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날씨예보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Weather Helper' that provides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weather using open API (오픈 API를 이용한 날씨별 맞춤 정보 제공 날씨도우미)

  • Hur, Tai-sung;Kim, Ji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19-42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외출 시 날씨 때문에 무엇을 입을지 고민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날씨별 맞춤 정보 제공 날씨도우미'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오픈 API를 이용하여 지역별 다양한 날씨 정보를 보여주고 기온별 옷차림과 지역 주변의 맛집을 추천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날씨 도우미는 단순히 날씨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날씨별 적합한 옷차림을 추천해준다. 사용자는 날씨도우미를 통해 외출 시 옷차림을 고르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옷을 고르면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오늘의 날씨 정보와 미래의 날씨 예측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지역검색을 통해 원하는 지역의 날씨 정보를 손쉽게 확인하고, 해당 지역 주변의 맛집을 추천받을 수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Bicycle App using Weather and Location Information (날씨와 위치정보를 이용한 자전거 앱 개발)

  • Jang, Eun-Gyeom;Choi, Dong-Jun;Seo, Eun-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01-202
    • /
    • 2016
  • 본 프로젝트는 날씨와 GPS 위치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들에게 자전거 라이딩을 하기 전에 현재 및 예상날씨정보, 로드맵을 제공하는 자전거 애플리케이션이다. GPS 위치정보를 활용한 네비게이션 기능으로 사용자가 자전거 라이딩을 할 때 현재위치, 목적지 경로, 주행 시간, 주행 경로와 같은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해주는 프로젝트이다. 일반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은 자전거 속력, 현재 날씨 등과 같이 간단한 정보들을 제공해 주는 것에 반해 본 프로젝트는 자전거 라이딩 사용자들에게 날씨뿐만 아니라 로드맵을 제공하여 본인의 위치, 경로, 등을 제공하며 길 찾기, 자전거 라이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전거를 좀 더 효율적으로 탈 수 있게끔 자전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Forecast Accuracies by the Localized Land Forecast Areas over South Korea (육상 국지 예보 구역의 예보 정확도에 관한 연구)

  • Park, Chang-Yong;Choi, Young-Eun;Kim, Seung-B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1 s.118
    • /
    • pp.1-14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eather forecast accuracies of minimum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ky cover by the localized land forecast areas over South Korea Average forecast accuracy score of precipitation was the lowest while that of sky cover was the highest during the study period Overall forecast accuracy scores for Gangwon-do was the lowest while those for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were higher than other areas. The frequencies of perfect forecast(eight points) by seasons, were the highest during winter and the lowest during summer. pressure pattern analyses for days when forecast accuracy scores were poor, showed that precipitation forecast accuracy scores were lower due to the movement of the stationary fronts during summers. When continental polar air masses expanded, forecast accuracy of temperature became greatly lower during autumns and winters As the migratory anticyclone pattern rapidly moved, forecast accuracy became lower during springs and autumns. Forecast accuracies were compared by wind directions at 850hPa for the Young-dong region where forecast accuracy was the lowest. Forecast accuracy scores on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s were low when winds were westerlies and forecast accuracy scores of precipitation were low when winds were easterlies.

Role of the prediction skill of near-surface temperature in seasonal forecasting: A case study of U.S. droughts (근지표면 온도 예측성이 계절적 예보에 미치는 영향: 미국 가뭄의 사례연구)

  • Kam,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3-73
    • /
    • 2021
  • 가뭄의 계절적 예측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기-지면-해양의 상호 작용이 현실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지구 기후 예보 모델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제한적인 기후 예보 모델의 예측성으로 인하여 다중 기후 모델들의 다중 앙상블 계절 예보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2008년에 제안된 북미 다중 모델 다중 앙상블 시스템(North American Multimodel Multiensemble System; NMME)은 다양한 모델 개발팀의 참여로 현재까지 운영되면서 계절적 예측성 연구에 큰 이바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MME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후 예보 모델들의 북방 여름철 근지표면 온도과 강우량의 예측성을 진단하고 이들의 상관 관계의 강도를 관측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NMME 모델들에서는 관측데이터에서 보다 강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런 근지표면 온도와 강우량의 강한 상관 관계로 우수한 근지 표면 온도 예보는 각각의 해마다 그 역할이 다른 것을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가문 여름에는 우수한 근지표면 온도 예보가 강우량 예보에 도움이 되고 강우량이 많은 여름에는 우수한 근지표면 온도 예보는 오히려 강우량 예측성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기후 예보 모델들에서 근지표면 온도와 강우량의 상관관계를 사실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모델 개선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관측데이터와 기후 모델데이터에서 태평양과 대서양의 해수면 온도와 미국의 북방 여름철 날씨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근지표면 온도과 강우량에 대한 제한적 예측성에 비해, 대부분의 NMME 기후 예보 모델들에서 해수면 온도의 예측기술은 우수함을 발견하였고 몇몇 모델들에서는 미국의 북방 여름철 기후에 영향력을 주는 대서양과 태평양의 지역까지 잘 모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우수한 기후 예보 기술을 위해 앙상블 평균 예보값만이 아닌 NMME의 계절적 예보를 선택적인 사용이 필요함을 제안하였고 앞으로 북미 대륙 뿐만이 아니라 유럽-아시아의 계절적 이상 기후 예측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PDF

Introduction of Hydrometeorological Drought Forecasting (기상가뭄예보 소개)

  • Kim, Min Ji;Oh, Tae Suk;Kang, Hye Young;BAK, Seonyeong;Choi, Jae-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9-199
    • /
    • 2020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매년 국지적 가뭄이 발생하여 가뭄 피해가 확대되고, 전국적인 물 부족상황이 우려됨에 따라 기상청에서는 '기상가뭄예보'를 통해 대국민,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기상가뭄의 현황 및 전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기상가뭄예보는 기상청 확률장기예보를 반영하여 강수발생확률이 가장 높았을 경우를 기준으로 지역별 기상학적 가뭄 발생 상황을 예상하는 것으로, '1개월'과 '3개월' 단위로 예보하고 있다. 1개월 전망은 가뭄 현황 및 전망(발표일로부터 4주후 일요일 전망) 정보를 매주 목요일에 제공하고 있으며, 3개월 전망은 3개월간의 전망정보를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뭄 예·경보를 통해 매월 10일경에 제공하고 있다. 기상가뭄을 판단하는 기준은 6개월 표준강수지수로, 가뭄단계를 4단계(약한-보통-심한-극심한)로 구분하여 기상가뭄을 판단하고, 지역별(167개 시·군)로 나눠 가뭄지도 형태로 정보를 제공한다. 기상가뭄 현황을 분석하는데 활용되고 있는 자료는 최근 강수량(3·6·12개월 등의 일정 기간 지역별 누적강수량), 6개월 표준강수지수 기준 기상가뭄 발생지역 현황, 기후 감시 자료 등의 내용으로 이를 분석하여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망 자료는 1·3개월 확률장기예보 확률결과를 기반으로 가뭄전망 값을 반영하여 생산한 기상가뭄 전망 결과 및 기상가뭄 발생 예상지역 등의 정보를 기상가뭄예보문으로 작성하여 날씨누리(http://www.kma.go.kr)와 수문기상 가뭄정보 시스템(http://hydro.kma.go.kr/hd)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장기간의 강수량 부족으로 시작되는 가뭄은 다양한 형태의 물부족 현상을 유발시키므로 기상가뭄 정보를 활용하여 가뭄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기상청에서는 선제적이고 체계적으로 가뭄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상가뭄예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제고하여 국민이 공감하고 우리나라에 맞는 기상가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

  • PDF

Short-Term Dynamic Line Rating Prediction in Overhead Transmission Lines Using Weather Forecast System (기상예보시스템을 이용한 가공송전선의 단기간 동적송전용량 예측)

  • Kim, Sung-Duck;Lee, Seung-Su;Jang, Tae-In;Kang, Ji-Won;Lee, Dong-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6
    • /
    • pp.158-169
    • /
    • 2004
  • A method for predicting the short-term dynamic line ratings in overhead transmission lines using real-time weather forecast data is proposed in this paper. Through some inspections for the 3-hour interval forecasting factors such as ambient temperature, wind speed grade and weather code given by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orrelation properties between forecast weather data and actual measured data are analyzed. To use these variable in determining the dynamic line ratings, they are changed into suitable numerical values. Furthermore adaptive neuro-fuzzy systems to improve reliabilities for wind speed and solar heat radiation ate designed It was verified that the forecast weather data can be used to predict the line rating with reliable. As a result it can be possible that the proposed predicting system can be effectively utilized by their anticipation a short-time in advanc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ather Forecast Chatbot Based on Kakaotalk Open Builder (카카오톡 오픈빌더 기반의 일기 예보 챗봇 설계 및 구현)

  • Lee, Won Joo;Gim, Han Su;Cha, Dae Yun;Lee, il u;Jung, Seong Jun;Cho, Seung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9-3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카카오i 오픈빌더 API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손쉬운 접근 방법으로 날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챗봇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챗봇은, 플러스 친구를 통해 친구 추가 후 이용 가능하며, Python의 Flask 웹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날씨에 관한 기온, 미세 먼지 농도, 강수량, 자외선 지수, 캐스팅 정보 등을 네이버에서 사용자가 검색한 지역별로 크롤링 후 가공하여 서비스 한다.

  • PDF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NET(Net Effective Temperature) with a Function of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in Korea (한반도의 날씨 스트레스 지수 NET(Net Effective Temperature) 분포의 특성)

  • 허인혜;최영은;권원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1
    • /
    • pp.13-26
    • /
    • 2004
  •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y of NET application for a relative weather stress index in Korea. The characteristic of NET distribution used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which forecasting at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re analyzed. Regional critical values of daily maximum NET of stress index for summer resembled the distribution of daily maximum temperature because were not impacted wind and humidity but temperature. Regional critical values of daily minimum NET of stress index for winter distributed variously compared with summer. The highland region and the northern region of Seoul were impacted of low temperature and coastal region which strong wind. The occurrences of stressful days did not vary in summer, but obviously increased in winter after mid-1990s.

Development of Agrometeorological Network and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전국 농업기상관측망 구축과 농업기상정보 서비스 개발)

  • 신재훈;이계엽;이정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3-146
    • /
    • 2001
  • 농업기상정보는 농업경영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이다. 그날 그날의 영농관리를 위한 날씨정보뿐 아니라, 재배작목 또는 작부체계의 변경, 재배적지 판정, 작황진단, 병해충 발생의 예찰, 농업기상예보(agrometeorological forecasting) 등과 같은 의사결정지원정보에는 농업기상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국가적 농업기상관측 인프라 구축이 미흡한 상황에서 이 같은 정보를 기대하기 어렵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