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해해역

Search Result 423, Processing Time 0.244 seconds

Effect of Temperature on Catches of Anchovy and Laver In Eastern part of South Sea of Korea (한국남해동부해역에서 수온이 멸치와 김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 Ju;Kwoun Chul Hui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3.11a
    • /
    • pp.175-180
    • /
    • 2003
  • Water temperature data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during periods of 19m to 2002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ater temperature on catches of anchovy and laver in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The annual catches of anchovy and laver increased gradually although they showed fluctuations each year. Our findings indicated tint the catches cf anchovy and laver were controlled by various oceanographic conditions, mainly water temperature. The appearance of cooler sea surface water, warmer water at 0 to 20 m depth, and bottom water of about $15^{\circ}C$ caused relatively lower catches.

  • PDF

남해안의 해수 및 해저퇴적물 용출액과 적조생물 성장과의 관계 연구

  • Lee, Sam-Geun;Lee, Yeong-Sik;Im, Wol-Ae;Jo, Eu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47-449
    • /
    • 2007
  • 유해성 적조생물인 C. polykrikoides에 대한 해역별 적조잠재력 평가를 위하여 유해성 적조가 자주 발생하는 남해안의 소리도 부근해역, 광양만, 남해도 주변해역, 거제만, 부산연안의 해수 및 해저퇴적물을 채집하여 배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한 기본배지는 f/2배지에서 배양조건은 온도 $20^{\circ}C$, 염분 34, 조도 2000Lux, 그리고 실험생물은 대수증식기의 C. polykrikoides를 $300cells/m{\ell}$접종하였다. 해역별 해수에 대한 적조생물 성장은 광양만에서 가장 높아 적조발생 잠재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부산 기장, 거제, 남해연안 순서로 성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질산성 질소 농도는 $0.35{\sim}24.74{\mu}M$ 범위로 적조생물의 성장과 같은 순서를 나타내었다. 한편 해저 퇴적물 용출액은 적조생물의 성장을 현저히 촉진시켰으며, 남해도 미조연안의 해저 퇴적물 용출액에서 적조발생 잠재력이 가장 높았고, 부산 형제도연안, 광양만, 거제만, 소리도연안의 해저퇴적물 순서로 적조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적조생물의 성장은 인산염의 농도에 의해서 성장이 결정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용출된 인산염의 농도 $1.59{\sim}10.39{\mu}M$ 범위로 남해 미조연안, 부산 형제도 연안, 광양만, 거제만, 소리도 연안 순서로 C. polykrikoides의 성장과 같은 순서로 나타났다.

  • PDF

한반도 남해 패류생산역의 입자유기물질 거동 특성 I. 해역별 입자유기물질의 농도와 조성

  • 이필용;강창근;최우정;이원찬;양한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46-147
    • /
    • 2000
  • 해양에서 입자유기물질은 생태계 내 먹이망의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입자유기 물질이 생태계 내 먹이망의 에너지원으로 전환, 이용될 때 그러한 물질과 에너지 흐름 경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 물질의 구성 요소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지형구조와 양식대상 생물을 가지는 여러 내만의 양식 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한반도 남해의 대표적인 이매패류 양식해역 3개 해역에 대한 입자유기물질의 분포와 조성을 조사ㆍ비교하였다. (중략)

  • PDF

Regional optimization of an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for the retrieval of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Korean Sea area using NOAA/AVHRR data (NOAA/AVHRR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해수면온도 추출을 위한 지역적인 대기보정 알고리즘의 적용)

  • Yoon, Suk;Ryu, Joo-Hyung;Ahn, Yu-Hwan;Won, Joong-S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64-169
    • /
    • 2008
  •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수신한 자료인 NOAA 12, 16, 17, 18호등의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AVHRR) 센서자료와 국립조사원에서 제공하는 해양실측자료인 정선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두 가지의 알고리즘 적용을 통하여 비교 및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연구 기간은 2006년 1월부터 4월 자료 중 구름의 영향이 없는 영상에서 실측자료와 동일한 날짜 총 107개의 정점 값을 추출하였다. 위성 자료에서 해수면 온도 추출방법은 split window 방법으로, 고정계수 값을 사용하는 linear algorithm(MCSST), nonlinear algorithm(NLMCSST)을 이용하였다. 연구 지역은 동해, 황해, 남해 지역에 대한 지역별로 두 알고리즘을 비교 적용하였다. 전 해역의 값을 이용하여 위성자료와 실측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linear algorithm방법의 평균 오차 값은 0.71$^{\circ}C$이고 상관도는 1%이고, nonlinear 방법의 오차 값은 0.35$^{\circ}C$ 상관도는 1%로 나타났다. 해역별로는 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해는(ES)는 R=1, 오차 값은 0.37$^{\circ}C$ 황해(YS)는 R=0.99 오차 값은 0.125$^{\circ}C$ 남해(SS)는 R=0.99 오차 값은 1.2$^{\circ}C$보였다. non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해는(ES)는 R=1, 오차 값은 0.4$^{\circ}C$ 황해(YS)는 R=0.99 오차 값은 0.13$^{\circ}C$ 남해(SS)는 R=0.99 오차 값은 0.82$^{\circ}C$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동해와 황해지역은 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가 실측자료와의 오차 값이 작았고, 남해지역은 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보다 nonlinear 알고리즘을 적용한 것이 작은 오차 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남해 해역의 자료가 대기의 상태나 다른 영향을 받아 해수면온도 값이 추정된 것으로 보여 진다. 해역별로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수면온도의 산출을 통해서 위성자료의 정밀도 지구환경변화 모니터링 등 많은 연구에 위성자료의 활용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Quantitative Assessment of Micropollutant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남해 연안 해역에 있어서 미량유기오염물질의 정량적 평가)

  • Han, Sang-Kuk;Park, Ji-Young;Lee, Jong-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8 no.4
    • /
    • pp.213-219
    • /
    • 2005
  • In this study, we try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micropollutants in Gwangyang bay, Gamag bay and Yeoa bay, using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ir 310 chemicals. In the results, several dozen organic pollutants were detected in sampling sites, and the major chemicals detected were CH type chemicals, such as aliphatic and polycyclic compounds, and CHN(O) type chemicals, such as aromatic ammines and nitro compounds.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pollutants was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of species of organic pollutants with season. The total concentration of pesticides at each sampling site was measured within the range of $ND{\sim}9.11{\mu}g/L$. Insecticides and fungicides of pesticide type were detected in Gwangyang bay and Gamag bay, while six kinds of endocrine disrupter were detected in southern coastal water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hould estimated that the insecticides, the fungicides, and a few of the endocrine disrupters are major pollutant factors in southern coastal waters.

  • PDF

Oceanographic Condition of the Coastal Area between Narodo Is. and Solido 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and Its Relation to the Disappearance of Red-Tide Observed in Summer 1998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 Choi, Hyun-Yong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6 no.2
    • /
    • pp.49-62
    • /
    • 2001
  • Hydrographic surveys were carried out seven times during May 31, 1998 and September 24, 1998 in order to study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coastal area between Narodo Is. and Sorido 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South Sea) where the occurrence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is frequently observed in summer. Temperature and salinity of the water column from the surface to the depth of 30 m exhibit large seasonal variations. Mean temperature of the water column increased by 6 and mean salinity of the water column decreased by 2.71 psu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Both the freshwater supplied from the adjacent land and the precipitation over the study area cannot account for the observed salinity variations. The influx of the low salinity water from the offshore area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cause for the observed salinity changes. Surface salinity in the study area shows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in the period of outbreaking, mid-stage and disappearance of the red tide. Especially, salinity was abruptly lowered at the stage of disappearance of red tide as compared to salinity of the previous observation period. Vertical structure of water properties also became vertically homogeneous at the disappearance stage, while it was highly stratified in the previous observation. Such changes can only be explained by the inflow of low salinity water from the offshore,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possible cause for the disappearance of the red tide in the study area. This study suggests that exchanges of water, and 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between coastal areas and of shore area in the South Sea need to be studied in association with the general circulation of the South Sea in order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ccurrence and disappearance of the red tide in the coastal area of the South Sea.

  • PDF

Red Tide Detection Based on Two Stage Filtering with MODIS Chlorophyll Information (MODIS 클로로필 정보를 이용한 2단계 필터링 기반 적조 탐지)

  • Kim, Yong-Min;Byun, Young-Gi;Kim, Yong-Il;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70-175
    • /
    • 2008
  • 본 연구는 MODIS에서 제공하는 클로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2단계 필터링을 통해 우리나라 동해, 남해 연안에 대규모로 발생했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를 탐지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일반적인 적조 탐지 연구들은 클로로필과 적조 발생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클로로필의 농도가 높은 해역을 적조 발생 해역으로 탐지한다. 하지만 이 방법의 문제점은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해역을 적조 발생 해역으로 탐지함으로써 commission error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MODIS에서 제공하는 클로로필 정보를 바탕으로 적조 발생 해역을 추출하고, 2단계 필터링 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진해, 여수, 남해도 부근 해역에서 발생한 commission error를 제거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를 국립수산과학원의 적조속보자료와 함께 시각적 평가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향후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F-measure, JC(Jaccard coefficient), YC(Yule coefficient), 전체정확도를 탐지정확도 측정치로써 도입하여 정확도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 PDF

우리나라 해역별 수중거주시설 입지조건에 관한 연구

  • Park, Sang-Uk;Lee,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28-30
    • /
    • 2020
  • 우리나라 해역은 크게 동해, 서해와 남해로 나뉜다. 해역별 특성은 공간적 및 유체역학적으로 상이하여 해역별 수중거주시설의 설계에 있어 서로 다른 주요건과 시설구성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거시적 수중주거시설 설계기술 연구의 일환으로서 특히 해역별 공간 특성을 잘 갖춘 3곳의 입지 후보지(동해:Phoenix point, 남해:South Brother point와 서해:Mud point)에 대하여 요구되는 해역별 설계 환경부하를 최근 태풍Haishen, 태풍Maysak과 태풍 Bavi의 기상 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통해 비교하고 가정한 건축목표(Phoenix point: 속초시에 탈탄소 전력공급, South Brother point:부산항 수소연료 비축기지 및 해상 수소충전소, Mud point:에너지 자립형 기후중립 수산양식 기지)에 부합하도록 시설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우리나라 연안의 천해와 심해에서의 수중거주 가능성을 조사했다.

  • PDF

Spatial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 Sea, Korea during the early summer of 2018 (2018년 이른 여름 남해 연안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공간분포 특성)

  • Yoon, Yang Ho;Park, Jong Sick;Kim, Byoung Sub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7 no.2
    • /
    • pp.164-176
    • /
    • 2019
  • For this study, we carried out a field survey on the analysis for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eleven areas of the Korean South Sea during the early summer of 2018. The results from the study showed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nsisted of 56 genera and 105 species showing by diatoms with 52.4%, dinoflagellates with 40.0% and other phytoflagellates with 7.6%. The cell density of the phytoplankton ranged from 5.5 to 593.2 cells mL-1. The species number and cell density of the phytoplankton were high in the eastern waters of the South Sea and low in the western one.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dominated by the diatoms except in the Geumpo of Namhae, Ocheon-dong of Yeosu and Oenarodo of Goheung. The dominant specie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the centric diatoms, Skeletonema costatum-like species (ls), except for the Ocheon-dong and Chungdo of Wando. However, the Ocheon-dong was dominated by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by 41.1% dominance. On the other hand, Keumpo and Oenarodo was by dinoflagellate, Tripos fusus more than 12% dominance in the surface laye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Korean South Sea in the early summer were determined by the supply of nutrients through precip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