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소스테로이드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4초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혈중 난황단백전구체 (vitellogenin)와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변화 (Changes in Plasma Sex Steroid Hormone and Vitellogenin Levels during Gonadal Development of the Spotted Flounder, Verasper variegatus)

  • 김윤;백혜자;한창희;회전승미;소촌목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24-628
    • /
    • 1999
  • 범가자미의 인위적인 번식제어를 목적으로 생식소 활성에 따른 혈중 vitellogenin (난황단백전구체)과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계절적 농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암컷에 있어서 혈중 vitellogenin의 농도는 난황축적이 활발한 11 월에 연중 최고치를 나타내다가 산란이 시작되는 12월에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estradiol의 농도는 이 시기에 연중 최고치를 나타내었다(2.7ng/ml). 산란이 활발히 진행중인 1월에 혈중 estradiol 농도는 급격히 감소하여 5월까지 연중 매우 낮은 농도(0.2ng/ml)로 유지되었다. Testosterone도 estradiol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17$\alpha$-hydroxyprogesterone은 난소가 활성화되어 성장되는 시기를 제외하고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수컷의 경우 testosterone과 11-ketotestosterone의 혈중농도는 12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이 시기에 정자변태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후 완숙 및 방정기 (1월)에 이르러 이들의 농도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 PDF

생쥐자궁에서 에스트로겐에 의해 조절되는 Fra1과 Fra2 유전자의 발현양상 (Expression of Fra1 and Fra2 Genes are regulated by Estrogen in the Mouse Uterus)

  • 이지윤;홍석호;나희영;김성훈;채희동;김정훈;강병문;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4호
    • /
    • pp.309-316
    • /
    • 2003
  • 연구목적: 스테로이드 계통의 에스트로겐 호르몬은 막 수용체와 결합하고 DNA에 부착되어, 자궁조직에서 발현되는 많은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를 제거한 생쥐 모델을 이용하여 에스트로겐에 의해 조절되는 전사 관련 유전자(transcription factor)들을 동정하고, early up-regulation gene으로 확인된 Fos related antigen (Fra1과 Fra2)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RT-PCR과 면역염색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재료 및 방법: 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생쥐에 에스트로겐을 피하주사하고 2, 4, 6, 12시간 간격으로 자궁조직을 적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sesame oil만을 주사한 후 2시간째에 수획한 자궁조직을 사용하였으며, 시간대별로 채취한 자궁조직(n=4)에서 RT-PCR을 수행하였다. RT-PCR을 통해 early response gene으로 확인된 Fra1과 Fra2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estrogen receptor antagonist인 ICI 182, 780을 주사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자궁조직내에서의 단백질 발현 부위를 관찰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결 과: 생쥐 자궁조직에서 에스트로겐에 의해 발현 양상의 변화가 확인된 유전자는 early up-regulation genes (CREB2, Fra-1, 2, GATA5), late up-regulation gene (E2F1), no response genes (CREB1, ATF1, GLI3, E2F3), down-regulation genes (GLI2, E2F5, GATA-2, 3, 6)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 중 early up-regulation genes에 해당하는 Fra1과 Fra2 유전자는 ICI 182, 780에 의해 그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p < 0.01). 이들 단백질은 생쥐 자궁조직의 상피세포층, 기질층, 근육층에서 고루 발현되었으며, 특히 근육층에서 강한 염색정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Fra1과 Fra2 유전자의 발현은 에스트로겐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의 강한 발현이 자궁조직의 근육층에서 관찰되어 이들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선자극 호르몬 투여가 토끼의 혈중 난소 스테로이드호르몬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onadotropin Administration on Blood Ovarian Steroid Hormone Level in Rabbit)

  • 김병기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3-371
    • /
    • 1997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nadotropin administration on blood ovarian steroid hormone in angora rabbit. Mature angora rabbits were primed for superovulation with PMSG 100IU. Eighty hours later, the rabbit were induced to ovulate with HCG 100IU. In exp 1, blood progesterone and estradiol of superovulated does were measured by radiommunoassay. Blood progesterone concentration at 93, 99, 102 and 114 hours after HCG injection were 12.9$\pm$0.5, 34.8$\pm$5.1, 12.2$\pm$2.7 and 43.4$\pm$5.8ng/ml, respectively. Mean progesterone concentration of blood collected at 99 and 114 hours after HCG injection(p<0.05). However, mean blood estradiol concentration was not changed. In exp 2, superovulated does were unilaterally ovariectomized at 96 hours after HCG injection. Blood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tend to be decreased after ovariectomy. Nosignificant changes in blood estradiol concentration was observed after ovariectomy. In exp 3, superovulated does were bilaterally ovariectomized at 96 hours after HCG injection Ovariectomized does were treated with progesterone. Blood progesterone level in the rabbits treated, twice daily, with 5mg progesterone after ovariectomy was similiar to that in the superovulated intact rabbits. Blood estradiol concentration of the rabbits after bilateral ovariectomy was beyond detection range. Blood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7.6$\pm$3.0ng/ml wi thin 3 hours after ovriectomy(p<0.05). However, that value was increased to 34.8$\pm$8.2ng/ml by 5 mg progesterone treatment and this elevated level was significatnly decreased to 7.3$\pm$2.4ng/ml at 12 hours after progesterone administration(p<0.05).

  • PDF

생쥐 생식소 및 배아의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막성분 1과 2의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Progesterone Receptor Membrane Component 1 and 2 in the Mouse Gonads and Embryos)

  • 김경화;이경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1호
    • /
    • pp.21-29
    • /
    • 2007
  • 본 연구진은 선행 연구에서 progesterone receptor membrane component 2 (pgrmc2) 유전자가 미성숙 난자에서 높게 발현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pgrmc2와 pgrmc1 유전자가 쥐의 생식소와 배아의 발달 단계에 따라 어떻게 발현하는지 알아 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들 유전자는 난소, 정소, 배아, 그리고 난자의 다양한 발달 단계에서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쥐 난자 세포막에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가 존재하는 것은 progesterone-3-O-carboxymethyl oxime-BSA-fluorescein isothiocyanate (P4-BSA-FITC)의 결합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결과는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세포막 구성 요소들이 생쥐의 난자, 배아, 그리고 생식소에서 발현함을 최초로 확인한 연구 결과다.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세포막 구성 요소들의 기능, 특히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세포막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알아 보기 위해 추후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과배란유도에 의해 성숙된 여포의 GTH 활성 도 와 스테로이드합성 (Gonadotropin Bioactivity and Steroids in Ovarian Follicle Matured by Hyperstimulation)

  • 윤용달;전은현;김문규;권혁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19-130
    • /
    • 1989
  • 본 연구는 생식주기중 폐쇄여포액내에서 생물학적, 면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GTH 의 변화를 조사하고 steroid hormone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며 국부조절인자로서 의 GTH의 역 활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가임기간중 215개의 여포와 IVF과정에서 185개의 여포를 얻어 여포액내 GTH의 생물학적 또는 면역학적 활성을 측정하였다. Bioactive LH(bLH)는 생쥐의 Leydig cell-testosterone production assay, bFSH는 흰쥐의 Sertoli cell aromatase assay로 측정 하였 다. Immunological GTH(iLH , iFSH) 는 MaiaClone RIA , Delfia kits를 사용하였다. 여포액내 iLH, iFSH , ihCG 는 hyperstimulation에 의해 형성된 여포의 크기와는 무관하였다. 또 hMG, huFSH 의 처리와도 상관성이 없었다. T의 농도가 높은 여포액내의 iFSH는 현저히 낮았으며 E, P 가 고농도인 여포의 ihCG 양은 현저히 낮았다. 과배란이 유도된 난소의 여포액내 iLH는 LH specific RIA로 측정시 3mIU/ml 이하이었다. 생식주기중 여포액내 bLH, bFSH는 배란기에 현저히 증가 하였다. 혈청내 GTH B/I ratio는 엘정한 반면 여포액내 LH,FSH의 생물학적, 면역학적 활성은 미수정란을 가지거나 폐쇄된 여포내의 활성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보아 여포액내 생식소자극호르온은 면역학적활성보다 높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며, 생리적 현상의 지표가 된다고 추론된다. 또한 steroid, bGTH는 여포의 선택, 폐쇄를 구분하는 지표로 사용가능하며, 여포가 폐쇄될때 여포액내 B/I ratio가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GTH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난소발달에 다른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활성 변화 (Activity of Sex Steroid Hormones on Ovarian Development in the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 황인준;김성연;백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53-159
    • /
    • 2007
  • We studied oocyte steroidogenesis in relation to oocyte development in the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a marine multiple spawner. Vitellogenic and mature oocytes were incubated in vitro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3H]-17\;{\alpha}-hydroxyprogesterone$ as a precursor. The major metabolites were androgens [androstenedione $(A)_4)$ and testosterone (T)] and estrogens [$17\;{\beta}-estradiol\;(E_2)$ and estrone ($E_1$)] in vitellogenic oocytes. The metabolic rate of T was lower in 1.08 to 12-mm oocytes, while that of $E_2$ increased with oocyte size. The endogenous productions of T, $E_2$ and 17 ${\alpha}-hydroxy$, 20 ${\beta}-dihydroprogesterone\;(17{\alpha}20{\beta}OHP)$ were quantified using a radioimmunoassay in the non-precursor group. The endogenous levels of T and $E_2$ were highest in 1.08 to 12-mm oocytes and $17{\alpha}20{\beta}OHP$ was produced only in 1.90 to 95-mm oocy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ocyte size and steroidogenesis showed that 1.08 to 12-mm oocytes are full vitellogenic following induction of the maturation process. Moreover, $17{\alpha}20{\beta}OHP$ acts as a maturation inducing hormone in H. otakii.

Bisphenol A가 점 망둑 (Chasmichthys dolichognothus)의 난소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sphenol A on Ovarian Steroidogenesis in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 백혜자;박명희;이영돈;김형배;김재원;유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2-196
    • /
    • 2004
  • The in vitro effect of bisphenol A (BPA) on ovarian steroidogenesis of the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was investigated. Oocytes taken during the maturing phase (vitellogenic, fully vitellogenic or germinal vesicle breakdown stage) were incubated with BPA (100 ng/mL) in the presence of exogenous precursor $^{3}H-17\alpha\;hydroxyprogesterone\;(^{3}H-17\alphaOHP).$ Steroids were extracted from the media and the isolated oocytes, and the extracts were separated and identifi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identities of the major metabolites were progestogens $[17{\alpha}-hydroxy,20{\alpha}-dihydroprogesterone\;(17{\alpha}20{\alpha}OHP)\;and\;17{\alpha}-hydrxy,20{\beta}-dihydroprogesterone\;(17{\alpha}20{\beta}OHP),$ androgens [androstenedione (A4) and testosterone (T)] and estrogens [estrone $(E_1)\;and\;estradiol-17{\beta}(E_2)].$ BPA treatment inhibited production of estrogens in all the maturing phases and progestogens in the germinal vesicle migrating stage. Percentage yield of estrogens was decreased with increased yield of androgens. In conclusion, BPA ha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conversion of $^3H-17\alphaOHP$ to estrogens and progestoge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PA can act either estrogenic or anti-estrogenic effects.

인간 난소의 과립 세포 배양 중 Leptin이 스테로이드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ptin on the Steroidogenesis of Cultured Human Granulosa Cells)

  • 김세광;김명신;황경주;권혁찬;조동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1호
    • /
    • pp.15-22
    • /
    • 2000
  • Objective: To elucidate the location of leptin and receptors of ovary specimens obtained from patients undergoing hysterectomy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ptin on the steroidogenesis of cultured granulosa cells. Method: In the culturing process of the granulosa cells, FSH (1 IU/ml)and leptin (50 ng/ml), IGF-I (50 ng/ml) was administered to each study group (Group I: FSH; Group II: FSH, leptin; Group III: FSH, IGF-I; Group IV: FSH, IGF-I, leptin), and the levels of estradiol, progesterone, androstenedione in the culture media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one-way ANOVA with Scheffe test.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leptin and leptin receptors were both found to be strongly stained in granulosa and theca cells, and also in some interstitial cells. Leptin receptors were also observed in cultured granulosa cells.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drostnedione concentrations between the groups, estradiol concentratio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IV ($2202.0{\pm}151.14$ pg/ml) compared to Group III ($2859.0{\pm}122.6$ pg/ml),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II($4696.3{\pm}190.6$ ng/ml) and Group IV ($4517{\pm}206.78$ ng/ml) compared to Group III($5546.0{\pm}179.5$ ng/ml). Conclustion: The study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ptin is directly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ovarian functions, in particular steroidogenesis.

  • PDF

가임신 흰쥐 자궁조직 분화에 미치는 난소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 (The Effect of the Ovarian Steroid Hormone on the Differenciation of the Pseudopregnanct Rat Uterus)

  • 김성례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2권2호
    • /
    • pp.155-161
    • /
    • 1995
  • The present investigation has been undertaken to elucidate the differentiation mechanism the uterus which is the environment of the embryo development, by demonstrating the role of ovarian steroids hormone in the decidualization of the pseudopregnant rat uteru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varine steroids and artificial stimulation (trauma) on the differenciation of the uterine endometrium and decidualization for implantation, attempt was made to measure concentrations of serum estradiol($E_2$), progesterone($P_4$) and nuclear $P_4$ receptor in the traumatized and non-traumatized uterine tissue of the pseudopregnant ra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ings : The concentration of serum $E_2$ on day 9(implantation stage) was similar in both of intact pseudopregnant rat(47.63pg/ml) and normal pregnant rat(40.71pg/ml). And among the treated groups, $E_2$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E_2$ treated group in comparision with intact control group(relative value; 73.27%). The concentration of serum $P_4$ was also highest in the $P_4$ treated group(23.12pg/ml). Relative value of $P_4$ treated group in comparision with intact group(24.88pg/ml) was 92.93%. The nuclear $P_4$ receptor levels in the artificial traumatized groups were higher compared with the non-traumatized control groups. This study, therefore,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 methods for inducing pseudopregnant (vagina tapping;120/min) and inducing decidualization(oil injection; 0.1ml/uterine horn) appear to be effective, $P_4$ appears to be effective in the differenciation of the uterine endometrial tissue for the implantation process. Concentration of serum $P_4$ seems to be well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the nuclear $P_4$ receptor during the early embryo development. These results seem to be well correlated with ALPase activities in the normal and pseudopregnant rat uterus shown in the previous study.

  • PDF

Cortisol이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의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tisol on the Steroidogenesis and the Apoptosis of Human Granulosa-Lutein Cells)

  • 김진희;양현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329-339
    • /
    • 2009
  • Cortisol은 난소내 다량으로 존재하며, 난소 세포에 그 수용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사람의 과립 및 황체화 세포에서 cortisol은 스테로이드 생성과 세포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배란 후 난포액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cortisol이 과립-황체화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과배란 유도후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하면서 5, 50, $500{\mu}g/m\ell$ cortisol과 1 IU/$m\ell$ FSH를 처리하고 세포의 세포자연사와 분비된 progesterone$(P_4)$과 estradiol$(E_2)$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DNA 분절화 분석과 TUNEL 방법으로 세포자연사를 평가한 결과, cortisol는 농도 의존적으로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증가시켰고, 특히 50과 $500{\mu}g/m\ell$ cortisol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세포자연사 비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cortisol에 의한 세포자연사의 증가는 FSH에 의해 억제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화학발광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배양내 $P_4$$E_2$의 양을 측정한 결과, cortisol을 처리한 후 $E_2$의 양은 변화가 없었던 반면 $P_4$의 양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cortisol의 $P_4$ 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자연사 결과와 마찬가지로 FSH에 의해 회복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일정 농도 이상의 cortisol은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또한 $P_4$의 합성을 억제시킴으로써 난포 폐쇄를 직접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음 보여준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들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과립-황체화 세포에 대한 cortisol의 생리적인 관련성을 밝혀 그 기전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