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자 상복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9초

『사례편람(四禮便覽)』에 기초한 남자 상복(喪服)의 고증제작에 관한 연구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Production of Men's Mourning Dress Based on Sa-ryae-pyeonram [四禮便覽])

  • 조우현;김혜경;동준희;박민재
    • 복식
    • /
    • 제66권8호
    • /
    • pp.123-137
    • /
    • 2016
  • Sa-ryae-pyeonram [四禮便覽], which was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representative reinterpretation book of Ga-ryae [家禮] and it was a widely used and ci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book contains Confucian values about the ritual of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is a description of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production of men's mourning dress based on Sa-ryae-pyeonram [四禮便覽]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empirical attitude of Confucian scholas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industrialization,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able to survive through preservation. Wearing the traditional mourning dress is not the only way to embody the traditional values in the modern society. It is will be necessary to study contemporary mourning dress as a reflection of traditional value.

Ceutyocestus aymatus의 인체 감염 1례 (A Human Case of Centrocestus armatus Infection in Korea)

  • 홍성종;서병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55-60
    • /
    • 1988
  • 이형흡층류의 하나인 Centrocestus armatus의 인체감염 1례가 praziquantel 투여후 성충을 수집, 동정함으로써 확인되었다. 환자는 42세 남자로 경남 산청군에 거주하였으며 상복부 통증, 설사, 소화불량 등을 호소하였다. 환자는 간흡충, 이형흡충류 및 극구흡충 충란 양성이었다. 장흡충류 치료를 위하여 praziquantel 10mg/kg를 투여하였고 MgSO4으로 설사를 유도하고 설사변을 입체해부현미경으로 검사한 바 C. armatus 성충 1마리와 극구흡충 유충 2마리가 수집되었다. 환자는 피라미 등 민물고기를 자주 생식하였다 하며 치료 2∼3주 전에도 피라미를 회로 먹었다고 한다. 따라서 피라미를 비롯한 민물고기가 C. armatus의 감염원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심호흡 방법에 따른 상복부 수술환자의 폐 환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ep Breathing Methods on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of Patients Who experiened Upper-abdominal surgery)

  • 황진희;박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9-147
    • /
    • 1994
  • 본 연구는 수술환자의 술 후 폐환기능 회복을 돕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부산시내에 소재한 P 대학병원의 일반욋과에 입원하여 전신마취하에 상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3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하였고, 처음 4주간동안 대조군을, 다음 4주간에 실험군을 자료수집하였다. 실험군에는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법을, 대조군에는 호흡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자발적인 심호흡법을 수술 후 의식이 회복된 직 후부터 매 1시간마다 규칙적으로 24시간동안 실시하였다. 폐환기능의 측정도구는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여 임상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Vitalograph Compact를 사용하였으며, 수술 전과 수술 후 24시간, 수술 후48시간, 수술 후72시간, 각 각 4회에 걸쳐 대상자들의 노력성 폐활량과 일초 노력성 호기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수집한 자료를 SPSS $PC^+$를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t검정, $X^2$검정, 일원변량분석으로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들의 일반적특성은 여성이 41.3%, 남성이 58.7%이며, 평균연령은 $48.48{\pm}12.26$, 흡연습관은 대상자 전체의 43.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호흡기 질환은 전체의 8.7%가 앓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방법은 수술 후의 노력성 폐활량에서 24시간에 $1.46{\pm}0.54L$, 48시간에 $1.58{\pm}0.60L$, 72시간에 $1.90{\pm}0.61L$로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530, P=0.035). 즉 시간경과에 따라 폐환기능의 회복에 효과적이었다. 3) 호흡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자발적인 심호흡 방법은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24시간에 $1.19{pm}0.43L$, 48시간에 $1.35{\pm}0.42L$, 72시간에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3.480, P=0.037), 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도 24시간에 $1.00{\pm}0.28L$, 48시간에 $1.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술 후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폐환기능의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48시간에 남자($1.78{\pm}0.61L$)가 여자($1.27{\pm}0.45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t=2.170, P=0.042), 72시간에도 역시 남자($2.16{\pm}0.56L$)가 여자($1.50{\pm}0.47L$)보다 더 높았다(t=2.910, P=0.008). 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24시간에서 남자가 $1.54{\pm}0.60L$, 여자가 $1.00{\pm}0.30L$으로 유의하였고 (t=2.460, P=0.023), 48시간에 남자가 $1.64{\pm}0.62L$, 여자가 $1.09{\pm}0.41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360, P=0.028), 72시간에도 남자($1.96{\pm}0.62L$)가 여자($1.33{\pm}0.50L$)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t=2.540, P=0.019). 즉 실험군의 술 후 폐환기능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요약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법이 호흡기구를 사용하지않은 자발적인 심호흡보다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있어서 더 우수한 방법이었다. 그러므로, 임상간호사는 상복부 수술환자의 술 후 폐환기능 회복을 돕고 나아가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규칙적인 심호흡법을 술 후에 간호중재의 한 방안으로 실시할 것을 권장하며, 아울러 병동의 사정 상 호흡기구의 비치가 가능하지 않다면 호흡기구를 사용하지않은 자발적인 심호흡법을 술후에 꾸준히 적용하는것도 임상간호학발정에 기여하리라고 본다.

  • PDF

식도암 환자에서 식도암적출술후 활동성 위궤양에 의해 발생한 위-공동 누공 (Gastro-Cavenous Fistula Developed after Esophagectomy(Ivor Lewis Operation) Due to Active Gastric Ulcer in Esophageal Cancer)

  • 김성철;심영목;김관민;김진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49-52
    • /
    • 1999
  • 58세 남자가 5개월 전부터 시작된 상복부 불쾌감과 연하곤란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입원후 시행한 검사상 중흉부(mid thoracic level)의 식도암으로 확인되어 식도암 적출술(Ivor Lewis 술식)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특별한 문제없이 지내던중 술후 20일째부터 기침, 객담, 열, 오한이 시작되면서 술후 22일부터는 상복부 통증 및 전반적 복부압통이 시작되어 시행한 식도위 내시경 검사에서 위-공동 누공으로 확인되어 응급 수술 시행하였다. 수술시 위튜브(Gastric tube)의 잔여 위저부(Fundus)와 우측상엽의 농양성 공동이 누공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활동성 위궤양에 의한 위튜브(Gastric tube)의 분해(Resolution)에 의해서 발생한 위-공동 누공으로 확인되어 문헌고찰과 더불어 발표하는 바이다.

  • PDF

담석을 동반한 담낭내 간질 감염 1례 (A Human Case of Ballbladder Fascioliasis in Korea)

  • 홍성태;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1호
    • /
    • pp.89-94
    • /
    • 1986
  • 경북 문경군에 거주하는 48세의 남자가 반복되는 상복부의 선통을 주소로 점촌의 외과의원에서 진찰과 검사를 받은 결과 담낭내에 담석이 있음을 확인받고 수술을 위해 영남대학병원에 입원하였다. 1984년 11월 30일에 담낭절제술을 받아, 담석을 제거하였고, 수술 당시의 관찰에서 간과 담도에 별다른 소견이 없었다. 절제된 담낭의 병리 조직표본에서 담도에서 4cm되는 부위에 궤양, 출혈, 담낭벽이 국소적인 파괴 및 호산구를 위시한 염증세포의 전반적인 침윤등이 관찰되었고 괴사된 조직과 경계부에서 충란이 관찰되었다. 이 병변 부위를 긁어 모아 충란을 관찰한 결과 길이가 $143~155{\mutextrm{m}}$이고 난개가 있어, 간질(Fasciola sp.)의 충란으로 진단하였다. 이 증례를 문헌상 간질의 5번째 국내감염례로 보고한다.

  • PDF

6 cm 절개선을 통한 수기 보조 복강경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 (Hand-assisted Laparoscopic Abdominal Aortic Aneurysm Repair Through a 6 cm Incision)

  • 최형윤;송석원;이기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45-648
    • /
    • 2009
  • 저자들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복강경을 이용한 수기보조 방법으로 복부 대동맥류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67세 남자였으며, 복부 대동맥류의 직경은 약 5.8 cm였다. 첫 단계로 상복부에 6 cm 절개선을 내고, 복강경하에서 집도의의 왼손을 이용하여 대동맥류 주위를 박리하였다. 근위부 문합은 절개창을 통하여 직접 하였으며, 인조혈관의 양쪽 다리를 후복막을 통하여 양족 서혜부에서 총대퇴동맥과 단측문합하였다. 환자는 술 후 6시간 후 경구 식이를 시작하였으며, 술 후 4일째 퇴원하였다.

"기영회도(耆英會圖)"에 나타난 16세기 복식에 관한 연구 - 남자복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ress During the 16th Century of Chosun Dynasty through "Kiyeonghoido" - Focusing Men's Costume -)

  • 최지희;홍나영
    • 복식
    • /
    • 제53권3호
    • /
    • pp.121-135
    • /
    • 2003
  • This paper is about the dress styles during the 16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just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rough painting-Kiyeonghoido. In the Chosun period, dress styl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presenting the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The most remarkable signs of social standing are the hair ornaments. Officials in ranks, noksas, and seoris are wearing a same, a yugakpyeongjeongeon and a mugakpyeongjeongeon respectively. The head ornament for musicians in high ranks is a samo, and, for those in low ranks a hood or a heuklip. Accordingly, head ornaments were important articles among apparels, and especially ripja was an article that sensitively reflected the contemporary fashion. Such a trend also influenced the common people's styles of dress. Thus, the style of the heuklip worn by the chamberlain in Kiyeonghoido resembled of yangban's. Actual official uniforms also diverged from the specifications for them. Sangboks were red for both dangsanggwans and danghagwans, but their ranks were marked by the material of their dress rather than by the breast plates. Dress styles change over time as the society members influence and are influenced by each other. Therefore, owing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a hierarchical society, dress styles are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wearers' social standings and roles, and various dress styles emerge that deviate from regula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paper is to review the diversity of the dress styles during the 16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긴이형흡충과 여러 종의 장흡충에 혼합감염된 인체감염 1례 (One human case of natural infection by Heterophyopsis continua and three other species of intestinal trematodes)

  • 홍성종;정창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87-90
    • /
    • 1996
  • 긴이형흡충(Heterophyopsis continua)에 의한 인체감염 1례를 보고한다. 이 사람은 53세 남자로 경상남도 진주시에 거주하였으며 수년 동안 반염수어와 민물고기를 즐겨 생식했다고 하였다. 대변 겁사에서 간흡충 요코가와흡충. 극구흡충의 충란이 검출되어 이 사람에게 praziquantel을 투여하였다. 치료 후 설사변에서 긴이형흡충 2마리, 유해이형흡충 12마리, 요코가와흡충 2,329마리와 호르텐스극구흡충 2따리를 수집하였다. 이 사람의 임상증상은 소화불량 상복부불쾌감, 식욕부진, 피로감 등이었다. 이 증상은 소수의 긴이형흡충, 유해이형흡충과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보다는 많은 수의 요코가와흡충 감염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증례는 문헌상 긴이형흡충 인체감염례의 국내 제3례에 해당된다.

  • PDF

체형별 상복동작에 따른 상체의 체표면 변화에 관한 연구 -남자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Body surface Area by the Arm movements to Somatotype -The Subject of the College Men-)

  • 김진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3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somatotype of males, to show changes of the body skin surface by the somatotype. The size of sample was 156 males between age 20 and 24. Somatotype classified into Bending somatotype, Standard somatotype, Turning over somatotype. And according to the somatotype, changing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by the arm movements analyzed through gypsum experiment.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varia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form by changing the am movements, by the increasing of movements, shoulder-point ws moved to be inside or upside, the anterior armpit point & armpit point were moved to the upside. 2.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nto the rate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sic lines and body surface area by the arm movements, the rat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sic lines by the arm movements, the side sea length showed the maximum rate of extension in 135 degrees, the shoulder length showed the maximum rate of contraction in 135 degrees. The rat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n the body surface area by the arm movements showed the phenomenon of contraction, of items F1, F6, B1, B9 showed the phenomenon of extension, of items F3, F4, F8, F9, B8, B9. 3. According to somatotypes, items which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f items f3, f8, b3, b8, F2, F7, F8, B3, B7, in all movements.

  • PDF

침선장 최온순의 굴건제복(屈巾祭服)의 제작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Gulgunjebok of Choe Onsun, a Needlework Master)

  • 이영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7-98
    • /
    • 2024
  • The mourning attire worn by the Sangju (Chief Mourner) during Confucian funeral rituals is known as Gulgeonjebok. It is comprised of Gulgeon, Sujil, and Hyogeon on the head, and Jungui underneath. On top of the Jungui, the ceremonial garments called Choeui are worn, along with Choesang. Yojil and Gyodae are then tied around the waist. Mahye and Hangieon are worn on the feet, and a walking stick made of bamboo, paulownia, or willow is carried. A needlework master, Choe Onsun, who was designated as a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ollabuk-do on November 27, 1998, is recognized for her efforts in restoring and recreating the forgotten Gulgeonjebok. Thanks to her endeavors, the period,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ulgeonjebok in the Jeolla Province have been preserv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reproduce characteristic items of Gulgeonjeboks handed down by a needlework master, Choe, by conducting an empirical study on the dimensions and schematization of the Gulgeon, the method of cutting, and the sewing process. The empirical research on Gulgeojebok is expected to further enhance traditional sewing skills. It will also serve as a foundation for deepening the level of research on traditional dress and sharing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