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해해역

Search Result 42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해상태양광 부유체 안정성 평가를 위한 해양기상 적용에 관한 연구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31-332
    • /
    • 2018
  • 해상태양광 부유체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우리나라 해역의 풍랑특보 분포 특성 및 태풍의 변화 경향, 기상재해의 특성 등을 분석, 요약하였다. 풍랑특보 일수는 한반도 동쪽에 해당하는 동해 남부 및 남해 동부, 동해 중부 해역에서 많았고 한반도 서쪽에 해당하는 서해 중부 및 서해 남부, 남해 서부 해역에서 적은 분포를 보였다. 이는 이동하면서 발달하는 온대저기압과 계절풍의 영향과 관련되어 있다. 계절로 구분해 보면, 겨울과 봄에 풍랑특보 일수 분포가 많고 상대적으로 가을과 여름에 적다. 근래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태풍의 발생 수는 미미하지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세기는 강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1년 평균 3.2개이고, 남해를 통과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서해를 통과하는 태풍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동해를 통과하는 태풍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대규모적인 기상재해를 유발시키는 태풍은 주로 남해안을 통과하는 태풍이고 시기는 8월 하순에서 9월 중순에 해당한다.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PDF

Patterns in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and Benthic Health Assessment at Longline and Bottom Culture Shellfish Farms in Gangjin Bay, Namhae, Korea (남해 강진만 수하식 및 살포식 패류양식장의 다모류군집구조 양상과 저서생태계 건강도 평가)

  • Sunyoung Kim;Sang-Pil Yoon;Sohyun Park;Rae Hong 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30 no.1
    • /
    • pp.20-31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benthic communities resulting from aquaculture activities and to assess the benthic health status of surface sediment in Gangjin Bay, a region known for concentrated shellfish aquaculture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Survey stations were divided into longline culture, bottom culture, and non-cultivation areas.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hysiochemical factors such as the grain size,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total organic carbon in Gangjin Ba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ampling stations. However, the species number, density, and diversity were relatively lower at the sampling stations in the bottom culture areas than at the other stations throughout the entire survey period. Cluster analysis and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also clearly distinguished the benthic communities in the bottom culture areas from those in the other sampling areas. At the sampling stations in the longline culture and non-cultivation areas, Scolectoma longifolia and Sigambra tentaculata, which are indicator species of organically enriched areas, appeared as dominant species. However, excluding some stations influenced by physical factors such as the water depth and current speed, the occupancy rate was not high. The health assessment results, conducted using the fisheries environment assessment method, revealed good conditions with Grades 1 and 2 across the entire area. However, an examination of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benthic communities and the benthic health index indicated that the benthic environment in the bottom culture areas was affected by physical disturbances.

The Distribution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한국 남해의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 PARK Joo-Suck;LEE Sam-Seuk;KANG Young-Shil;LEE Byung-Don;Hun Sung-Hoi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3 no.3
    • /
    • pp.245-252
    • /
    • 1990
  • The distribution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waters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ir reliability as indicator species of different water masses. The sample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vertically from about 5m above the bottom at 28 stations along 8 transects in three different months, February, April, and August, 1988. The sampling gear used was 0.45-meter NORPAC plankton net fitted with 0.33mm mesh. Acartia clausi, Centropages abdominalis, and Sagitta crassa were found to be reliable indicator species of neritic cold waters; Pleuromamma gracilis, Undinula darwini, Calocalanus plumulosus, Calanopia elliptica, and Sagitta enflata were of oceanic warm waters; Temora discaudata and Centropages furcatus were of neritic warm water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es of the species found, the distinctive area in February was divisible into two regions or water masses, the coastal and off-shore regions; in April, however, it was divisible into four regions. In August, it was divisible into three areas, further indicating the strength of the Kuroshio tributaries pushing toward the coast.

  • PDF

Early Detec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Blooms in Namhaedo in 2019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을 이용하여 2019년 남해도 해역에서 발생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적조의 조기검출)

  • Park, Tae Gyu;Kim, Jin Joo;Song, Seon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6
    • /
    • pp.674-680
    • /
    • 2020
  •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was applied for the early detection of red tides in the coastal areas of South Gyeongsang in 2019.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was detected at very low cell densities (0.0015~0.0058 cells mL-1) in early June, but its cell density increased by up to 0.163 cells mL-1 in mid-August. Higher cell densities were detected mainly in Namhaedo using both qPCR and microscopy (maximum 24 cells mL-1) in late-August. Accordingly, a red tide alert was issued on September 2 (maximum 200 cells mL-1) on this island. C. polykrikoides cell density in Namhaedo peaked on September 11 (12,000 cells mL-1). Our results indicate that C. polykrikoides was detected at very low cell density in Namhaedo prior to bloom, which occurred in the same area. Therefore, qPCR is a useful tool to detect even at very low cell densities of C. polykrikoides for early warning of blooms.

Inversion Phenomena of Temperature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한국 남해의 수온역전현상)

  • KIM Hee-Joon;YUG Sang-Sup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6 no.2
    • /
    • pp.111-116
    • /
    • 1983
  • Temperature inversions are investigated by using the oceanographic data (1965-1979) obtained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temperature inversions in winter occur about six times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sumner. In the west region of the Southern Sea, the inversions are found at any depth in winter. In the east region of the Southern Sea, however, they usually appear in surface layer in winter. Such inversion phenomena in winter can be explained by surface cooling effects associated with a net heat loss at the sea surface and a southward advection of surface cold water due to north-westerly monsoon. In summer the inversion layers are usually formed below the thermocline in the west region of the Southern Sea, and in surface layer in the east region. The former results from the mixing between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and the latter is generated by an offshore flow of cold water near coast due to southwesterly wind.

  • PDF

고리 주변해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 허성희;조춘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98-299
    • /
    • 2000
  • 동해 남부 연안은 남해, 서해와는 달리 수심이 깊고, 해안선이 단조로우며 외해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남해, 서해와는 상당히 다른 어류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동해 연안 어류에 관한 연구가 거의 매우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가 실시된 고리 주변해역은 1978년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 가동 이후 현재 4호기가 가동되고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배출된 온배수는 주변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주변 해양생태계 변화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중략)

  • PDF

진도군 주변해역의 새우조망 어획물의 종 조성과 계절변동

  • 장대수;김영혜;오택윤;고정락;차형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58-359
    • /
    • 2001
  • 우리나라 남해 서부 해역에 위치한 진도군 해역은 동부는 남해, 남부는 제주해협과 인접한 다도해로서 그 수심은 50m내의로 말은 천해역을 이루고 있다. 이 해역은 황해저층냉수, 황해난류수, 한국 남ㆍ서 연안수, 양자강 희석수 등 계절에 따라 이들 수계의 영향을 받고 있어 이들 수계간에 형성되는 조경역의 변동이 어장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부어류의 호어장을 형성한다(Gong and Cho, 1972). 또한 년도별 계절별 해황의 변동과 황해저층냉수의 소장에 따라 갈치, 삼치, 병어 등 주요 수산자원의 풍흉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 환경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중략)

  • PDF

봄철 나로도 협수로 인근해역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포특성

  • 윤양호;한명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96-197
    • /
    • 2000
  • 한국 남해 중앙부에 위치하는 나로도 연안해역은 대규모 적조 형성으로 막대한 수산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매년 첫 발생해역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국립수산진흥원, 1998), 주변해역의 수괴 확장정도에 의해 복잡한 해양환경 특성을 나타내는 곳이기도 하다(양 등, 1999). 따라서 본 해역의 해양환경 및 생물분포는 시·공간적으로 매우 다른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이른봄 나로도 인근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대하여 고찰한다(윤과 박, 2000). (중략)

  • PDF

Study on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the red tide occurrence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I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d tide occurrence and the oceanographic factors (원격탐사를 이용한 한국 남해 중부해역에서의 적조 예찰 연구 II. 적조발생과 해양인자간의 상관성 연구)

  • 윤홍주;남광우;조한근;변혜경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8 no.4
    • /
    • pp.938-945
    • /
    • 2004
  •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d tide occurrence and the oceanographic factors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the favorable oceanographic conditions for the red tide formation are considered as follows; the calm weather increases sea water temperature in summer and early-fall which the red tide occurs frequently, and the heavy precipitation brings some riverine water to ween: low salinity, high suspended solid, low phosphorus and high nitrogen, respectively. We decided the potential areas in the coastal zones vulnerable to the red tide occurrence based on the limited factors controlling the growth of phytoplankton. By using GIS through the overlap for three subject figures (phosphorus, nitrogen and suspended solids), it was founded that the potential areas are the Yeosu∼Dolsan coast, the Gamak bay, the Namhae coast, the Narodo coast, the Goheung and Deukryang bay. This result has very well coincided to the results of the satellite and in-situ data.

환경생체지표를 이용한 광양만 주변해역의 환경모니터링 및 퇴적물 독성실험 연구

  • 신영범;오재룡;심원준;임운혁;홍상회;이동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3-176
    • /
    • 2002
  • 광양만 및 주변해역의 참굴을 대상으로 환경생체지표를 측정하여 환경독성을 조사하였다. 광양만에서는 세포치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라이소솜의 안정성은 남해도 주변정점은 70%내외 인데 반해서, 기준정점의 50% 내외의 상대적으로 낮은 안정성을 보인다. 에스테라제 활성은 광양내만 및 태인교 부근의 정점과 남해도의 정점 8, 9 들은 63-88 FU 정도로 낮아서 활성이 저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중나선 DNA의 함량은 남해도의 정점들은 150 FU 내외의 값을 보이고, 광양만은 130FU 내외로 함량이 낮고, 정점간의 차이가 크지 않다. 전체적으로 기준정점 및 외양역의 정점 10은 독성물질에 의한 영향이 적은 데 반해서, 광양만은 독성물질에 의해서 특히 라이소솜 온전성, 에스테라제 활성 등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남해도 주변의 인근해역은 광양만에 비해서는 적은 영향을 받고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른 측정자료와 비교하여 볼 때 광양만지역은 거제도와 같은 청정해역보다는 독성물질의 영향을 더 받았고, 마산과 같은 극심하게 오염된 지역보다는 독성물질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인접한 가막만과 유사하거나 조금 더 독성물질의 오염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퇴적물 독성실험에서 200 mg/ml(이하 mg)이상의 농도에서 전정점에서 100 mg에서 부분적 및 세포치사독성이 나타났으며, 라이소솜 안정성은 50 mg에 노출 했을 때에는 정점, 12, 20, 26, 42 에서는 25% 내외의 낮은 값을 보이고, 대부분의 정점에서 50 % - 70% 내외의 온전성을 보인다. 에스테라제 활성은 100 mg에 노출했을 때 묘도와 광양제철 인근에 위치한 정점 10, 12, 16, 22에서는 50 %내외의 값을 보였고(정점 22: 36%로 최저), 내만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60% 내외의 활성을 보였다. 양식장이 있는 정점 2, 외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정점 46, 51, 54 등은 활성 값이 70% 이상으로 퇴적물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중나선 DNA 함량은 28.4 % - 49%로 대조군에 비해서 감소가 크다. 대부분의 정점이 대조군의 30% 내외로 정점 간의 차이는 크지는 않다. 그러나 다른 측정자료와 같이 정점 22에서 18%로 최소치를 나타내고, 정점 2, 12에서 20% 내외의 값을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오염물질의 유입이 크고, 광양제철 인근 정점 들이 모두 다른 정점에 비해서 낮아서, 퇴적물 독성이 높은 정점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