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소절제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6초

상표소와 상심자가 난소적출로 유발된 흰쥐의 골다공증 치료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ntidis $O\ddot{O}theca$ and Mori Fructus On treatment of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 이재우;서부일;박지하;노성수;김용현;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71
    • /
    • 2009
  • 본 연구는 상표소와 상심자가 난소적출로 유발된 흰쥐의 골다공증 치료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상표소와 상심자 물 추출물을 난소를 절제한 흰쥐에 투여하여 대퇴골, 비골경골의 골밀도, 혈청 중 오스테오칼신 함량,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활성도, 칼슘 함량, 인 함량, 소변 중 무기성분의 변화, deoxypyridinoline 함량 등과 뼈의 함량, 인 함량, ash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실험 결과 상표소와 상심자 물 추출물은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에 대한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는 내용이다.

개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난소자궁절제술시 $CO_2$가스에 의한 기복증이 심박수와 동맥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sing Carbon Dioxide on Heart Rate and Arterial Blood Pressure during Laparoscopic Ovariohysterectomy in Dogs)

  • 조성수;김영기;박세진;이승용;이시경;이희천;이효종;장홍희;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0-45
    • /
    • 2011
  • Cardiovascular changes caused by $CO_2$ pneumoperitoneum during laparoscopic ovariohysterectomy (LOVH) were measured in nine healthy mixed breed dogs ($16.7{\pm}4.6kg$). The dogs were premedicated with the combination of atropine, acepromazine, and butorphanol. General anesthesia was induced with propofol and maintained with isoflurane in oxygen. Controlled ventilation maintained partial pressure of end-tidal $CO_2$ between 35-45 mmHg. The $CO_2$ pneumoperitoneum was maintained at a constant pressure of 12 mmHg and the dog was placed in the $15^{\circ}$ Trendelenburg position as LOVH was performed. Dorsal pedal artery was catheterized for measurements of heart rate (HR) and invasive arterial blood pressure (IBP). Prior to the intraperitoneal insufflation, baseline measurements of HR and IBP were made every minute for a total of 10 min. Then, measurements of HR and IBP were made every 5 min following intraperitoneal insufflation and were also made every 5 min following desufflation for a total of 10 min. The $CO_2$ pneumoperitoneum during LOVH resulted in a significant (P < 0.05) increase in systolic arterial blood pressure at the time of the onset of insufflation. In addition, diastolic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5) at the time of the onset of insufflation and 5 min following insufflation. The mean heart rat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LOVH. Although IBP showed sharp initial rise following the $CO_2$ pneumoperitoneum, the changes were within physiological acceptable limits in these healthy, ventilated dogs.

개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난소자궁절제술시 복강 내 Bupivacaine의 점적투여가 술 후 통증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raperitoneal Bupivacaine Instillation on Postoperative Pain Behavior after Laparoscopic Ovariohysterectomy in Dogs)

  • 김영기;이승용;박세진;이시경;서의훈;장홍희;이희천;이효종;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3-39
    • /
    • 2011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peritoneal bupivacaine instillation on postoperative pain after laparoscopic ovariohysterectomy (LOHE) in dogs. Twelve female German shepherd dogs (17-30 k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4.4 mg/kg of instilled intraperitoneal bupivacaine diluted to 0.25% with an equivalent volume of saline after pneumoperitoneum, but the control group received 1.76 ml/kg of 0.9% saline. Two blind observers measured the extent of dog's pain and sedation by using dynamic interactive visual analogue scale (DIVAS) preoperatively and 0.5, 1, 2, 4, 6, and 12 h postoperatively. At each designated time, blood cortisol, glucose, and creatine kinase (CK) concentrations were also measured. Based on the repeated-measures ANOV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dependent postoperative changes in patterns of DIVAS-pain score between two groups. In addition, the treatment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DIVAS-pain scores at 1, 2, 4, and 6 h postopera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IVAS-sedation score and biochemical measures including cortisol, glucose, and CK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No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bupivacaine administration were observed. Thus, instilled bupivacaine intraperitoneally may be an effective method on relieving behavioral expression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pain after laparoscopic ovariohysterectomy in dogs.

난소 절제된 백서에서 에스트로젠 투여용량에 따른 대퇴골주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becular change of Femur according to $17{\beta}-Estradiol$ Dosage in Ovariectomized Rat)

  • 김성주;김경욱;이재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155-163
    • /
    • 2000
  • Osteoporosis is the consequence of an imbalance between osteoclastic and osteoblastic activity, coupled with an increased rate of bone turnover observed with menopause. Estrogen is generally considered to maintain bone mass through suppression of bone resor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t femoral trabecular change not only in the deficiency of estrogen but also in the administration of estrogen following ovariectomy(OVX). 30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subjected to bilateral OVX or sham surgery(control). Groups of OVX were divided into 4 groups. The first group was injected daily with vehicle alone for 20 days after 20 weeks following OVX. The additional groups of OVX was injected daily with low, medium, or high doses of $17{\beta}-estradiol$(10, 25 or $50{\mu}g/kg$ BW, respectively). All rats were sacrified 23 weeks after OVX, and their femur were processed for H&E, MT stain and histomorphome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trabecular bone volume/tissue volume, trabecular thickness and trabecular seperation were respectively $31.2{\pm}8.3%$, $54.3{\pm}4.8{\mu}m$ and $280.7{\pm}16.4{\mu}m$ in vehicle treated OVX group and $48.6{\pm}7.3%$, $90.4{\pm}4.5{\mu}m$ and $126.3{\pm}5{\mu}m$ in sham operation group, and the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control group. 2. The trabecular bone volume/tissue volume, trabecular thickness and trabecular separation were respectively $44.4{\pm}4.3%$, $109.5{\pm}12.3{\mu}m$ and $94.9{\pm}8.5{\mu}m$ in low doses of $17{\beta}-estradiol$ injected group and the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OVX group. 3. The trabecular bone volume/tissue volume, trabecular thickness and trabecular separation were respectively $44.4{\pm}4.3%$, $109.5{\pm}12.3{\mu}m$ and $94.9{\pm}8.5{\mu}m$ in medium doses of $17{\beta}-estradiol$ injected group and the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OVX group, but they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low doses of $17{\beta}-estradiol$ injected group. 4. The trabecular bone volume/tissue volume, trabecular thickness and trabecular separation were respectively $46.4{\pm}4.5%$, $154.4{\pm}13.2{\mu}m$ and $113.7{\pm}12.8{\mu}m$ in high doses of $17{\beta}-estradiol$ injected group and they also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OVX group, but they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 to other experimental groups. From the above results, metaphyseal bone formation was markedly reduced in OVX rate but treatment of OVX rats with $17{\beta}-estradiol$ resulted in normalization of femur trabecular bone volume. But they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effect of bone formation according to the dose dependency.

  • PDF

Estrogen 처리에 따른 흰쥐 자궁조직내 c-fos, c-jun, hsp25 mRNA 발현 변화 (Temporal Changes of c-fos, c-jun, and Heat Shock Protein 25 mRNA in Rat Uterus following Estradiol Treatment)

  • 이영기;김성례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2호
    • /
    • pp.149-156
    • /
    • 1999
  • 포유류의 자궁조직은 발정주기를 통하여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궁조직의 분화는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를 잇는 축에 의해 조절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에스트로겐 (E)이 어떤 유전자를 발현하여 자궁 내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는 아직 자세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난소를 절제한 성숙한 흰쥐에 E을 처리한 후 자궁조직 내에서 c-fos, c-jun 및 hsp25 mRNA의 발현 변화를 Northern blot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한 것이다. c-fos및 c-jun 암원유전자의 mRNA발현은 E처리 후 1시간 이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며, 3시간 이내에 최고치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여 기저수준으로 되돌아갔다. 반면에 hsp25 mRNA수준은 E처리 후 3시간 대에서 최고치를 나타내나 증가된 발현량이 서서히 감소하며 12시간이 지난 후 까지도 정상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E의 영향이 선별적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E의 길항제인 tamoxifen을 사전처리하고 E을 추가로 처리하여 c-fos, c-jun및 hsp25 mRNA의 발현이 최고치에 이르렀던 3시간대에 자궁조직을 얻어 각각의 유전자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E에 의해 증가되었던 c-fos, c-jun 및 hsp25 mRNA의 수준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E이 자궁조직에 영향을 미치는데 초기의 일시적인 변화를 보이는 암원유전자인 c-fos 및 c-jun이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는 것을 시사하며 hsp25의 경우는 좀더 늦은 반응에 관여하거나 c-fos및 c-jun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조절을 받을 수도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석류가 갱년기 장애를 유도한 흰쥐의 혈 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Extracts on Serum Lipids Level in Ovariectomized Rats)

  • 박미라;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6-51
    • /
    • 2008
  • 석류(Punica granatum L.)는 생리활성이 강한 천연성분인 폴리페놀과 탄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전통요법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석류의 phytoestrogen을 이용하여 갱년기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류의 씨와 껍질의 ethanol 추출물과 석류 껍질 분획물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난소를 절제하여 폐경을 야기 시킨 흰쥐에서의 혈 중 지질 농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혈 중 total-cholesterol 및 triglyceride 농도에 있어서는 석류 ethanol추출물 투여에 의한 유의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triglyceride의 경우 석류 껍질 추출물의 $200mg/kg{\cdot}bw/day$투여군에서는 OVX-control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또한 혈 중 HDL-cholesterol농도는 석류씨와 껍질부분을 추출한 모든 실험군에서 동맥경화의 지표로서 관상성 심장질환에 대한 방어 작용을 가지고 있는 HDL-cholesterol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석류 껍질부분의 ethanol추출물의 경우 OVX-control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나타나 갱년기장애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천연 에스트로겐 대체 식품으로서의 귀추가 주목된다.

난소 절제 흰쥐의 뇌와 부신에서의 Catecholamine Biosynthesizing Enzyme들의 전사에 미치는 Estrogen의 효과 (Effects of Estrogen on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Catecholamine Biosynthesizing Enzymes in the Brain and Adrenal Gland of Ovariectomized Rats)

  • 유경신;이종화;최돈찬;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2002
  • 포유동물에서 뇌와 부신에서 합성ㆍ분비되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CA)계 신경전달물질인 dopamine(DA), norepinephrine(NE), epinephrine(E)은 체내 각종 생리현상의 조절에 필수적이며, 생식과 관련된 기능으로는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사이의 GnRH-gonadotropin 호르몬 축의 활성을 조절함 외에도 번식과 연관된 여러 행동양식을 조절함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카테콜아민 생합성 효소인 tyrosine hydroxylase(TH), dopamine $\beta$ -hydroxylase(DBH), phenylethaolamine-N-methyl transferase(PNMT)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sex steroid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암컷 흰쥐의 난소를 제거(ovariectomy, OVX)하고 1주 경과 후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7$\beta$-estradiol(E$_2$; 500$\mu\textrm{g}$/m1)이 들어 있는 silastic capsule과 sesame oil이 들어 있는 silastic capsule을 이식시키고 48시간 후에 희생시켰다. 채취된 조직에서 mRNA를 추출한 후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로 (i) TH의 발현 정도는 OVX+Oil군에서는 시상하부 > Substantia nigra(SNc) > 부신 순으로, OVX+E$_2$군에서는 SNc ) 시상하부 > 부신 순으로 나타났다. TH발현에 미치는 estradiol의 효과로 SNc와 부신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인데 비해 시상하부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관찰하였다. (ⅱ) DBH 발현 정도는 OVX+Oil군과 OVXi+E$_2$군에서 모두 부신 > SNc > 시상하부 순으로 나타났다. DBH 발현에 미치는 estradiol의 효과로 SNc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부신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그리고 시상하부에서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ⅲ) PNMT의 발현의 경우 SNc와 시상하부에서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 110bp 차이의 크고 작은 두 형태의 cDNA(PNMT과 PNMTSs가 증폭되었으나 부신에서는 작은 cDNA(PNMTs)만이 관찰되었다. PNMT1의 발현은 SNc가 시상하부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이 없었고, PNMTs의 발현정도는 OVX+Oil군과 OVX+E$_2$군 모두에서 부신 > SNC >시상하부 순으로 나타났다. PNMTs 발현에 미치는 estradiol의 효과로 SNc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부신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그리고 시상하부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카테콜아민 생합성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미치는 estrogen의 영향이 세포기원이 neural crest cell인 부신 수질은 물론 뇌의 상이한 지역간에서도 조직특이적임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 조직에서의 estrogen 수용체 유형의 차이, 작용 모드와 각 효소 유전자 발현 사이에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치밀한 유착조직을 형성한 수신증을 가진 개에서 신요관절제술을 위한 세심한 접근 (Careful Approach for Ureteronephrectomy in a Dog with Hydronephrosis causing Dense Adhesion)

  • 김영기;엄미영;이스캇;왕지환;박기태;진영배;이희천;이효종;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3-358
    • /
    • 2009
  • 편측 수뇨관증과 수신증으로 내원한 개에서 편측성 신요관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개복 시 유착조직이 신장의 안쪽 면에서부터 복대동맥 위까지 형성되어 있었으며, 등쪽안쪽면과 복대동맥 사이에 유착조직이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좌측 난소가 신장의 꼬리쪽 극에 유착되어 있었다. 유착조직의 형성으로 인해 신장 동맥과 정맥을 구별하여 결찰하는 것이 불가능 하였기 때문에 신장의 안쪽면 두 곳에서 집단결찰을 시행한 후 유착조직을 신장의 안쪽면에서 분리하였다. 신장의 등쪽안쪽면과 복대동맥사이에 형성된 유착조직으로부터 신장을 분리하기 위해 유착조직을 절개해 나갈때 신장동맥의 절제로 인한 출혈이 발생하였다. 출혈의 원인은 복대동맥에서 분지되어 나온 신장동맥부위가 신장의 등쪽안쪽면과 유착이 되어있었기 때문에 신장의 안쪽면에 적용한 집단결찰에 신장동맥이 포함되지 못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발생된 출혈은 절제된 신장동맥의 이중결찰과 전기소락기를 이용하여 멈추게 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신장이 주변복강 장기와 심하게 유착되어 신장 동, 정맥을 구별하여 결찰하기 힘든 경우 집단 결찰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집단결찰법은 해부학적으로 신장 동, 정맥이 신장으로 들어가는 안쪽면 뿐만 아니라 유착이 형성된 신장의 모든 면에 선택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De Haan)의 생식소성숙 제어에 미치는 광주기와 안병의 X-organ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X-organ of eyestalk and the photoperiod for the control of gonadal maturation in a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De Haan))

  • 한창희;김대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6-90
    • /
    • 1993
  • 징거미새우의 생식소 성숙 제어에 대한 광주성발달과 안병 X-organ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1) 생식소 성숙 제어에 미치는 수온과 광주기의 영향, 2)생식소 성숙에 대한 안병 절제 효과, 3) 안병에 있는 외수 X-organ (MEX-organ)조직의 활성에 대한 계절적인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전난황형성기(12월${\sim}$다음해 3월)와 난황형성기(4월${\sim}$5월)에 있어서, 생식소 성숙은 주로 수온에 영향을 받으며, 광주조건(12L/12D, 15L/9D)에 관계없이 수온상승에 의하여 GSI가 증가하고 생식소도 성숙하였다. 반면, 산란기(6월${\sim}8$월)에 있어서, 생식소 성숙은 주로 광주조건에 영향을 받으며, 15L/9D와 같은 장일 조건에서는 생식소 성숙이 지속되고 높은 GSI값을 나타내는 반면, 12L/12D와 같이 단일화된 조건에서는 난소내에 있는 대부분의 난황형성기 난모세포들은 퇴화${\cdot}$흡수되어 휴지기 상태의 난모세포로 되었고, GSI는 감소되었다. 휴지기(9월${\sim}11$월)에 있어서, 수온($16^{\circ}C,\;22^{\circ}C,\;28^{\circ}C$)과 광주조건(12L/12D, 15L/9D)을 조합한 모든 실험구에서는 재성숙이 일어나지 않았다. 생식소 성숙에 대한 안병 절제 효과는 전난황형성기와 산란기때 보다 휴지기 때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안병 MEX-organ에서 직경이 $20{\mu}m$이상인 신경분비세포 수는 생식주기에 따라 변동을 보였으며, 휴지기 때 그 수는 $77{\pm}12$로 증가하였고, 난황형성기때는 $55{\pm}7$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Bellonci 조직의 크기(volume)는 휴지기 때에 비해서 난환형성기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다형성 암종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leomorphic Carcinoma)

  • 이덕헌;박훈;박창권;권건영;박남희;최세영;이광숙;유영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397-403
    • /
    • 2003
  • 폐의 다형성 암종은 일반적으로 드문 폐암종의 아형으로 알려져 있다. 1999년 WHO 폐암분류의 기준을 적용하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진단된 42예의 다형성 암종에 대한 임상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본원에서 폐암으로 폐 절제술을 시행한 256예 중, 광학현미경적 재검색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여 다형성 암종으로 진단한 42예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42예 중 남자는 31예, 여자는 11예였고, 나이는 26세부터 77세까지였다. 임상증상은 기침, 객혈, 객담이 주로 나타났으며, 진단 시 병기는 Ia 3예, (7%), Ib 16예(38%), IIa 1예 (2%), IIb 8예(19%), IIIa 15예(35%), IIIb 1예(2%)였고, 이 중 림프절 전이가 없는 N0 경우는 23예(54%), 림프절 전이가 있는 N1과 N2인 경우는 19예(46%)로 나타났다. 원격전이가 발생한 환자는 총 19예로 뇌 5예(26%),뼈 4예(21%),근육 4예(21%), 림프절 2예(10%), 간, 난소, 편측 폐, 부신이 각 1예씩 발생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1 cm부터 11 cm까지 분포하였고 평균 5.85 cm이었다. 42예의 환자에서 조사 기간 중 생존자는 11예(26%), 사망자는 31예(74%)이었다. Kaplan-Meier method에 의한 이들의 전체 2년, 5년 생존율은 각각 26%와 13%로 조사대상 256예에서 다형성암종을 제외한 증례의 2년생존율 44%와 5년 생존율 34%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2). 나이와 종양의 크기, 병기 I과 병기 II 이상, N0 N1 이상의 생존율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술 후 원격전이가 발생한 증례는 모두 사망하였고 이들은 원격전이가 없는 증례에 비하여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02). 걸론: 1999년 WHO 폐암분류에 따른 새로운 진단 기준을 적용할 경우 다형성 암종은 이전의 WHO 폐암분류에서보다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술 후 이들의 생존율은 다른 비소세포암종의 유형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