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총지질 함량 변화는 후기활성기 및 완숙기인 4월에 최대를 나타내었고, 부분산란기인 5-10 월 사이에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총지질 함량 변화 사이에는 음 (-)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0.699, p < 0.05). 폐각근 조직내 글리코겐 함량 (%) 변화는 후기활성기 및 완숙기인 5월에 최대에 이른 다음, 부분산란기인 5월부터 10월까지 급격히 감소되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글리코겐 함량 변화는 초기 및 후기활성기인 2월에 최대에 이른 다음, 후기활성기인 3월에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그 후 완숙 및 부분산란기인 4월에서 7월까지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글리코겐 함량 변화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 = 0.062, p > 0.05). 상기 언급된 결과들은 바지락의 폐각근 조직 및 내장낭 조직들이 중요한 에너지 저장소이며, 영양 공급 기관임을 알 수 있었으며,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들의 영양물질 함량 변화는 생식소의 에너지 요구에 따라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함치성 낭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특성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OF DENTIGEROUS CYSTS ACCORDING TO INVOLVED AREA)

  • 박성연;남동우;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9-179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함치성 낭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특성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I, II, III군으로 나누었으며 첫 번째 I군은 함치성 낭에 이환된 부위가 유치 하방의 계승 영구치인 군이며, II군는 이환부위가 영구 대구치 부위인 군이며, III군은 이환부위가 상악 전치부의 과잉치인 경우로 나누었다. 저자는 I군의 49증례와 II군의 36증례, III군의 15증례들에 대하여 이들의 병록지와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 기초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적 특성을 비교,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유치 하방의 영구 계승치를 포함하는 I 군이 49증례로 가장 많았고, II군과 III군이 각각 36증례, 15증례였다. 2. 함치성 낭은 전체적으로 10대에 가장 호발하였으며, 계승치군인 I군에서는 10대 이전과 초반에 87.8%, 대구치 군과 과잉치 군인 II군과 III군에서는 이보다 늦은 시기에 호발하였다. 3. 남자가 여자보다 2.5배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4. 환자의 내원 동기는 종창이 50%로 가장 많았고, 정기 검진 (32%), 동통(9%) 순이었다. 5. 낭의 유형은 I군에서 lateral type이 71.4%로 많았고, II군과 III군에서는 central type이 각각 94.4%, 100%로 많았다. 6. 병소의 크기는 I군에서는 2치관 크기가 II군에서는 1치관 크기가, III군에서는 4치관 크기 이상이 많았다. 7. 이환된 치아의 대부분은 변위를 보였고 변위된 치아의 일부에서 치근 발육이 지연되거나 치근 만곡 경 향을 보였다. 8. 낭의 성장에 의한 치조골 반응은 I군에서는 협측골 팽창(67.3%)이 많았고, II군에서는 골팽창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66.7%)가 많았으며, III군에서는 구개측 골팽창(60.0%)이 많았다. 9. 낭에 포함되는 치아로는 하악 제 3대구치가 31%로 가장 많았고 하악 제 2소구치 (30%), 상악 전치부 과잉치 (15%), 상악 견치 (8%), 하악 제 1소구치 (5%) 순이었다. 10. I군에서 추정되는 낭의 발생 원인으로는 치수절단술을 받은 유치가 59.2%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심한 우식 및 치료 받지 않은 외상 병력등 기타 가능한 원인들이 있었다. 11.함치성 낭의 치료법으로는 I군의 경우 61.2%에서 조대술이 시행되었고, II군과 III군의 경우 61.1%, 80.0%에서 적출술이 시행되었다.

  • PDF

관절 와 골 결손이 동반된 재발성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증 - 3례 보고 - (Recurrent Traumatic Glenohumeral Instability associated with Glenoid Bone Defect)

  • 태석기;오종수;임무준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9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224-224
    • /
    • 2009
  • 견관절 전방 외상성 불안정증에서 관절 낭-순 재건술은 재발성 불완정증 예방 및 기능 회복에 있어 매우 성공적인 술식이다. 그러나 관절 와의 30 % 이상의 심한 골 결손이 존재 할 때 관절 낭-순 재건술 만으로는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힘들다. 본 연구는 관절 와의 심한 골 결손을 가진 재발성 전방 외상성 불안정성 견관절에서 관절외 자가 장골 이식으로 보강한 관절 낭-순 재건술의 술기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임상적으로 건강한 조랑말의 결막 진균총 조사 : Nocardia 종 및 Streptomyces 종을 포함하여 (Conjunctival fungal flora of the clinically normal pony eye : Including Nocardia and Streptomyces species)

  • 서강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17-225
    • /
    • 1998
  • 영국 Hertfordshire의 두지역에서 사육되고 있는 건강한 조랑말의 결막낭내 상존하고 있는 진균총의 분포도를 조사 비교하고자 36두 조랑말의 양안(총72안)의 상 하 결막낭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진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총 76.4%의 안구에서 진균이 발견되었으며, 13종이 분리되었다.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분리된 진균은 Aspergillus spp(27.8%), Nocardia spp(25.0%), Cladosporium spp(19.4%), Penicillium spp(9.7%) 및 Penicillium spp(9.7%)순이었다. 1지역에서는 Nocardia spp와 Cladosporium spp가 가장 많이 분리된 반면, 2지역에서는 Aspergillus spp가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상 하결막낭내 진균분리율의 차이는 상결막낭에서보다는 하결막낭내에서 진균이 유의성 있게 많이 분리되었다(p<0.05). 시료채취시에 사용된 swab의 상태에 따른 비교에서 건조된 swab과 젖은 swab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