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류 열대류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부력에 의한 난류 열대류의 혼성 난류모델 (A Hybrid Turbulence Model for Prediction of Buoyancy-Driven Turbulent Thermal Convection Flow)

  • 김태규;성형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8호
    • /
    • pp.2069-2078
    • /
    • 1993
  • The buoyancy-driven turbulent thermal convection is predicted using an anisotropic hybrid turbulence model, which is incorporated with a low Reynolds k-.epsilon. turbulence model and an anisotropic buoyant part of algebraic stress model(ASM). The numerical predictions are compared with the Davidson's model,(1) the full ASM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Cheesewright et al.(2) All the models are shown to predict good agreements with the experiments for the averaged turbulence quantities. It is found that the effect of an anisotropic part on the Reynolds stress and the turbulent heat fluxes is substantial. In this study, the present hybrid model gives a fairly reasonable prediction in terms of the computational accuracy, convergence and stability. The contribution of an anisotropic buoyant part to turbulent heat fluxes are also scrutinized over the range of Rayleigh numbers $(4.79{\times}10^{10}{\le}Ra{\le}7.46{\times}10^{10}).$

실험적 방법에 의한 두 평판 사이의 난류 열대류의 해석 (Experimental study of turbulent thermal convection between two flat plates)

  • 윤효철;정명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138-1149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은 문제점을 구간별 특성 척도 분석으로 보다 명확히 하고, 매질이 물과 공기인 경우 실험을 통하여 난류 열대류 구조를 분석하여 척도분석 및 Kraichnan등의 분석을 통해 확인된 바 있는 지수법칙층의 존재를 확인하 고자 한다.

두 평판 사이의 난류 열대류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turbulent thermal convection between two flat plates)

  • 이장희;윤효철;정명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37-151
    • /
    • 1988
  • 본 논문에서는 아래 평판은 높은 온도 $T_{h}$로 유지되고, 위의 평판은 낮은 온도 $T_{i}$로 유지되어 있을 때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난류 열대류 문제를 난류모델 방정식을 사용하여 수치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다.다.

열대류 경계층에서 비평형 2.5 난류모델을 기초로 한 라그란지안 입자 확산 모델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Based on Non-equilibrium Level 2.5 Closure Model in the Convective Boundary Layer)

  • 구윤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68
    • /
    • 2000
  • 복잡한 구조를 갖고 시간에 따라서 변하는 바람장내에서 공장굴뚝과 같은 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확산을 계산하기 위해서 라그란지안 입자확산모텔(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LPDM)을 사용하는 것이 최근의 연구 동향이다. 구윤서(1999a, 1999b)는 중립 및 안정한 대기조건에서 바람장 계산시 비평형 2.5 난류모델을 이용한 LPDM을 개발하여 복잡한 대기흐름내 확산현상을 보다 정확히 모사할 수 있는 LPDM을 제시하였다. (중략)

  • PDF

진도산 해초류의(Ascidians)의 분류 (The Ascidians (Tunicata) from Chindo Islands, Korea)

  • Boon Jo R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125-145
    • /
    • 1995
  • 진도산 해초류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하여 1994년 7월과 11월에 진도의 5개 지역(접도, 보전, 군포, 해동, 금갑)에서 채집된 재료들을 정리한 결과 13종과 1974년 8월에 진도의 4개지역(가학, 녹진, 접도, 가사도)에서 채집하여 이미 보고된 7종을 합하면 모두 7과 11속 16종이다. 이들 모두는 한국산 해초류에 보고된 종들이나 이 중 7과 9종은 진도산 해초류로서 처음 밝혀지는 종들이다. 이들 16종에 대한 수성별 구성은 온수역종이 8종(50%), 그 다음이 온-열대수역종으로서 7종(44%), 열대수역종은 1종(6%)이었다. 그러나 한수역 및 한-온수역종은 전연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진도가 우리나라 황해 남단에 위치하고 있어 남쪽에서 올라오는 쿠로시오난류의 지류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과 부합한다.

  • PDF

한국 거제도 해초류의 분류 (Taxonomy of Ascidians from Geojedo Island in Korea)

  • Boon Jo Rho;Kyung-Sook Par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3호
    • /
    • pp.173-192
    • /
    • 1998
  • 본 연구는 1995년 2월부터 1998년 1월까지 거제도의 12개 지역과 비진도에서 채집된 재료들을 동정.분류하였고, 이미 채집지가 밝혀진 4개 지역을 포함하여 모두 17개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2목 10과 22속 38종이 밝혀졌고, 이 중 13종은 거제도 기지종이고, 3종, Didenum(D.) Pardum, Symplegma oceania와 Styela coriacea는 한국 미기록종이었으며, 그 외 22종은 거제도에서는 처음으로 밝혀지는 종들이다. 거제도 해초류의 생물지리학적 분포를 보며, 28종 모두는 우리나라 천해종이며,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 해초류의 반에 ㅐ당하는 종이다. 이들 중 18종 (47.4%)은 열대 열대수성종, 11종(26.3%)은 오대수성종, 8종(21.1%)은 내수성종, 1종(2.7%)은 광포종이었다. 이들은 오수지역인 춘도(온산만)의 해초류상과 비교하면 15종의 해초류중 7종(47%)은 열대수성종, 4종(26%)은 온대수성종, 3종(20%)은 내수성종, 1종(7%)은 광포종이었다 (see Rhoet al., 1996). 두 지역에 나타난 해초류의 구성을 보면 각 지역에서 전체 종 수의 반에 해당하는 종이 열대수성종이었고 극히 적은 수의 종이 냉수성종이었으며, 1/3 이상의 종이 온대수성종이었고, 그리고 각각 1종이 광포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두 지역 모두가 우리나라 남단에 위치하여 북한 한류의 영향보다 흑조난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사실과 부합한다. 거제도는 종수에 있어서나 개체(군체) 수에 있어 춘도와 비교하여 2배가 넘게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거제도에서 채집 지역 수가 많았고 또한 이 지역은 청정해역으로서 아직은 보존이 잘 되고 있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 PDF

만재도의 한국 미기록 입이끼벌레류(나후강, 순구목) 1종 (A New Record of Smittinid Bryozoa (Gymnolaemata, Cheilostomata) from Manjae Island, Korea)

  • Seo, Ji-E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135-141
    • /
    • 2002
  • 남해의 서쪽 끝에 위치한 만재도의 조하대로부터 1988년 8월 23일에 채집된 태형동물을 분류한 결과 고운입이끼벌레 (Parasmittina delicatula)가 한국미 기록종으로 밝혀졌다. 만재도에서 보고된 12종 중 10종은 오직 태평양에서만 밝혀진 종들로서 4종은 열대종, 3종은 한류의 영향을 받는 곳에서도 보고되는 종이고 4종은 한국과 일본에서만 밝혀진 고유종이다. 만재도는 대마난류와 서해연안냉수의 영향을 모두 받는 동물지리학적으로 독특하며 중요한 지점으로 여겨진다.

독도 연안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분포 특성과 환경요인: 2018년과 2019년 비교 (Seas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offshore waters of Dokdo: Comparison between 2018 and 2019)

  • 이민지;김윤배;강정훈;박찬홍;백승호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47-60
    • /
    • 2020
  • 본 독도 연안 해역에서 2019년 계절적 수환경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2018년과 2019년 특성을 비교하고자 두 연도의 4계절 수층별 조사가 수행되었다. 2019년에는 총 4문 69종의 식물플랑크톤이 관찰되었고, 평균 식물플랑크톤 개체수는 1.90×104 cells L-1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동계에는 평균 3.19×104 cells L-1로 대부분 미동정 편모류가 우점하였고, 춘계에는 3.12×104 cells L-1로 역시 편모류가 약 50%를 차지하였으며, P. obtusidens를 포함한 다양한 와편모조류가 출현한 특징이 있었다. 하계 개체수는 0.46×104 cells L-1로 매우 낮은 개체수와 종이 나타났고, 추계에는 평균 개체수가 0.89×104 cells L-1로 낮았으며, 여러 종의 Chaetoceros와 함께 Bacteriastrum spp., Guinardia striata, Psuedo-nitzschia spp. 과 같은 규조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2018년 추계와 동일하게 열대 지표종인 Ornithocercus sp.와 Amphisolenia sp.가 관찰되었다. 2019년에는 대마난류와 남해 연안의 영향을 받은 종이 출현하였지만, 전반적으로 매우 낮은 개체수를 보이며 편모조류가 우점한 특징이 있었다. 식물플랑크톤 다양성은 2018년 하계와 2019년 동계에 높게 나타났고, 군집분석에서도 계절에 상관없이 크게 4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2018년과 2019년 수환경은 특이적으로 춘계에 성층이 약하게 형성되었고, 2018년 추계에는 하계와 동일하게 수괴가 안정되어 식물플랑크톤이 대증식한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개체수는 하계를 제외하고 계절별 우점 종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 차이는 추계에 가장 뚜렷하였다. 따라서 독도 연안 해역은 일반적인 동해의 특성과는 다르게, 외해역임에도 불구하고 얕은 지형과 다양한 해류, 섬효과 등과 같은 복합적인 영향으로 연도별 계절별 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