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자 모자 스타일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남성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모자 스타일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style of hats in men's fashion collection)

  • 서동애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6호
    • /
    • pp.826-837
    • /
    • 2012
  • Recently, hats have been used more frequently as an accessory, contributing to the general image of clothes in men's collection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and styles of hat usage in men's brand collections according to the collections' images. Types of hats and their frequency of usage in men's clothes were analyzed among 857 collections from 74 brands between S/S 2006 and F/W 2012.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es image and type of hats used. Hats were used in 622 out of 857 collections, and 24 different types of hats were used. In 67 collections, hats were used in at least 71% of clothes. The most frequently used hat was the fedora, followed in frequency by the beanie, cap, bowler, and high hat. The styles of hats in collections varied depending on seasons. In S/S season collections, fedoras were often used, while beanies were more common during the F/W season. This study analyzed styles of hats used in formal, casual, uniformed, and deformed images. Beanies and fedoras were frequently used for the formal image; fedoras, beanies, and plat caps were often used for the casual image; more than 3 types of hats were used together for the uniformed image; and design hats and hats in various styles were used for the deformed image. The results show that hats of various styles were used in collections to express the image of clothes.

침묵과 부재: 장률 영화 속의 디아스포라 (Silence and Absence: Diaspora in Jang Ryul's Films)

  • 육상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63-174
    • /
    • 2009
  • 장률 감독은 중국에서는 최초의 조선족 출신 감독이고, 한국에서는 최초의 중국 동포 감독이다. 스스로가 한 명의 디아스포라로서 중국과 한국 두 나라에서, 혹은 두 나라의 사이에서 활동하는 그의 영화 작업은 동아시아에 산재한 디아스포라적인 현상들을 디아스포라적인 시선으로 다룬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글은 <망종>, <경계>, <이리> 등 그가 만든 3개의 작품을 통해 그의 이야기와 스타일을 고찰해 보려는 시도이다. <망종>의 주인공은 중국 대도시 변두리에서 김치 장사를 하는 조선족 최순희이다. 그녀는 산업화로 인한 이산이라는 디아스포라의 보편성과 중국 내 조선족이라는 특수한 디아스포라 상황에 이중으로 속해 있다. <경계>는 몽골의 초원에서 나무를 심는 남자 항가이와 탈북한 모자가 만나서 맺는 관계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리>는 30년 전의 폭발로 사라진 도시 이리에서 부유하는 인물들을 다룬다. 디아스포라적인 시선을 구성하는 장률의 스타일의 첫 번째는 부동하는 공간으로서의 시간이다. 두 번째는 중심과 주변으로서의 외화면과 내화면의 전환이다. 세 번째는 언어의 부재이다. 그의 이런 모든 시도는 동아시아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지금 영화 안에서 그것을 탐구하는 하나의 모법으로서 장률의 영화를 주목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